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머리말
초판에 부친 이브토시의 서문 돌아가다 폐허 체험의 영토 학교에 가다 읽다 쓰다 어떻게 쓸까 사진과 기록 마르그리트 코르니에와 나눈 대담 청중과의 질의응답 마르그리트 코르니에의 발문 |
저아니 에르노
관심작가 알림신청Annie ERNAUX,アニ- エルノ-,아니 뒤셴느Annie Duchesne
아니 에르노의 다른 상품
역정혜용
관심작가 알림신청정혜용의 다른 상품
10년 전, 이브토 시청으로부터 시립 미디어 도서관에서 강연을 해달라는 청을 받았다.
---「첫 문장」중에서 마음속 내밀하고 깊은 곳에 자리한 어떤 관점에서 이브토는 이 세상에서 내가 갈 수 없는 유일한 도시라고 말할 수 있을 겁니다. 어째서일까요? 그저, 이브토는 다른 그 어떤 도시와 다르게 제게 가장 중요한 기억의 장소, 어린 시절 및 학창 시절의 기억이 만들어진 장소이기 때문이고, 그 기억은 제 글과 일체를 이룰 정도로, 영원히 지워지지 않을 정도라고 말할 만큼 결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 p.14 부모가 운영하는 식료품점 겸 카페라는, 전적으로 장사에 바쳐졌으며 내밀한 삶이라고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장소에서 매일 펼쳐졌던 모습 그대로의 현실에, 그러니까 가장 노골적이며 때로는 가장 폭력적인 사회적 현실에 맞닥뜨렸던 만큼, 어린 시절과 청소년 시절 제 시선이 포착해서 차곡차곡 쌓아 뒀던 것들을 강조하려고 합니다. --- p.24 내부로부터의 이민자인 제가, 어떤 방식으로 글을 쓸 수 있을까요? 처음부터 저는 한쪽에 자리한 문학적 언어, 배우고 사랑했던 그 언어, 그리고 다른 한쪽에 자리한 출신 언어, 집에서 부모가 사용하는 언어, 피지배자들의 언어, 그 뒤 제가 부끄럽게 여기지만 여전히 제 안에 남아 있을 언어, 이 두 언어 사이의 긴장 속에, 심지어 찢김 속에 잡혀 있었습니다. 결국, 문제는 이거죠. 글을 쓰면서 어떻게 나의 출신 세계를 배반하지 않을 것인가? --- pp.43~44 문학은 개인적인 것들을 비개인적 방식으로 써서 보편에 도달하려고 애쓰는, 장 폴 사르트르가 〈보편적 개별자〉라고 불렀던 것을 만들어 내려고 애쓰는 작업입니다. 오로지 이렇게 함으로써만 문학은 〈고립을 부숩니다〉. 오로지 이렇게 함으로써만 수치, 사랑의 열정, 질투, 흘러가는 시간, 가까운 친척의 죽음에 대한 경험, 이 모든 삶의 일을 나눌 수 있습니다. --- p.48 저는 제 삶을 사람들의 역사, 시대의 역사, 세계의 역사와 분리할 수 가 없었어요. 그래서 『세월』은 개인적인 동시에 비개인적인 형식을 취하게 됩니다. --- p.112 제 작품 중 몇몇은 사람들에게 그들이 생각해 볼 엄두를 내지 못했던 것들을 인식하고, 혼자라고 덜 느끼고, 더 자유롭다고, 어쩌면 그래서 더 행복하다고 느낄 수 있게 해줬던 듯합니다. 『자리』, 『수치』, 『빈 옷장』이 떠오르는군요. 어쩌면 사회적 세계의 불명료성과 제 글을 읽는 사람들 사이에서 매개자 노릇을 하면서 제 부류의 한풀이를 했던 듯합니다. 상징적으로 그렇게 했죠. --- pp.120~121 |
아니 에르노의 존재가 시작된 곳,
이브토에서 글 쓰는 삶을 말하다. 「제 욕망과 제 꿈과 제가 겪은 수모로 채워진 영토죠.」_본문 중에서 이브토는 저자의 작품에 자주 언급되는데, 때때로 명명되지 않은 채 등장하기도 한다. 특히 초기의 세 작품이 그러하며, 『빈 옷장』에서는 이브토 주민들과 그곳에 발을 들였던 사람들만이 〈클로파르가〉라는 명칭 뒤에서 〈클로데파르가〉를 알아볼 수 있었을 것이다. 또『남자의 자리』와 『부끄러움』에서는 〈Y〉라는 머리글자로만 그 존재를 드러냈을 뿐이다. 그 이후에 발표된 소설 『한 여자』, 『탐닉』, 『세월』에서는 직접적으로 지명을 밝히고 있다. 에세이 『다른 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이브토는 아니 에르노의 작품 세계 속에서 본원적 자리를 차지해 왔다. 식료품점 겸 카페를 운영한 부모에게서 받은 영향, 자신의 출신으로부터 비롯된 수치, 교육을 받고 책을 접하면서 맞이한 변화, 계급 종단자(출신 계급에서 이탈하여 다른 계급으로 옮겨 간 사람)로서 겪는 이중의 경험 등은 결국 아니 에르노가 〈무엇을〉 〈어떻게〉 써나가야 할지 깨닫게 된 결정적 계기를 제공했다. 「내부로부터의 이민자인 제가, 어떤 방식으로 글을 쓸 수 있을까요? 처음부터 저는 한쪽에 자리한 문학적 언어, 배우고 사랑했던 그 언어, 그리고 다른 한쪽에 자리한 출신 언어, 집에서 부모가 사용하는 언어, 피지배자들의 언어, 그 뒤 제가 부끄럽게 여기지만 여전히 제 안에 남아 있을 언어, 이 두 언어 사이의 긴장 속에, 심지어 찢김 속에 잡혀 있었습니다. 결국, 문제는 이거죠. 글을 쓰면서 어떻게 나의 출신 세계를 배반하지 않을 것인가?」_본문 중에서 아니 에르노와 오랜 인연을 맺으며 그를 연구해 온 학자 마르그리트 코르니에는 아니 에르노와 이브토의 관계성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가족의 행복, 꿈, 끝없는 독서의 장소이자 또한 비밀과 수모의 장소, 한마디로 인격의 구축과 작가의 소명이 일어나는 장소다. 그리하여 이브토는 작가의 기억과 상상 속에 동시에 새겨진다. 왜냐하면 작가가 언급하는 도시는 과거에 속하기 때문이고, 또한 언어로 표현되면서 문학적인 동시에 살아 있는 장소가, 사회적 환경과 시대의 전형이 된 개별적 운명들의 영토가 되었기 때문이다.〉 사회적 차별과 불공정을 목격하고 부유한 자들의 동정과 계급적 멸시를 체험한 어린 시절부터 객관적이고 절제된 문체를 구사하는 독보적인 작가로 명성을 떨치고 나서까지 이어지는 이브토에서의 궤적을 통해, 아니 에르노가 지닌 딜레마와 열망, 그리고 애착을 들여다볼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