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李殷相,
이은상의 다른 상품
김지현의 다른 상품
다시 50리를 가 온정에 이르렀다. 고성 태수인 이종사촌 형님 이차산 사군이 목욕하는 곳에 나와서 기다리고 있었다. 4년간 떨어져 있다가 먼 외지에서 만났으니 그 즐거움은 짐작할 수 있으리라. 이에 온정에서 목욕을 했는데, 사촌 형이 본 도의 관찰사가 곧 경내에 도착한다는 소식을 듣고 먼저 돌아갔다. 이에 목욕한 곳에서 숙박했다. 12일에 식후에 온정을 출발해서 15리를 가 발연에 도착했다. 폭포가 암석 사이로 몇 리를 날듯이 흐르는데, 소리가 숲과 계곡을 뒤흔든다. 이곳이 바로 스님들이 빠르게 흐르는 물살을 타고 부딪치며 내려왔던 곳으로, 역시 한 폭의 뛰어난 장관이었다. <보살만>을 입에서 나오는 대로 읊조렸다. 又行十五里抵溫井. 高城太守表兄李使君次山氏出待于浴所. 離四年, 會合於天涯, 喜可知也. 仍浴溫井, 表兄聞本道方伯將到境先還, 仍宿浴所. 十二日食後發溫井, 行十五里抵鉢淵, 瀑布飛流巖石間數里, 聲震林壑, 使僧徒坐馳水激處衝突而下, 亦一奇觀. 口占菩薩蠻. 짙은 구름 말끔히 걷히니 하늘은 마치 닦아 낸 듯하고 봉래산은 천 겹의 옥을 드러내었다. 가을 해가 선방을 비추고 산바람이 얼굴을 시원하게 닦아 준다. 우렁찬 우레가 만 골짜기에 울리고 폭포가 천 척 높이에 흩날린다. 먼 길 온 나그네는 되레 피로를 잊고 자리를 여러 번 옮겨 가며 누워 바라본다. 濃雲捲盡天如拭, 蓬萊露出千層玉. 秋日照禪房, 山風拂面. 殷雷喧萬壑, 瀑布飛千尺. 遠客却忘疲, 耽看席屢移. --- 「보살만(菩薩蠻)」 중에서 |
사(詞)는 중국 당대에 발생해 송대에 크게 흥한 새로운 시가 장르다. 본디 악곡의 “가사”였으나 점차 실제 가창하는 노랫말로서의 기능보다는 읽고 쓰는 문학 작품으로서의 성격이 강해졌다. 사가 한반도에 전해진 것은 고려 시대로, 당악(唐樂)과 함께 안수, 구양수, 유영, 소식 등 북송 사인들의 사 작품이 왕실과 사대부층에 전파되었다. 사는 기존의 고시, 율시 등과 비교할 때 정형구가 아닌 장단구(長短句)의 형식을 취한다는 점, 초기에 노래 가사에서 발전한 관계로 중국 악곡과의 연계성이 강하다는 점, 다양한 사패마다 고유의 평측이나 운자 규칙이 별도로 존재한다는 점 등 다소 생소한 면도 있었으나, 우리 문인들은 이내 이 새로운 시가 장르를 받아들여 창작을 즐겼다. 고려 시대 이규보, 이제현, 조선 시대 김시습, 이황, 허균, 송시열, 이익, 정약용 등 유명 문인들 역시 사의 창작에 동참해 그 작품이 오늘날 전하고 있다. 이은상의 할아버지 이정구, 큰아버지 이명한(李明漢) 역시 각각 2수씩의 사를 남겼다.
이 책은 조선 중기 문신 이은상(李殷相, 1617∼1678)의 사 전편(全篇) 38수를 담았다. 이는 사를 창작했던 역대 조선 문인 중 다섯 번째로 많은 편수다. 이은상 사의 두드러지는 특징은 그 구체성이다. 기행사이건 증별사이건, 각 작품에는 인물, 지역, 여정, 교유 상황, 에피소드 등 당시 작자의 실제 생활이 생생하게 반영되어 있다. 이는 이은상이 사라는 시가 갈래에 대해 별다른 편견이나 어려움 없이 능동적으로 수용해 친숙하게 향유한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사는 시에 비해 형성 및 발전 시기가 늦었고, 한반도로 전파된 것도 우리 문인들이 정형구의 시에 익숙해진 한참 후다. 게다가 작자 입장에서는 다양한 사패마다 구별 글자 수와 운자 배치 등을 따로 신경 써야 하는 장단구 특유의 난점도 있다. 하지만 이은상은 사라는 후발 시가 장르를 비교적 쉽게 받아들였고 이내 여러 사패를 익숙히 운용하게 되었다. 그리고 금강산 기행이나 지인 송별 등의 실제 생활을 사에 담은 덕분에, 각각의 구체적 순간은 뚜렷한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 이은상의 사를 통해 우리는 그가 보고 듣고 행하고 교유하고 느꼈던 것들을 생생히 들여다볼 수 있게 되었다. 한자라는 기록 수단과 사라는 형식은 중국에서 유래한 것이지만, 이은상이 사에 담은 것은 바로 조선 문인의 실제 생활의 면면이었던 것이다. 그가 쓴 것은 한 번 보지도 못한 중국의 허경이 아닌 조선의 실제 지명과 풍경이요, 여성 화자를 상상해 내세운 완약사가 아닌 문인으로서 실제 경험한 유람과 교유이며, 단지 작품을 짓기 위한 무병신음이 아닌 실제 작별에 따른 수심이었다. 또한 어렵사리 발연 폭포에 도착해 그 장관도 즐기면서 동시에 여독도 달래기 위해 체면 불고하고 이리저리 자리를 옮겨 가며 누워서 폭포 구경을 한다든가 금강산 최고봉인 비로봉에서 한껏 흥이 올라 퉁소와 피리 연주를 즐기다가 소란함에 당황한 스님이 말리자 유쾌하게 받아친다든가, 손아래 처남을 춥고 험한 북방 임지로 떠나보내면서 마음 아파하며 “힘써 밥 많이 잡수라”라고 당부한 작자의 면면은 푸근하고 정 많은 여느 한국인의 모습과 정서 그대로다. 마치 요즘도 어디선가 마주칠 법한 등산객이나 친척 어른 같다. 이것이 바로 한국인 입장에서 우리 문인이 쓴 사가 한층 각별하게 느껴지는 이유다. 중국 사집을 읽을 때와는 다른 친근함과 공감대가 분명히 우리 선조들의 사에 존재한다. 앞으로 더 많은 우리 문인의 사가 대중에게 알려지고 가까워질 수 있기를 바란다. 사 역시 우리 선조들이 즐긴 시가 갈래 중 하나요, 우리 고전 문학 유산을 한층 풍부히 하는 데 일조했다는 것을 꾸준히 소개하는 작업에 역자도 동참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