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제 1 편 서 론
제 1 장 재무관리의 기초개념 1 재무관리자의 역할4 2 재무관리의 목표5 2.1 이익의 극대화 · 6 2.2 기업가치의 극대화 · 6 2.3 주주 부의 극대화와 대리인문제 · 8 요 약11 연습문제12 제 2 장 재무제표분석 1 재무제표16 1.1 재무상태표 · 16 1.2 손익계산서 · 19 1.3 현금흐름표 · 20 2 재무비율분석23 2.1 재무비율분석의 의의 · 23 2.2 재무비율의 분류와 표준비율 · 23 2.3 주요 재무비율의 경제적 의미 · 26 2.4 비율분석의 한계점 · 48 3 재무비율의 종합적 평가방법49 3.1 ROI 분석 · 49 3.2 지 수 법 · 51 요 약54 사례연구57 연습문제62 보론 재무예측68 A.1 재무예측의 의의 · 68 A.2 매출액백분율법에 의한 외부자금조달액 추정 · 68 A.3 유지가능성장률의 추정 · 73 제 3 장 화폐의 시간적 가치 1 화폐의 시간적 가치와 이자율 80 2 미래가치와 현재가치 80 2.1 미래가치와 복리계산과정 · 80 2.2 현재가치와 할인계산과정 · 84 3 복리계산기간85 3.1 미래가치와 복리계산기간 · 86 3.2 현재가치와 할인계산기간 · 88 4 여러 기간 현금흐름의 평가89 4.1 영구연금 · 90 4.2 연 금 · 91 요 약97 사례연구99 연습문제101 제 4 장 증권의 가치평가 1 채권의 가치평가 108 1.1 채권평가모형 · 108 1.2 현물이자율과 만기수익률 · 110 2 주식의 가치평가114 2.1 기본적인 주식평가모형 · 114 2.2 단순화된 배당평가모형 · 115 2.3 성장률과 할인율의 추정 · 118 2.4 성장기회와 주식평가모형 · 120 2.5 주가배수모형 · 124 요 약126 사례연구128 연습문제129 보론 1 이자율의 기간구조142 A1.1 이자율의 기간구조의 개념 · 141 A1.2 선도이자율과 미래의 현물이자율 · 142 A1.3 이자율의 기간구조이론 · 145 보론 2 이자율의 위험구조와 채권등급평가151 A2.1 채무불이행위험과 이자율의 위험구조 · 150 A2.2 채권등급평가 · 151 A2.3 채권등급과 만기수익률 · 152 제 2 편 확실성하의 투자결정 제 5 장 확실성하의 선택이론 1 선택이론 : 무차별곡선 156 1.1 확실성하의 선택공리 · 156 1.2 무차별곡선 · 157 2 생산기회집합과 시장기회선159 2.1 생산기회집합 · 159 2.2 시장기회선 · 160 3 소비와 투자161 3.1 소비와 투자 : 금융시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 161 3.2 소비와 투자 : 금융시장이 존재하는 경우 · 163 요 약167 사례연구168 연습문제171 제 6 장 자본예산: 투자안의 평가방법 1 합리적인 투자안의 평가기준: 순현가법176 1.1 순현가의 의의 · 176 1.2 투자안의 평가기준 · 177 1.3 순현가법의 특성 · 177 2 회수기간법과 평균회계이익률법178 2.1 회수기간법 · 179 2.2 평균회계이익률법 · 181 3 내부수익률법185 3.1 내부수익률의 의의 · 185 3.2 투자안 평가기준 · 187 3.3 내부수익률법의 문제점 · 188 4 수익성지수법197 4.1 수익성지수의 의의 · 197 4.2 투자안 평가기준 · 198 4.3 수익성지수법의 문제점 · 199 요 약201 사례연구206 연습문제208 제 7 장 자본예산의 실제 1 현금흐름의 추정218 1.1 현금흐름 추정시 유의사항 · 218 1.2 현금흐름의 추정 · 222 2 인플레이션과 자본예산228 2.1 이자율과 인플레이션 · 228 2.2 현금흐름과 인플레이션 · 229 2.3 인플레이션하의 투자안 평가방법 · 230 3 자본예산의 특수문제232 3.1 내용연수가 다른 투자안 평가 · 232 3.2 생산설비의 교체시기 결정 · 237 3.3 자본할당 · 239 요 약243 사례연구245 연습문제248 보론 감가상각과 현금흐름259 A.1 감가상각방법 · 259 A.2 감가상각방법과 감세효과 · 261 제3편 불확실성하의 투자결정 제 8 장 불확실성하의 선택이론 1. 기대효용이론 266 1.1 불확실성하의 선택공리 · 266 1.2 기대효용이론 · 268 1.3 효용함수의 형태 · 271 2. 평균-분산이론 277 2.1 무차별곡선: 평균-표준편차 평면 · 278 2.2 평균-분산기준에 의한 위험자산의 선택 · 279 3. 기대수익률과 위험의 측정 282 3.1 모집단의 기대수익률과 분산 · 283 3.2 표본의 평균수익률과 분산 · 284 요 약 287 사례연구 289 연습문제 291 보론 1 위험회피도의 측정 297 A1.1 절대위험회피도 · 297 A1.2 상대위험회피도 · 298 보론 2 상태선호이론300 A2.1 순수증권과 완성시장 · 300 A2.2 순수증권의 가격결정 · 300 A2.3 무위험이자율 · 301 제 9 장 포트폴리오분석 1.