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닫기
사이즈 비교
소득공제
Disgrace
외서

Disgrace

[ Paperback ] 바인딩 & 에디션 안내이동
리뷰 총점9.0 리뷰 2건 | 판매지수 72
정가
22,000
판매가
17,600 (20% 할인)
구매 시 참고사항
  • 2003년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1999년 부커상 수상작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13년 09월 02일
쪽수, 무게, 크기 216쪽 | 180g | 128*197*20mm
ISBN13 9780140296402
ISBN10 0140296409

이 상품의 태그

Morning and Evening 욘 포세 ' 아침 그리고 저녁' 영문판

Morning and Evening 욘 포세 ' 아침 그리고 저녁' 영문판

13,650 (35%)

'Morning and Evening 욘 포세 ' 아침 그리고 저녁' 영문판' 상세페이지 이동

The Remains of the Day

The Remains of the Day

10,850 (30%)

'The Remains of the Day' 상세페이지 이동

Never Let Me Go

Never Let Me Go

8,750 (30%)

'Never Let Me Go' 상세페이지 이동

Lord of the Flies

Lord of the Flies

9,940 (35%)

'Lord of the Flies' 상세페이지 이동

Klara and the Sun

Klara and the Sun

9,040 (35%)

'Klara and the Sun' 상세페이지 이동

My Name is Red

My Name is Red

20,080 (20%)

'My Name is Red' 상세페이지 이동

The Never Let Me Go

The Never Let Me Go

15,380 (18%)

'The Never Let Me Go' 상세페이지 이동

Simple Passion 아니 에르노 단순한 열정 영문판

Simple Passion 아니 에르노 단순한 열정 영문판

10,800 (25%)

'Simple Passion 아니 에르노 단순한 열정 영문판' 상세페이지 이동

Melancholy I-II

Melancholy I-II

14,630 (30%)

'Melancholy I-II' 상세페이지 이동

Klara and the Sun

Klara and the Sun

16,000 (20%)

'Klara and the Sun' 상세페이지 이동

The Golden Notebook

The Golden Notebook

27,040 (18%)

'The Golden Notebook' 상세페이지 이동

One Hundred Years of Solitude

One Hundred Years of Solitude

10,000 (20%)

'One Hundred Years of Solitude' 상세페이지 이동

The Plague

The Plague

16,000 (20%)

'The Plague' 상세페이지 이동

Blindness

Blindness

19,040 (20%)

'Blindness' 상세페이지 이동

Paradise : 2021 노벨문학상 수상 압둘라자크 구르나

Paradise : 2021 노벨문학상 수상 압둘라자크 구르나

15,300 (15%)

'Paradise : 2021 노벨문학상 수상 압둘라자크 구르나' 상세페이지 이동

Memoire de fille (프랑스어)

Memoire de fille (프랑스어)

14,250 (5%)

'Memoire de fille (프랑스어)' 상세페이지 이동

The Years

The Years

16,800 (20%)

'The Years' 상세페이지 이동

A Shining - WINNER OF THE 2023 NOBEL PRIZE IN LITERATURE

A Shining - WINNER OF THE 2023 NOBEL PRIZE IN LITERATURE

15,000 (25%)

'A Shining - WINNER OF THE 2023 NOBEL PRIZE IN LITERATURE' 상세페이지 이동

The Red Sorghum

The Red Sorghum

16,000 (20%)

'The Red Sorghum' 상세페이지 이동

Averno: Poems

Averno: Poems

17,840 (20%)

'Averno: Poems' 상세페이지 이동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저자 소개 (1명)

추천평 추천평 보이기/감추기

"A slim novel with a bleak powerful story to tell ... Coetzee writes with a cool, calm lucidity that fends off despair, and his characters find a kind of peace in acceptance, if not hope."
--- Newsweek, November 15, 1999

"J.M. Coetzee's new novel "Disgrace," which last week won the South Afrian writer his second Booker Prize is an absolute page-turner. It is also profound, rich and remarkable ... is destined to be a classic."
--- New York Post, November, 7 1999

"A revelatory, must--read portrayal of racial fortunes reversed."
--- USA Today

"A subtly brilliant commentary on the nature and balance of power in his homeland... by a writer at the top of his form."
--- Time

"'Disgrace' is a relentlessly bleak novel."
--- The Boston Sunday Globe, November 14, 1999

