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제 1 장 미생물학 개요 및 분류
1.1. 미생물학의 역사와 발전 1.2. 식품미생물 1.3. 미생물 명명법 1.4. 미생물 분류법 제 2 장 미생물 세포의 구조와 기능 2.1. 단세포와 다세포 2.2. 원핵세포와 진핵세포 제 3 장 미생물 생육과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1. 미생물의 영양원과 에너지원 3.2. 미생물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3.3. 미생물의 생육곡선 3.4. 미생물의 생육도 측정법 3.5. 배지 3.6. 배양 3.7. 보존 제 4 장 세균의 형태와 분류 4.1. 세균의 형태 4.2. 세균의 크기 4.3. 세균의 증식 4.4. 세균의 분류 제 5 장 중요한 세균 5.1. 그람양성균 5.2. 그람음성균 5.3. 방선균 제 6 장 효모 6.1. 효모의 형태 6.2. 효모의 증식 및 생리작용 6.3. 효모의 분류 6.4. 중요한 효모 6.5. 효모를 이용한 술의 종류 제 7 장 곰팡이와 버섯 7.1. 곰팡이의 형태 7.2. 곰팡이의 증식 및 생리작용 7.3. 곰팡이의 분류 7.4. 중요한 곰팡이 7.5. 담자균류(버섯) 제 8 장 바이러스와 파지 8.1. 바이러스와 박테리오파지 8.2. 파지의 구조 8.3. 파지의 생활사 8.4. 파지에 대한 대책 제 9 장 거대분자와 유전정보 9.1. 정보성 거대분자 9.2. 유전정보의 흐름 제 10 장 미생물의 유전과 변이, 유전자 재조합 10.1. 미생물의 유전 10.2. 미생물의 변이 10.3. 유전자 재조합 제 11 장 발효식품과 미생물 11.1. 발효식품 11.2. 주요 발효미생물 11.3. 우량 균주의 육성 및 이용 제 12 장 부패와 식중독 미생물 12.1. 식품의 부패 12.2. 식품의 부패에 관여하는 미생물 12.3. 주요 식품의 부패 12.4. 식중독 정의 및 발생 기전 12.5. 식중독에 관여하는 미생물 제 13 장 식품 중 미생물 검출 13.1. 식품의 미생물학적 품질검사 목적 13.2. 미생물 검사를 위한 검체 채취 13.3. 식품 중 미생물 검출법 제 14 장 미생물 제어법 14.1. 미생물 제어법 관련 용어 14.2. 가열 제어법 14.3. 비가열 제어법 14.4. 허들효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