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과 위험의 측정 304 1.1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 304 1.2 포트폴리오의 위험 305 2. 포트폴리오의 선택 312 2.1 상관계수와 분산효과 · 312 2.2 최적포트폴리오의 선택: 무위험자산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 316 2.3 최적포트폴리오의 선택: 무위험자산이 존재하는 경우 · 319 3. 분산효과와 개별증권의 위험 326 3.1 분산효과 · 326 3.2 개별증권의 위험: 모든 투자자가 시장포트폴리오를 소유하는 경우 · 328 요 약 330 사례연구 333 연습문제 338 보론 단일지수모형 354 A.1 마코위츠모형의 문제점 · 354 A.2 단일지수모형과 그 가정 · 355 A.3 단일지수모형에 의한 포트폴리오 수익률의 분산측정 · 357 제10장 자본시장의 균형이 1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 CAPM 362 1.1 기본적 가정 · 362 1.2 시장모형과 체계적 위험 · 363 1.3 CAPM: 증권시장선 · 369 1.4 CAPM의 함축적 의미 · 372 1.5 투자성과의 평가 · 377 2 차익거래가격결정이론: APT 381 2.1 요인모형 · 381 2.2 APT: 위험과 기대수익률 · 385 2.3 CAPM과 APT의 비교 · 388 요 약 393 사례연구 396 연습문제 400 보론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의 현실성 433 A.1 CAPM 가정의 완화 · 433 A.2 CAPM의 현실적 타당성 · 436 제11장 위험과 자본예산 1 위험과 자본비용 440 1.1 자본비용의 기본적 개념 · 440 1.2 기업의 자본비용과 투자안의 자본비용 · 441 1.3 주식베타의 결정요인: 경영위험과 재무위험 · 444 1.4 자본구조와 기업의 자본비용 · 452 2 위험과 투자안 평가 455 2.1 위험조정할인율법과 확실성등가법 · 455 2.2 CAPM을 이용한 확실성등가의 측정 · 458 3 현금흐름 예측의 불확실성 460 3.1 의사결정수 · 460 3.2 민감도분석 · 463 3.3 손익분기점분석 · 467 3.4 시뮬레이션분석 · 471 요 약 472 사례연구 475 연습문제 47 제4편 자본구조와 배당정책 제12장 자본조달과 효율적 자본시장 1 자본조달결정과 가치창출 492 1.1 비합리적 투자자 · 493 1.2 비용감소 또는 보조금 · 493 1.3 새로운 증권창출 · 494 2 효율적 자본시장 495 2.1 효율적 자본시장의 개념 · 495 2.2 효율적 시장가설 · 496 2.3 효율적 시장과 재무관리 · 498 3 행동재무학 499 3.1 정보처리의 오류에 의한 잘못된 추론 · 500 3.2 특정 신념이나 선호에 의한 행태적 편의 · 501 3.3 시장의 모순된 심리현상 · 504 3.4 차익거래 제한요인 · 505 4 기업의 장기자본조달 506 4.1 보 통 주 · 507 4.2 사 채 · 512 4.3 우 선 주 · 514 요 약 516 연습문제 519 제13장 자본구조 Ⅰ: 기본적 개념 1 MM의 무관련이론 526 1.1 기본적 가정 · 526 1.2 MM 명제 Ⅰ · 527 1.3 MM 명제 Ⅱ · 535 1.4 MM 명제 Ⅲ · 537 1.5 MM의 명제: 종합적인 예 · 538 2 MM의 수정이론 ·543 2.1 MM 명제Ⅰ · 543 2.2 MM 명제 Ⅱ · 544 2.3 MM 명제 Ⅲ · 545 2.4 법인세가 존재하는 경우 주가와 레버리지의 관계 · 548 2.5 MM이론의 한계 · 550 3 재무레버리지와 베타 551 3.1 CAPM과 MM의 수정이론 · 551 3.2 재무레버리지와 베타 · 553 3.3 대용기업을 이용한 자본비용의 측정 · 556 요 약 559 사례연구562 연습문제 564 보론 MM의 수정이론과 차익거래과 · 581 A.1 VU TC B VL · 581 A.2 VL VU TC B · 582 제14장 자본구조 Ⅱ: 현실적 문제 1 개인소득세와 밀러모형 588 1.1 밀러모형: 개인소득세와 기업의 가치 · 588 1.2 사채시장의 균형과 최적자본구조 · 591 2 파산비용 594 2.1 파산비용의 의의 · 594 2.2 파산비용과 최적자본구조 · 595 3 대리인비용 597 3.1 대리인비용의 의의 · 597 3.2 대리인비용의 유형 · 598 3.3 대리인비용과 최적자본구조 · 603 4 정보의 비대칭과 자본구조 · 604 4.1 신호이론 · 605 4.2 