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5.18 푸른 눈의 증인
외국인 첫 5.18회고록, 오월 광주 13일의 기록
베스트
역사 top100 6주
가격
15,000
15,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이 상품의 태그

책소개

목차

저자의 말

지도

프롤로그

첫째 날 (5월 14일 수요일)
- 서울의 데모
둘째 날 (5월 15일 목요일)
- 승자 없는 데모
셋째 날 (5월 16일 금요일)
- 집으로 가는 길
넷째 날 (5월 17일 토요일)
- 일상으로 돌아가기
다섯째 날 (5월 18일 일요일)
- 무성한 소문들
여섯째 날 (5월 19일 월요일)
-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일곱째 날 (5월 20일 화요일)
- 군인들의 행진과 마지막 버스
여덟째 날 (5월 21일 수요일)
- 물러서지 않는 사람들
아홉째 날 (5월 22일 목요일)
- 항쟁의 흔적들
열째 날 (5월 23일 금요일)
- 우리는 ‘불순분자’
열한째 날 (5월 24일 토요일)
- 시신 안치실에서 통역하다
열둘째 날 (5월 25일 일요일)
- 산 너머에는 평화가 있을까
열셋째 날 (5월 26일 월요일)
- 서울로 가다

에필로그

감사의 말

부록
1. 또 다른 증인, 어느 선교사의 5.18 일지
2. 1980년 광주를 목격한 외국인 최초의

회고록

번역자의 말

저자 소개3

폴 코트라이트

관심작가 알림신청
 
미국 평화봉사단으로 한국에 파견되어 1979년부터 1981년까지 전남 나주의 나환자촌 에서 봉사 활동을 했다. 이후 열대성 질환과 안과 질환을 전공하고 공중보건 분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20년간 이집트, 에티오피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탄자니아에서 근무했으며, 탄자니아 모시 지역에 아내 수잔 박사와 함께 킬리만자로 안과 센터를 설립해 운영하였다. 250개가 넘는 의학 논문을 게재하였으며 미국안과학회를 비롯해 실명 예방 분야에서 독보적인 업적을 이룬 사람에게 수여하는 다수의 상을 받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 대학 의대 겸임 교수이자 영국의 실명예방전문 NGO인
미국 평화봉사단으로 한국에 파견되어 1979년부터 1981년까지 전남 나주의 나환자촌 에서 봉사 활동을 했다. 이후 열대성 질환과 안과 질환을 전공하고 공중보건 분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20년간 이집트, 에티오피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탄자니아에서 근무했으며, 탄자니아 모시 지역에 아내 수잔 박사와 함께 킬리만자로 안과 센터를 설립해 운영하였다. 250개가 넘는 의학 논문을 게재하였으며 미국안과학회를 비롯해 실명 예방 분야에서 독보적인 업적을 이룬 사람에게 수여하는 다수의 상을 받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 대학 의대 겸임 교수이자 영국의 실명예방전문 NGO인 사이트 세이버(SightSavers)의 트라코마 예방 사업의 고문을 맡고 있으며 현재는 아내와 함께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살고 있다. 한국과는 1981년부터 깊은 관계를 이어 오고 있으며 여러 한국 연구자들과 공동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2014년에는 국제보건 및 국제개발협력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에서 ‘현장 연구와 역학’ 단기 코스를 진행하였고, 그 외에도 수 차례의 특강 등을 통해 한국의 후학 양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최근 아프리카에서의 트라코마 퇴치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영국 여왕의 초대를 받기도 했다.