회원리뷰 (2건) 리뷰 총점9.0

혜택 및 유의사항?
Disgrace 내용 평점4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R*****l | 2012.08.01 | 추천2 | 댓글0 리뷰제목
어느 순간 되돌아보면, 삶은 서서히 어두워져가는, 전등조차 없는 텅빈 방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그런 방으로 노을이 질때면, 낮동안에 태웠던 모든 것들을, 모든 것을 태웠음에도 이제 맞을 수 밖에 없는 삶의 마지막을 마지막으로 준비시켜주 듯, 보여주는 것 같을 때가 있다. 삶에서, 이것이야 말로, 영원하지 않는 삶을 영원한 것 처럼 느끼게 해주는, 지금까지 내가 가져보지;
리뷰제목

어느 순간 되돌아보면, 삶은 서서히 어두워져가는, 전등조차 없는 텅빈 방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그런 방으로 노을이 질때면, 낮동안에 태웠던 모든 것들을, 모든 것을 태웠음에도 이제 맞을 수 밖에 없는 삶의 마지막을 마지막으로 준비시켜주 듯, 보여주는 것 같을 때가 있다. 


삶에서, 이것이야 말로, 영원하지 않는 삶을 영원한 것 처럼 느끼게 해주는, 지금까지 내가 가져보지 못한, 해보지 못한,…채우려해도, 늘 모자랐던, 자신만의 비밀스런, 그런 욕망들은 얼마나 다양한 모습으로 삶에서 나를 움켜쥐었던지…하지만, 나이가 든다는 것은, 어느 순간 나를 꼭 움켜쥐었던 욕망들이 덧없음을 깨닫는 것이였고, 그 욕망들이 이제 사그라져 가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기도 했다. 욕망으로부터 자유로워 지는 것...아마도 그것이 나이듦이 주는 작은 축복은 아닐까? 물론 다시한번 산다면, 초연해지고 성숙해지기 이전에 또 다시 한번 욕망하고 쫓아가보겠노라고, 어쩔 수 없이 속삭여지는 어리석음을 깨닫기도 한다. 


다른 사람이 나를 보는 것과 내가 생각하는 자신에 대해 커다란 괴리가 생기는 것만큼, 그 괴리속에서 맹목적으로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욕망에 사로잡히다 보면, (욕망에 맹목의 기름을 붓다보면) 화려한 옷을 입었지만 (그것도 자신의 상상일 터이지만), 결국 맞지 않는 옷처럼 어색하거나 추해보일수 있다. 하지만 쉽게 우리가 그런 어리석음에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은, humility를 배워가며 자신의 모습을 깨닫는 것은 비참해 보이고, 허영과 자존심이 너무나 본능적인 것인 것이여서, 그 본능에 따라왔던 우리 자신이 너무나 높은 곳에 있어 보이기 때문은 아닐까 한다. 하지만, 진정한 자신을 알아가는 것, 그것에는 평화가 있지 않을까?


보봐리 부인은 자신의 허영과 관능적 욕망이 뒤엉킨 그녀 안에서 끓어오르는 열망을 겉으로는 부인했기에, 너무나 히스테릭해졌었다. 그리고 밖에서 억누르는 만큼, 안에서 더 끓어올랐었다. 하지만, 그녀가 그렇게 끓어올랐던 자신의 욕망을 밖으로 정당화하고 떳떳하게 채우려 했다면 어떤 모습이였을까? 자신의 욕망이 채워질때마다, 이것이야말로 시인들이 노래했던 축복이라며, 하나의 욕망이 사그러질때마다, 또 다른 욕망이 피어올라올때마다, 이 꽃에서 저 꽃으로 날아다니는 나비처럼 욕망을 채우려, 축복을 받으러 떳떳하게 날아다니지 않았을까? 그럼 우리는 욕망을 어떻게, 어디까지 정당화할수 있을까? 


두번의 이혼을 한, 52살의 영문학 대학교수 로리는 아직도 관능적 욕망이 너무나 강하다. 하지만, 그의 욕망이 문제가 되는 것은 그의 관능적 욕망이 항상 20대의 젊은 여자들에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는 그의 욕망이 자연이, 신이 자신을 통해 어쩔 수 없이 행하고 있기에, 자신도 어쩔 수 없는 것이기에 그 욕망을 어떻게든 채워야 한다고 정당화한다. 그리고 그 정당화 속엔, 그가 연구하고 있는, 복잡한 여성편력의 영국의 시인 바이런이 있다. (한편, 나중에 레즈비언인 딸에게 자신이 거부하지 못하는 성적 욕망의 어쩔 수 없는 상황을 설명함으로써 딸에게 무언의 동의를 얻는 듯 했다. 레즈비언인 딸도 성적 욕망에 관해선 어쩔 수 없었을 터이니 말이다.)