자본조달순위이론 · 606 4.3 행동재무와 자본구조 · 606 5 부채사용기업의 투자안 평가 607 5.1 조정현가법 · 607 5.2 주주현금흐름법 · 612 요 약 615 사례연구 619 연습문제 621 제15장 배당정책 1 현금배당과 배당의 지급절차 640 1.1 현금배당의 유형 · 640 1.2 현금배당의 지급절차 · 641 2 배당과 기업가치 643 2.1 완전자본시장과 배당무관련이론 · 643 2.2 저배당정책의 선호에 대한 현실적 요인 · 649 2.3 고배당정책의 선호에 대한 현실적 요인 · 651 2.4 배당정책에 대한 현실적 설명 · 653 3 배당정책의 실제 655 3.1 잔여배당정책 · 655 3.2 배당의 안정성 · 656 3.3 기타의 고려사항 · 657 4 배당의 특수형태 · 658 4.1 주식배당 · 658 4.2 주식분할 · 660 4.3 자사주 매입 · 661 요 약 663 사례연구 665 연습문제 66 부록Ⅰ. 부표 부표-1 복리이자요소 678 부표-2 연금의 복리이자요소680 부표-3 현가이자요소 682 부표-4 연금의 현가이자요소 684 부록Ⅱ.연습문제 해설 제?1?장? 재무관리의 기초개념 688 제?2?장? 재무제표분석 691 제?3?장? 화폐의 시간적 가치 696 제?4?장? 증권의 가치평가 700 제?5?장? 확실성하의 선택이론 713 제?6?장? 자본예산: 투자안의 평가방법 722 제?7?장? 자본예산의 실제 730 제?8?장? 불확실성하의 선택이론 747 제?9?장? 포트폴리오분석 754 제10장? 자본시장의 균형이론 785 제11장? 위험과 자본예산 819 제12장? 자본조달과 효율적 자본시장 833 제13장? 자본구조 Ⅰ: 기본적 개념 840 제14장? 자본구조 Ⅱ: 현실적 개념 865 제15장? 배 당 정 책 894 |
甘炯奎
감형규의 다른 상품
辛容在
신용재의 다른 상품
본서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1.재무관리의 기초이론에서 부터 고급 수준의 이론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문제해결을 위한 응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이론(본문 내용과 더불어 재무focus 및 보론 내용 포함)학습 → 예제 풀이 → 이론 요약 및 정리→사례연구 점검→ 연습문제 풀이 및 피드백(Tip 포함)” 등의 학습과정을 체계적으로 제시함. 2. 최근까지 공인회계사, 보험계리사 자격시험에서 출제된 문제에 대한 논리적.체계적인 해설을 제시함으로써 공인회계사, 보험계리사, 국제재무분석사 등의 전문자격시험 준비에 유용한 수험서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함. 3. 본서 “'Perfect 재무관리 I”에서는 화폐의 시간적 가치, 자본예산, 포트폴리오 이론, 지본자산가격결정모형, 자본구조와 배당정책 등에 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음. 파생상품과 위험관리, 재무관리의 특수분야 등에 관한 내용은 본서와 별도로 출간된 'Perfect 재무관리 II'를 참조하기 바람. [ 머리말 ] 미국의 금리인상, 미중 간의 무역분쟁, 북핵문제 등 국내?외 경제환경 변화에 따라 재무의사결정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기업의 유지 및 성장에 있어서 중요한 관리부문인 재무관리의 목표는 기업가치의 극대화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의 경영자는 투자결정 및 자본조달결정 등과 관련된 제반 재무의사결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경영자가 재무관리의 광범위한 이론 분야를 잘 이해하고, 이를 실무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재무관리의 학문적 유용성은 현실세계의 적용을 전제로 쉽게 이론화되어 있을 때 그 빛을 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서는 국내?