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0년 03월 18일 |
---|---|
쪽수, 무게, 크기 | 288쪽 | 388g | 148*210*20mm |
ISBN13 | 9791190149297 |
ISBN10 | 119014929X |
출간일 | 2020년 03월 18일 |
---|---|
쪽수, 무게, 크기 | 288쪽 | 388g | 148*210*20mm |
ISBN13 | 9791190149297 |
ISBN10 | 119014929X |
경제기사를 읽으면 ‘경제를 보는 눈’과 ‘생각’이 커진다! 빠르고 정확하게 경제 흐름을 파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것은 바로 ‘경제기사를 읽는 것’이다. 경제기사를 읽으면 전 세계 경제 이슈를 파악하는 것은 물론 세계 경제 움직임과 시사상식 및 경제상식을 함께 키울 수 있다. 그래서 어릴 때부터 학교에서 신문 읽는 법이나 신문 활용법에 대해 알려주기도 한다. 이제 우리는 경제를 모르면 살기 힘든 세상에서 살고 있다. 어릴 때부터 용돈 기입장 쓰는 것, 심부름하는 것, 물건 사는 것 등 경제는 우리 생활의 모든 면과 연결되어 있으며, 자본주의에서 사는 현대인의 대화에서 ‘경제’ 이야기는 단골 소재가 되었다. 흔히 경제를 알려면 경제기사를 많이 읽어 보라고 말하지만, 경제를 모르는 사람들은 어떤 기사가 좋은 기사인지, 어떻게 읽으면 좋은지, 자주 쓰는 경제 용어에는 무엇이 있는지조차 알 수 없다. 그래서 기사를 읽기 전 기초 지식과 상식부터 쌓은 후 기사를 읽어야 한다. 이 책은 경제에 관심 있는 사람과 경제를 알고 싶은 사람을 위해 썼다.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경제기사에서 우리가 알아야 하는 사실과 놓치기 쉬운 내용 등에 설명하고, 사실과 근거가 되는 도표와 그래프를 넣었다. 그래서 그동안 딱딱하고 어렵게 느꼈던 경제 전반에 대해 말랑말랑하고 부드럽게 이야기를 풀고 있다. 이 책은 ‘경제’가 궁금한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나이에 상관없이 읽어보면 좋다. 특히 경제상식이나 경제 이슈에 관심이 많은 학생 독자들이 읽으면 경제에 대한 시야가 넓어지고, 경제에 대한 자기만의 확고한 관점이 생길 것이다. |
여는 글 _ 경제기사에 주목하라 6 제1부 경제기사 이해하기 제1장 경제기사 읽는 법 01. 경제기사로 경제공부하기 17 02. 가짜 뉴스와 팩트체크 26 03. 기사 제목에 낚인 당신 33 04. 기사의 종류 43 05. 나만의 입장을 세워라 50 제2장 그래프와 지표 이해하기 06. 호황 경기, 불황 경기 61 07. 기간별 경제지표 70 08. 경제지표를 읽다 78 09. 같은 수치, 다른 느낌 87 10. 수입 맥주 4캔에 담긴 만 원의 비밀 97 제3장 알아 두면 유용한 경제상식 11. 주가 상승은 왜 빨간색일까? 107 12. OECD부터 IMF까지 113 13. 국가 경제를 이끄는 사람들 121 14. 家, 價, 加의 차이 131 15. 기재부, 한은, KDI 138 제2부 실전 경제기사 읽기 제4장 경제를 움직이는 핵심 변수 01. 돈은 어디로 흐를까? 153 02. 물가가 적당할 순 없을까? 163 03. 부동산 A to Z 173 04. 실업률을 해석하다 184 05. 총성 없는 전쟁, 환율 192 제5장 국내 이슈 06. 한국 경제, 어디까지 왔나? 205 07. 보편적 복지, 문재인 케어 213 08. 소득 1분위 감소와 양극화 221 09. 정부 개입, 어디까지가 좋을까? 230 10. 냉정하게 따져 보는 경제 정책 238 제6장 국제 이슈 11. G2 대립, 최종 승자는? 247 12. 브렉시트가 뭐야? 254 13. 일본 수출 규제 262 14. 경제 영토 확대, 신남방·신북방 268 15. 남·북 관계 개선과 경제협력 276 닫는 글 _ 꾸준히 읽는 경제기사 스크랩하는 방법 284 |
경제라는 단어는 나에게는 참 딱딱하고 어렵게 느껴지는 말이였다. 어디서 부터 알아보아야 하는지,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잘 모르고 있었고 사실 엄두가 나지 않는 참 어려운 용어였다.
