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걸 크러시』를 펴내며 1부 | 복수자들 검녀, 조선의 여성 검객 | 윤혜빙, 예의 없는 남편을 거부하다 | 박문랑과 박효랑, 자매는 용감했다 | 신태영과 한 여자, 이혼을 둘러싼 사랑과 전쟁 | 은애, 나는 음탕한 여자가 아니다 | 길녀, 도적의 손에 죽느니 내가 도적을 죽이리라 | 희천 땅의 며느리, 원수를 갚다 2부 | 영웅의 기상 다모, 조선 시대 여성 경찰 | 방관주와 영혜빙, 내면으로 완성한 동성혼 서사 | 윤희순, 여자라고 의병장이 못 되겠는가 | 정수정, 남성과 여성의 경계를 뛰어넘다 | 계월향, 왜장을 죽인 평양 기생 | 부랑, 군복을 입고 전쟁터로 달려간 소녀 | 하옥주, 조선 여성이 꿈꾼 커리어 우먼 3부 | 쓰고 노래하다 김금원, 여행을 통해 페르소나를 벗다 | 이매헌, 바느질과 옷감 짜기에 흥미가 없어라 | 김호연재, 시는 나만의 ‘스왜그’ | 김삼의당, 조선의 최고 여성 문장가 | 기각, 여자로 태어난 것도 한인데 이룬 것도 없구나 | 이매창, 시골 기녀의 시가 문인들의 마음을 흔드네 | 이숙희, 여성의 배움에 이유가 필요하랴 | 전주 이씨, 소설가로 이름을 떨치다 | 사주당 이씨, 그녀는 시대가 규정했던 조선 여성이 아니었다 | 빙허각 이씨, 베스트셀러 작가로 남다 4부 | 사랑을 찾아서 환관의 아내, 이대로는 살 수 없어요 | 어떤 노처녀, 내면이 물리친 추한 외모와 장애 | 순매, ‘밀당’의 고수 | 양백화, 내 남편은 내가 찾겠어 | 최랑, 아, 진짜 내가 책임질게 | 초옥, 남자 사람 친구를 꿈꾸다 | 향랑, 못 이룬 사랑을 찾습니다 | 옥영, 사랑과 가족은 그녀의 힘 | 무운, 운대사로 불러 주시오 5부 | 뛰어난 기개와 재주 만덕, 세 가지 기특함과 네 가지 희귀함을 가졌네 | 석개, 조선 최고의 여가수, 나는 노래하리라 | 사부인, 천하 지도는 내가 완성하고 말리라 | 김씨, 방탕한 남편을 길들이다 | 강남홍, 조선 여성들의 ‘워너비’ | 삼월이, 그녀는 조선의 페미니스트다 | 우하형의 후처, 내조의 여왕 주
|
임치균의 다른 상품
강문종의 다른 상품
이후남의 다른 상품
예나 지금이나 삶은 치열하다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분투한 이들의 꿈과 판타지 오늘날 유행하는 ‘퓨전 사극’의 특징 중 하나는 진취적이고 주체적인 여성 주인공이다. 시대에 맞지 않는 캐릭터라는 비판이 나오곤 하는데, 실제로는 어땠을까? 1830년(순조 30), 한 소녀가 남장을 한 채 집을 나섰다. 이때 나이는 고작 열네 살. 충청북도 제천의 의림지를 시작으로 단양을 거쳐 금강산과 설악산을 누비고 마침내 한양의 남산까지 올랐다. 19세기 조선의 시인 김금원은 지금 보아도 놀라운 이 여행을 통해 세상을 만났다. 『조선의 걸 크러시』는 조선 시대의 사회상을 다양한 시각에서 보여 준다. 9년간의 소송으로 남편의 이혼 청구에 저항한 신태영의 이야기는 가부장제의 민낯을 드러낸다. 여성들의 사적 복수를 의롭다고 칭찬한 영조와 정조에게서는 법보다 효를 중시한 위정자의 자세를 포착한다. 또한 소설 「방한림전」의 동성혼 서사에서는 태동하는 여성주의를, 소설 「이춘풍전」에서는 흔들리는 남성 우위를 읽어 내 조선 말의 급변하는 질서를 살핀다. 글마다 함께 수록된 컬러 도판은 그 생생함으로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조선 여성들이 가녀리고 연약했으리라는 선입견을 바로잡는 1부 ‘복수자들’로 시작하는 『조선의 걸 크러시』는 ‘영웅의 기상’, ‘쓰고 노래하다’, ‘사랑을 찾아서’, ‘뛰어난 기개와 재주’까지 총 5부로 구성된다. 이 책의 등장인물들은 군대를 지휘해 잔 다르크처럼 나라를 구하기도 하고, 베스트셀러 작가로 이름을 떨치기도 하며, 사랑을 위해 모든 손해를 감수하기도 한다. 스스로를 엑스트라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이야기의 주인공은 당신이라는 것을 전해 주는 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