어느날, 로리는 그의 수업을 듣고 있는 20살 남짓의 멜라니를 유혹해 식사를 하고, 지금은 함께 살고 있지 않는 그의 딸, 루시의 방에서 관계를 가진다. 그리고 그후로 몇번 더. 하지만, 어느날 학교를 나오지 않는 멜라니, 학교를 이제 그만두겠다는 그녀의 말에, 그녀의 가족과 친구들을 그 사실을 알게되고 이 일로 그들은 로리를 학교측에 고발하게 되면서 그는 결국 학교를 떠나 시골에 살고 있는 그녀의 딸 루시를 찾아간다.


여기서 루리는 정말 뻔뻔한, 무자비한 아주 오만한 인간으로 나타난다. 멜라니가 무엇을 느끼는 지는 관심이 없고, 나는 멜라니가 고발하는 모든 것을 인정했을 뿐이여서 더 할말이 없다는 것이다. 진심이 담긴 사과의 말을 기대하는 사람들에게 당신들이 어떻게 내가 하는 사과의 그 진심을 측정할수 있냐고 반박한다. 사실, 그는 시골에 사는 그의 딸에게 갔음에도, 그것은 그에게 전혀 추락이 아니였다. 


여기서 나는 루리가 멜라니에게 한 일이 과연 자신의 딸에게 일어난다면, 루리는 어떻게 받아들일까 라는 의문을 가졌었다.


놀랍게도 작가 쿳시는 여기서부터, 등장시키는 인물들이 하는 말과, 루리가 이전에 행해왔고 앞으로도 행하는 일들이, 너무나도 정확하게 아주 다른 형식으로 그녀의 딸에게 일어나게 함으로써, 저 두꺼운 논리와 뻔뻔하고, 오만하고, 결코 타인의 아픔을 헤아리지 못했던, 자신의 관능적 욕망만을 채워나가는 루리를 조금씩 조금씩 깨고 있는 것 같았다. 


아마도 루리가 멜라니에게 하는 모든 행위는, 루시의 집 근처에 사는 등장 인물 페트루스가 정확히 루시에게 행하는 것과 일치시킴으로써 루리는 분노하는 데, 그것이 바로 소설 처음에 멜라니의 가족들이 느꼈을 분노였음을,....그리고 그 분노가 자신의 것이 됨으로써, 결국 타인의 고통을 이해하고, 그 속에 자신이 지금까지 행해왔던 정당화했던 욕망의 추함을 깨닫는 추락이 있음을....보여주는 건 아니였을까?


루리가 행했던 일들이 정확하게 다른 형태로 그녀의 딸에게 일어남으로써, (마치 아버지의 죄의 속죄를 위한 희생양이 되어야 하는 그녀가 안타까웠다.) 작가는 자신의 행위를 전혀 깨닫지 못하는 루리를 피해자가 무엇을 겪고 있는지를 자신의 딸의 고통을 통해 알게 함으로써 죄와 회개의 반복적 과정을 통해, 연민과 공감을 깨달아 가도록 한건 아닐까 한다.

2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공감 2 댓글 0
Disgrace, but never without the hope of salvation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4점 j******n | 2007.12.31 | 추천2 | 댓글1 리뷰제목
From the first moment I picked up this book I found it contained something inexplicable between the lines. You know the complexity of this book is disparaged with the simplicity of the synopsis at the back cover. Simply put, as somebody at the meeting said this book seemed to elongate a story short enough for 10 minute talk to huge and pains;
리뷰제목

From the first moment I picked up this book I found it contained something inexplicable between the lines. You know the complexity of this book is disparaged with the simplicity of the synopsis at the back cover. Simply put, as somebody at the meeting said this book seemed to elongate a story short enough for 10 minute talk to huge and painstaking story of about 220 pages. I agree to the person but I still believe the profound meaning and complicity have this book worth reading once or twice.

 

Perhaps it is really simple to judge David Lurie as a middle-aged, secular westerner who found Sex as a problem of his life and suffered severely from his womanizing instinct, raised naturally by the women of his personal history, but it is hard to sum up the geopolitical and religious meanings of his suffering, humility and disgrace leading him to a start-over.

 

Maybe youre going to query what I mean with this word religious, because Lurie seemed not to have to do with any kind of religion in his life. Far from the geopolitical apparition of Afrikaaners in South Africa in Luries vivid life, his life didnt seem to do with anything religious. Perhaps, he couldve attended a church in youth, but his latest life didnt make any kind of junction with religious course. Actually the reason why this religious idea popped up in my brain while we met was foolishly the name Lurie and Isaacs reminded me of some Jewish background. As a matter of fact, Lurie is a quite popular family name among Jews. I was not prejudiced anymore to consider Coetzee showed any form of Jewish involvement when I went through lots of chapters of Disgrace but still had an idea that this book may have some similarity in plot with the stories of Bilble.