그래서 이 책의 제목을 처음 본 순간부터 나에게 정말 필요한 도서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읽게 되면서 모르는 용어도 많이 찾아보게 되고 또 알게 되면서, 내가 경제기사에 관련된 책을 들고 있단 자체도 뿌듯하고 나 자신이 참 대견하고 자랑스러워 보였다.
지은이의 프로필을 보면서 지은이처럼 경제를 잘 아는 똑똑한 사람이 되고 싶단 생각도 들었고, 지은이의 다른 도서나 블로그도 더 알고 싶어졌다.
요즘 코로나 때문에 더욱 가짜뉴스나 환율에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는데 다양한 경제 분야를 알기 쉽도록 풀이해줘서 너무 좋았다.
1부에서는 가짜뉴스나 팩트 그리고 경제지표에 대한 전반적인 경제나 경제기사의 개념을 위주로 다룬 내용이였다면, 2부는 경제에 대한 이슈나 변수 같은 응용편을 다룬 내용 같았다.
나는 닫는 글에 스크랩해서 꾸준히 경제를 접할수 있는 요령을 알려줘서 참 유용했다.
블로그나 SNS를 이용해 스크랩할 공간을 만들어서 평소 관심있게 보는 경제 용어를 검색도 해보고, 경제와 관련된 기관을 즐겨찾기하는 방법과 주제 선정에 관한 내용도 참 유익했다.
요즘은 부동산, 펀드, 연금, 리츠, 미술재테크 , 환율 등등 여러 분야를 알고 싶어졌다. 자본주의 시대에 경제는 가장 중요한 부분인데 이 부분을 그동안 너무 간과하면서 살아왔다는 반성을 해본다.
앞으로는 크게 눈을 뜨고 내 주위의 세상을 찬찬히 바라봐야겠다.
나도 경제를 잘 아는 사람으로 거듭날 수 있다는 기대를 하면서 이 책의 마지막 페이지를 넘긴다.
경제를 잘 알고 싶은 마음에 [경제시장 흐름을 읽는 눈, 경제기사 똑똑하게 읽기]를 읽게 되었다.
경제기사 읽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팩트를 가려내는 일이다.
그런 후 해당 기사가 얼마나 타당하지를 따져 봐야 한다.
"만약 당신이 기사(신문)를 읽지 않는다면, 아무런 정보를 얻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만약 기사(신문)를 읽는다면, 당신은 잘못된 정보를 얻게 될 것이다."
- 마크 트웨인 -
- 연간 움직임, 국가경쟁력 지수
국가경쟁력이란 한 나라가 사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국민경제의 성장 및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이끌어내는 능력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세계경제포럼(WEF)의 국가경쟁력 순위를 들 수 있다. 이 순위가 절대적인 지표는 아니지만, 국가 간 경제 상황을 비교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참고할 만하다.
한국은 2019년 기준 13위로 141개국 중 전년 대비 2계단 상승했다. 거시 경제 안정성, ICT 보급, 인프라, 보건 등 기본 환경과 4차 산업혁명 등에 대비한 혁신 역량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기사에는 [13위로 오른 한 국가경쟁력... 노동 유연성은 97위]
기사 제목만으로도 우리는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 상황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우리가 눈여겨봐야 하는 것은 국가경쟁력이 상승했어도 국민 노동 시장은 다소 낮은 평가를 받았다. 국가경쟁력 평가는 제도, 인프라 외에 보건, 노동 시장, 금융 시스템, 시장 규모, 기업 역동성 등을 다각도로 평가한다. 그래서 13위는 일종의 종합 순위이며, 개별지표로 따졌을 때는 결과가 달라진다는 뜻이기도 하다. 무작정 순위가 올랐다고 칭찬하는 것보다는 개선해야 할 부분도 잘 살펴야 한다.
- 주식시장에서는 빨간색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주식시장에서 빨간색은 주가 상승을, 파란색은 주가 하락을 나타낸다. 미국은 우리와 정반대다.
- 한국 경제를 이끄는 세 학파는 서강학파, 학현학파, 조순학파이다.
딱딱하고 어렵게 생각되는 경제기사를 쉽게 설명한 책이라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1부에서는 경제기사 이해하기로 경제기사 읽는 법, 그래프와 지표 이해하기, 알아두면 유용한 경제 상식, 2부에서는 실전 경제기사 읽기로 경제를 움직이는 핵심 변수, 국내 이슈, 국제 이슈, 경제기사 스크랩하는 방법도 나와 있다. 우리는 경제 환경 속에 살고 있다. 경제를 알아야 삶이 더 풍요로워질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어렵게 느껴지는 경제 기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경제시장흐름을읽는눈, #경제상식, #경제기사, #경제기사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