폴 코트라이트의 다른 상품

사진로빈 모이어

관심작가 알림신청
 
1980년 타임지 사진 기자로 한국에 있다가 광주민주항쟁에 관해 듣고 광주로 향했다. 이후 1999까지 타임지에서 속보와 특집 기사를 다루었고 1982년에는 레바논 팔레스타인 학살 사진으로 세계보도사진상과 로버트 카파 상을 수상한 바 있다. 아시아 지역 타임지 수석 사진 작가로 캄보디아 난민, 피플 파워 혁명, 미얀마의 아웅산 수지 항쟁, 텐안문 사태 등을 취재했고 김영삼, 김대중 전 대통령을 비롯, 아시아 리더들의 초상 사진을 찍기도 했다 2014년에는 홍콩의 우산혁명을 촬영했으며 현재 홍콩에 머물면서 민주시위에 관한 도서를 만들고 있다. 도서 『5.18 푸른 눈의 증인』에 실
1980년 타임지 사진 기자로 한국에 있다가 광주민주항쟁에 관해 듣고 광주로 향했다. 이후 1999까지 타임지에서 속보와 특집 기사를 다루었고 1982년에는 레바논 팔레스타인 학살 사진으로 세계보도사진상과 로버트 카파 상을 수상한 바 있다. 아시아 지역 타임지 수석 사진 작가로 캄보디아 난민, 피플 파워 혁명, 미얀마의 아웅산 수지 항쟁, 텐안문 사태 등을 취재했고 김영삼, 김대중 전 대통령을 비롯, 아시아 리더들의 초상 사진을 찍기도 했다 2014년에는 홍콩의 우산혁명을 촬영했으며 현재 홍콩에 머물면서 민주시위에 관한 도서를 만들고 있다. 도서 『5.18 푸른 눈의 증인』에 실린 그의 사진은 전량 광주민주항쟁의 미공개 본이다.

로빈 모이어의 다른 상품

전남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켄터키 대학교 사회학과 박사과정을 마쳤다. 1980년 광주항쟁 당시 항쟁의 기폭제 역할을 했던 전남대학교 총학생회에서 학술부장으로 활동했다. 이 때문에 광주항쟁 이후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고, 뒤늦은 졸업 후 공공기관에서 30년간 근무 · 정년퇴직하였다. 국방부 5.18민주화운동 특별조사위원회 조사관을 역임하고, 지금은 5.18기념재단에서 연구위원으로 봉사하고 있으며, 주로 5.18 관련 해외기록물을 발굴하고 분석하는 일을 맡고 있다. 「광주항쟁과 초국적 후원 네트워크」, 「아르헨티나와 칠레의 이행기 정의 실천과 교훈,」 「망각에서 기억으로, 그
전남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켄터키 대학교 사회학과 박사과정을 마쳤다. 1980년 광주항쟁 당시 항쟁의 기폭제 역할을 했던 전남대학교 총학생회에서 학술부장으로 활동했다. 이 때문에 광주항쟁 이후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고, 뒤늦은 졸업 후 공공기관에서 30년간 근무 · 정년퇴직하였다. 국방부 5.18민주화운동 특별조사위원회 조사관을 역임하고, 지금은 5.18기념재단에서 연구위원으로 봉사하고 있으며, 주로 5.18 관련 해외기록물을 발굴하고 분석하는 일을 맡고 있다. 「광주항쟁과 초국적 후원 네트워크」, 「아르헨티나와 칠레의 이행기 정의 실천과 교훈,」 「망각에서 기억으로, 그리고 어디로?: 브라질의 이행기 정의 실천과 교훈」, 「카터 행정부의 대한정책 프레임 전환과 5.18민주화운동」, 「미국의 주류언론에 투영된 광주항쟁: 비판적 검토」 등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최용주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0년 05월 01일
쪽수, 무게, 크기
248쪽 | 464g | 152*220*15mm
ISBN13
9788970940762
KC인증
kc마크 인증유형 : 적합성확인

책 속으로

"우리에겐 목소리가 없어. 우리의 목소리가 되어주게. 바깥 세상 사람들에게 우리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려주게." 할머니는 두려움이 없는 눈으로 나를 뚫어질 듯 보았다. 나는 그 자리에 굳어버렸다. 나는 여기에 '목격하기 위해' 있었다. 할머니가 내게 분명한 임무를 주었다. 나는 그 할머니와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 40년이 지난 이제야, 그 책임을 마주할 수 있게 되었다. 내가 너무 늦지 않았기를 바랄 뿐이다.

--- 「프롤로그」 중에서

리뷰/한줄평30

리뷰

9.8 리뷰 총점

한줄평

10.0 한줄평 총점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
15,000
1 1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