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이전

작가파일

박소란
국내작가 문학가
출생
1981년 출생
출생지
서울
직업
시인
작가이미지
박소란
국내작가 문학가
1981년 서울에서 태어나 2009년 『문학수첩』으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심장에 가까운 말』 『한 사람의 닫힌 문』 『있다』 『수옥』이 있다. [신동엽문학상] [노작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작가의 전체작품

작가의 추천

  • 언니의 사랑은 설움을 들쓰되, 끝내 강고합니다. 세상이 믿지 않는 믿음을 품고, 실현되지 못할 꿈을 붙들고 꿋꿋이 걸어갑니다. 온 마음을 쏟아, 쏟아……. 이 큰 사랑의 이야기를 이제야 비로소 나눌 수 있다니요. 우리가 그토록 그리워한 김명순, 언니의 ‘첫’ 소설집! 언니의 소설을 읽으며 우리는 조금 더 큰 사랑의 눈으로 세상을 보게 되겠지요, 문학을 지속하게 되겠지요. 문득 「돌아다볼 때」 속 소련의 방 머리맡에 족자로 걸려 있다는 롱펠로의 시 「화살과 노래」가 떠오릅니다. 그 시에는 허공에 쏘아올린 화살도, 허공을 향해 부른 노래도 땅에 떨어져 어디로 사라졌는지 알 수 없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하지만 시의 마지막은 이렇습니다. “아주 오랜 뒤 한 그루 참나무 속에서/나는 그 화살을 찾았네, 여전히 부서지지 않은 채로/그리고 그 노래를, 처음부터 끝까지,/한 친구의 마음속에서 다시 찾았네.” 언니의 지극한 사랑은 언니를 아끼는 독자들께, 친구들께 조금도 부서지지 않은 채로 처음부터 끝까지 남김없이 가닿으리라 믿습니다.
  • 윤초롬은 ‘생고기’, 아니 그보다 훨씬 생것인 무언가를 계속해서 끄집어낼 줄 안다. 그리고 그것을 따가운 “불판 위에 척,”(「엄마 딸이 죽었습니다」) 하고 구울 줄 안다. 애증으로 덕지덕지한 가족에 대해, ‘나’에 대해, ‘나’와 ‘나’의 주변을 휘감는 병에 대해, “칼끝을 물고 있”(「홍옥」)는 것만 같은 생활에 대해 전력으로 고백할 줄 안다. 고백은 대체로 담담하나, 가끔은 기도로 울음으로 비어지기도 한다. “으으으, 아으으”(「우리 돌기」) 포효로 터져 나오기도 한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피’의 끈질김 앞에 속절없이 앓아본 사람의 소리임에 분명한 것. 자신의 가장 깊은 곳까지 침잠해본 사람에게서 길어진 것. 스스로를 감추고 짐짓 세련된 태도로 적정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어떤 본령으로 여기는 때, 그 흐름을 가뿐히 거스를 줄 안다. 윤초롬의 그런 점이 나는 좋다. 그의 시에는 분전하는 생활의 어쩔 수 없는 증표라 이를 만한 ‘때’가 잔뜩 묻어 있고, ‘균열’ 또한 무수하다. 그 사이로 살았는지 죽었는지 알 수 없는 것들이 쉴 새 없이 들락거리는 풍경. 윤초롬은 그것을 집요하게 본다. 집요하게 되새긴다. 도무지 사그라지지 않는 고통의 정체를 추적하듯이. 거기에는 절망도 있고 원망도 있고 분노도 있다. 죄책감도, 책임감도 있다. 이를 다른 말로 “사랑의 열병”(「눈사람」)이라 해도 좋을까? 따갑게, 혹은 뜨겁게 세계를 견디는 힘이라고? “거절합니다”, 아마도 윤초롬은 그렇게 답하겠지. “아름다움 거절합니다/ 낭만적 거짓 거절합니다”(「타이레놀」). 그렇다. 솔직이라거나 진실이라거나 하는 것들의 표양은 대체로 아름답지 않은 법이니. 너절하고 참혹한 법이니. 하지만 아름답지 않아서 아름다운 것, 아름답지 않으려는 데서 오는 아름다움이라는 것이 있으니까. 허세와 기교와 낭만을 버리려는 데서 오는 굳센 아름다움. “슬픔의 단단한 이빨”(「문제아」) 같은 윤초롬의 시를 읽는 동안 나는 자연히 나의 고통, 나의 슬픔, 나의 상처를 여기에 덧대어본다. 그러면서 그가 최선으로 읊조리는 빛을 한뜻으로 열망한다. “좋아지고 있어/ 걱정하지 마”(「바깥 산책」) 같은 말을 주고받으며. 윤초롬은 다름 아닌 ‘너’를 위해, ‘우리’를 위해 자꾸만 무엇이든 쥐고 또 쥐고, 꽉 움켜쥔다. 그러다 문득 “밥 좀 잘 챙겨 먹어/ 뼈마디가 다 드러난 너의 가는 팔목을”(「뼈」) 끌어다 잡기도 하는 것이다.

작품 밑줄긋기

그*내 2025.06.01.
p.164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랑을 하고 희망하자

작가에게 한마디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