 

Actually I found a stereotypical plot easily found in any stories of The Bible - sin, perdition, disgrace or punishment, any form of changes in life(Actually we call it repentance, but Im not sure it goes the same in the plot of this book, Disgrace, but still it contains some meaning.) and salvation.

 

Lurie was full of secret pride which couldnt be thrown away. He didnt care other peoples judgment on his affair with young and attracting pupil Melanie. His intention was only on nourishing his own desire of flesh. Simple is that. The hearing at the disciplinary committee was, therefore, nothing to a stubborn man with secret pride who simply ignored his folks demand to take what he was told to do at the disciplinary committee. However, this incidence was nothing but his perdition which led him to the small holding of Lucy, his daughter, in the rural area. There was the real disgrace of his life awaiting him. Attack and rape He was assaulted and burned. His daughter was raped and accepted what seemed outrageous enough not cease to irritate even readers not biding for the police power of the city but accepting so called protection which really meant taking of her own right on her small holdings and being a mistress of the tribal man, Petrus, who had been considered as one of inferiors in the old days. However, his life changed after that incident, which could be called disgrace or punishment as whatever you like, and in the end it reached the start over of his life even though which was not like the former life.

 

Maybe you see the point here. Considering Lurie is a kind of apparition of Afrikaaners, we can see the stereotypical plot of The Bible here - sin, disgrace, regret or repentance and salvation(new start).  And one thing more : The irritating nature of this book has abundant precedences in the books of prophets like Isaiah, Jeremiah, Micah, etc. Summing up these two points, in my opinion, this book could be interpreted with the perspective of the prophetic writings of The Bible.

 

I know it would sound funny. But I suppose you may not find it weird anymore when we consider that prophets were people who should tell the inconvenient truth - inconvenient enough to provoke other people to hate them and want to take their lives. From The Bible, you can find lots of examples like this book. If you cant find them irritating you, its because you are alienating yourself from the audiences of the prophets in respect of time disparagement and ethnical differences. Normal folks in the biblical age were vexed and bugged by the prophets constantly. Maybe Socreates c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people who acted like prophets even though he was a Greek and not bearing even a drop of Jewish blood in his vein. You remember Socrates mentioned himself as a fly of Athens to wake up people who fell into the sleep of ignorance. Disgrace provokes people who read it when we think of the plot, no matter what Coetzee really intended to do with this book.

 

On the new start or salvation of South Africa, I need to explain one thing I remember from the last meeting. We need to focus on the point that Lurie was working on an opera on Byrons life in Italy, even though it was not obvious whether he could finish it up. I guess this means the desire and aspiration,  for fame, of Afrikaaners and of South Africa as a ethnically mingled state. Recently, South Africa is getting more light from its economical and political improvements achieved in last 10 years, after South Africa turned down the old transgressions, like apartheid, as Lurie killed the crippled dog. Maybe that was the moment of humility when his secretive pride faded away but also the moment of salvation for Lurie to have a chance to start all over again.

 

One thing more to think about... Maybe somebody may ask on what quality Melanie was so different from other women in his former life, even she made it possible to ruin his life with a mere fling.

 

I think she was not that different from other women. Maybe it was just timing or  natural course to undo his reputation like an implementation by the author to make story flow. As we know Lurie was nothing but the avartar of desire for flesh. This desire can be substituted by instinct to conquer and dominate when Lurie is a representative of Afrikaaners or westerners of good old days. His desire and life were already combined as a sequel of iniquities. Just he didnt understand and care for the ethical meaning of his life. From this view point, incidence with Melanie was just the continuation of his desire driven life and some kind of passage to Lurie's disgrace. Anyway, as you well know, South Africa was condemned by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apartheid and Lurie, a secretly proud representative of Afikaaners, was standing at the hearing, ignoring what other people concerned as South Africa didnt care for its own reputation in the reign of Afrikaaners. Thus I suppose disgrace is not always something about humiliation. Someone who went through disgrace and had trouble big-time has chance to clench a hope, even just a little bit of it, which means a fresh start and the chance for redemption exists always on the flipside like that Janus has angry face on one side but smily face on the other side.

2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공감 2 댓글 1

한줄평 (1건) 한줄평 총점 10.0

혜택 및 유의사항 ?
구매 평점5점
학교 수업으로 들었는데 읽을수록 암담했지만 변화하는 루리의 모습을 보는 것도 재미있었어요
이 한줄평이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 0
O**********D | 2022.10.24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17,6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