외 재무환경을 반영하고 재무이론을 실무와 조화시킨다는 관점에서 저술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기업가치의 극대화(순현가의 극대화)라는 하나의 큰 흐름 아래 재무관리의 전체적인 내용을 일관성 있게 구성하여, 재무관리의 기본개념에 대한 확실한 이해를 바탕으로 응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둘째, 전통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져 온 기초이론에서부터 상당한 수준의 고급이론에 이르기까지 현대재무이론을 체계적으로 소개함으로써 경영학을 전공하는 학부의 고학년 학생들 또는 대학원 학생들에게 재무관리의 전반적인 영역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이와 같은 관점 하에서 본서「Perfect 재무관리Ⅰ- 기업재무」는 다음과 같이 4편(1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편 서론 제 2 편 확실성하의 투자결정 제 3 편 불확실성하의 투자결정 제 4 편 자본구조와 배당정책 한편 본서와 별도로 「퍼펙트 재무관리 Ⅱ- 파생 및 특수 분야」를 발간하였다. 이 책은 총9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파생상품과 위험관리, 재무관리관리의 특수분야 등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니 관심 있는 독자께서는 본서와 함께 활용해 주시길 바란다. 셋째, 최근 공인회계사(CPA), 국제재무분석사(CFA), 보험계리사 등 각종 시험에서 상당한 수준의 고급재무이론과 시대의 변화에 따라 관심을 모으고 있는 최근 이론들까지 출제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출제 경향은 CPA, 보험계리사 등 전문자격시험을 준비하는 대부분의 수험생들에게 재무관리는 어렵고 부담스러운 과목으로 인식되도록 만들고 있다. 이는 재무관리 자체의 난이도보다는 재무관리 학습에 필요한 적절한 교재와 효율적인 학습방법을 경험하지 못한 결과에서 비롯된 것이라 생각된다. 재무관리는 그 근간이 되는 이론 및 모형을 기초로 이해하여야 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재무관리의 특성상 제반 이론에 대한 충분한 학습과 정확한 이해 없이 단지 연습문제 풀이에만 의존하는 학습방법은 사상누각의 오류를 범할 수밖에 없으므로 이러한 점을 명심해야 한다. 특히 처음 재무관리를 시작하는 경우 먼저 본서의 각 장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들에 대한 기본적 개념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노력한 후, 습득한 기본개념과 연결시켜 연습문제를 다루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넷째, 공인회계사 시험, 보험계리사 시험 등에서 최근까지 출제된 문제들을 완벽하게 정리하여 수록하는 한편, 특강이나 모의고사 출제 등을 통하여 준비해 왔던 문제, 그리고 최근 출제 경향에 비추어 앞으로 출제가능성이 높은 문제들을 포함시켜 이론서로서 뿐만 아니라 연습서로서도 손색이 없도록 하였다. 특히 연습문제에 공인회계사 1차 기출문제 등을 포함한 객관식 문제를 수록함으로써 공인회계사 1차 시험 등 객관식 문제를 출제하는 각종 시험에도 충분히 대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서는 재무관리 학문 분야에서 다소 높은 수준의 지식을 다루고 있으므로 재무관리를 처음 배우는 학생 또는 실무자들에게는 본서가 부담스러울 수 있다. 따라서 그들에겐 본서의 자매서인 「에센스 재무관리」를 권하고 싶다. 독자의 수준 및 목적에 따라 본서, 즉 「Perfect 재무관리 Ⅰ,Ⅱ」또는 「에센스 재무관리」 중 취사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본서는 앞에서 밝힌 네 가지 특징을 살리는 데 주안점을 두고 저술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의욕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부족한 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독자들의 기탄없는 비판과 조언을 통하여 향후 완벽하게 수정?보완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그리고 저자들은 국내?외 많은 문헌들을 참고하여 본서를 집필하였다. 이 자리를 빌려 국내?외 학자들의 양해를 구하며, 그들에게 깊은 감사의 뜻을 표한다. 본서의 내용에 대해 항상 값진 조언을 해 주고 일부 내용 집필에 직접 참여해준 전진규 교수(동국대)에게 특별히 고맙게 생각하며, 그리고 본서가 출판되기까지 적극적으로 도와준 유원북스 이구만 사장에게 다시 한 번 감사를 드린다. 끝으로 본서를 저술하는 동안 고통을 분담하면서 격려와 성원을 아끼지 않았던 가족 모두에게 충심으로 고마움을 표한다. 2019년 4월 저자 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