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전집을 펴내며
머리말 제1부 _ 한국 불교의 특성론 한국 불교 특성론과 한국 불교 연구의 방향 I.들어가는 말 II. 한국 불교 특성론 III. 한국 불교 연구의 방향 한국 불교의 특성과 정신 ― 한국인의 역사와 삶 속의 역할을 중심으로 I. 서론 II. 한국 불교의 특성에 관한 기존 논의 III. 한국 불교의 특성 파악을 위한 원칙과 방향 IV. 변화하는 한국 불교: 새로운 정체성의 모색 V. 한국인의 역사와 삶 속 불교의 역할 한국 불교사와 개혁운동 I. 한국 불교의 특성 II. 가마쿠라 신불교의 성격 III. 한국 불교사의 개혁운동 IV. 결론 한국 불교 수행 전통에 관한 일고찰 I. 한국 불교의 수행 전통 II. 유언(有言)과 무언(無言) III. 휴정과 지눌 민중불교, 선(禪) 그리고 사회논리적 관심 제2부 _ 고려 불교 연구 고려시대의 승계제도(僧階制度)에 대하여 ― 고려도경을 중심으로 I. 고려 태조(高麗 太祖)와 불교 II. 관료제도(官僚制度)로서의 고려 불교: 승계(僧階) III. 왕사(王師)와 국사(國師) IV. 결어 고려 불교의 창조적 결합: 의천과 지눌 I. 한국 불교의 회통적 성격 II. 의천의 생애 III. 의천의 불교 사상 IV. 지눌과 정혜결사 운동 V. 지눌의 심성론 VI. 지눌의 수행론 보조(普照) 사상 이해의 해석학적 고찰 I. 보조 사상의 이해 II. 객관주의적 이해를 넘어서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並入私記)와 지눌 선(禪) 사상의 구도 I. 서론 II. 지눌 선(禪) 사상의 체계와 구조 III. 『節要』(절요)에서 본 지눌의 선(禪) 사상 체계와 지눌의 여타 저술들 IV. 결어 지눌, 반야(般若)에서 절대지(絶對知)로 I. 공적 영지론의 사상사적 배경 II. 무아론을 넘어 III. 종밀의 지(知) 개념 IV. 지눌의 진심(眞心) 개념 V. 지와 지성(intellectus) 비교사상 관점에서 본 지눌의 선(禪) 사상 I. 초인격적인 정신세계 II. 지성과 불성 III. 진아의 탐구 IV. 맺음말 다시 생각해보는 돈오점수론 제3부 _ 비교종교학에서 본 불교 사상 열암 철학에서의 한국 불교 사상 연구 I. 열암 철학의 근본적 관심과 한국 불교 사상 연구 II. 열암이 한국 불교 사상사를 보는 눈 티베트 불교 민족주의의 역사적 고찰 I. 불교와 국가 II. 티베트 불교의 역사적 특성 III. 티베트와 중국 IV. 티베트 민족주의의 대두와 독립 V. 라사와 다람살라 VI. 결어: 존망의 기로에 선 티베트 불교와 그리스도교 ― 창조적 만남과 궁극적 일치를 향하여 I. 세계종교로서의 불교와 그리스도교 II. 불교와 그리스도교: 대중적 만남 III. 불교와 그리스도교: 사상적 만남 IV. 불교와 그리스도교: 심층적 만남을 위하여 V. 실천적 만남 참고문헌 |
길희성의 다른 상품
한국적인 것의 특성을 찾으려는 노력은 비단 불교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중국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아 온 한국문화의 경우 그 정체성의 문제는 더욱 미묘한 양상을 띠게 된다. 정체성은 차별성의 확보와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한국문화의 뚜렷한 독자성 내지 정체성을 주장하려면 불교뿐만 아니라 유학, 도교, 미술이나 건축 등의 분야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제기되는 것이다. 과연 여기서도 중국과의 질문은 아니고 동아시아 문화를 연구하는 세계 학자들의 공통적인 관심사이다.
--- 「1부_ 한국 불교 특성론과 한국 불교 연구의 방향」 중에서 한국 불교의 특성과 정체성에 대한 종래의 논의는 주로 과거의 한국 불교를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져 왔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그것도 주로 출가승가와 고승들의 사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논의는 첫째로 현재 한국 불교에 일고 있는 의미 있는 변화들과 새로운 정체성의 모색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로 출가 승려들뿐 아니라 재가불자들, 더 나아가서 한국인 일반의 삶에서 불교가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영향을 미쳐왔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1부_ 한국 불교의 특성과 정신」 중에서 교학을 하는 사람들은 진리를 자기 자신 안에서 찾지 않고 문자 속에서 찾으려 한다. 따라서 그들이 이해하는 진리는 그들을 변화시킬 힘이 없는 것이다. “경을 보는 것이 만약 자기를 향한 공부가 아닐 것 같으면 비록 온 대장경을 다 보았다 하더라도 아무런 이익이 없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해 휴정에 의하면 교는 타인으로 하여금 무언의 진리를 깨닫도록 하는 도움이 필요한 필수 불가결의 한 방편이다. 그리하여 교는 법(法)의 불변(不變)과 수연(隨縁), 인(人)의 돈오와 점수를 말해준다. 그러나 동시에 교의 근본적 한계도 분명히 인식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수행자는 무언의 진리가 지니는 해방적 힘을 경험하고자 한다면교를 버리고 선으로 나아가야 하는 것이다. --- 「1부_ 한국 불교 수행(修行) 전통에 관한 일고찰」 중에서 지눌에 의하면 우리가 외부세계와의 감각을 통한 접촉을 끊고 자신의 마음을 비추어 보면 고요한 상태가 나타나며 이 상태는 결코 단순한 공(空)의 세계가 아니라 어떤 밝고 어둡지 않은 것, 즉 어떤 앎(知)이 거기에 있다는 것이다. 이 앎은 보통의 앎과는 달리 항시 고요함을 잃지 않고 다양한 현상 세계의 여러 대상들에 의하여 조금도 동요됨이 없다. 이 앎은 망심(妄心)의 앎과는 전혀 다른 진심(眞心)의 체(體)에 속한 앎이다. 지눌은 이러한 앎을 “앎이 없는 앎”이라고 역설적인 표현을 한다. --- 「2부_ 고려 불교의 창조적 종합」 중에서 보조 사상의 역사성, 전통성, 창의성과 더불어 또 한 가지 고찰되어야 할 사상은 보조 사상 자체 내의 통일성 내지 문제이다. 저서와 저서 사이, 관념과 관념 사이의 정합성은 물론이요. 동일 저서 내의 논의의 구성 및 체계들이 밝혀져야 할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지눌은 결코 불교나 선에 대해서 어떤 철학적 체계를 구축하려고 노력하지는 않았다. 다만 선 수행의 구체적 도움을 주기 위하여 자신이 경험하고 깨달은 바를 기회가 허락하는 대로 다루었을 뿐이다. 그러나 그의 사상에는 그가 의도 했든 안 했든 간에 어떤 일정한 체계와 질서가 내재해 있으며 이러한 잠재적 체계를 발굴하고 밝혀내는 것 역시 보조 사상 연구의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인 것이다. --- 「2부_ 보조(普照) 사상 이해의 해석학적 고찰」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