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간신히 아무도 그립지 않을 무렵
어두워진다는 것_나희덕 목이 긴 새_천양희 찔레꽃_송찬호 무화과 숲_황인찬 봄비_박형준 바람불이 2_신대철 다음에_박소란 꽃 피지 않았던들_이홍섭 기일(忌日)_강성은 바깥에게_김근 젖은 옷은 마르고_김용택 옛 노트에서_장석남 작별_이시영 너는 봄이다_박신규 벽 뒤에 살았습니다 사랑의 역사_이병률 우리 살던 옛집 지붕_이문재 뻘 같은 그리움_문태준 우산_박연준 피서_안태운 높새바람같이는_이영광 겹_김경미 목포항_김선우 오이지_신미나 화양연화_김사인 사랑에 대한 짤막한 질문_최금진 여름_조연호 세상 끝 등대 1_박준 그 여름의 끝_이성복 작별_주하림 언젠가 너를 잊은 적이 있다 개 같은 가을이_최승자 우리는 이렇게 살겠지_신용목 스물몇살의 겨울_도종환 아침 식사_자끄 프레베르 언젠가 너를 사랑한 적이 있다_남진우 눈물의 중력_신철규 가을_함민복 북한강에서_정호승 지금 오는 이 이별은_박규리 한로(寒露)_이상국 귀가 서럽다_이대흠 해 지는 쪽으로_박정만 그믐으로 가는 검은 말_이제니 그리운 차마 그리운 고라니_고영 벽 속의 편지―눈을 맞으며_강은교 강_황인숙 벙어리……장갑_김민정 목도리_박성우 폭설, 민박, 편지 1―「죽음의 섬(die toteninsel)」, 목판에 유채, 80×150cm, 1886_김경주 흰 바람벽이 있어_백석 그리움_이용악 지우개_이선영 빈집_기형도 너를 보내는 숲_안희연 먼 강물의 편지_박남준 가물가물 불빛_최정례 |
羅喜德
나희덕의 다른 상품
千良姬
천양희의 다른 상품
송찬호의 다른 상품
황인찬의 다른 상품
朴瑩浚
박형준의 다른 상품
신대철의 다른 상품
박소란의 다른 상품
이홍섭의 다른 상품
姜聖恩
강성은의 다른 상품
김근의 다른 상품
金龍澤
김용택의 다른 상품
張錫南
장석남의 다른 상품
Lee, Si-young,李時英
이시영의 다른 상품
朴信圭
박신규의 다른 상품
이병률의 다른 상품
李文宰
이문재의 다른 상품
Moon, Tae-june,文泰俊
문태준의 다른 상품
朴蓮浚
박연준의 다른 상품
안태운의 다른 상품
李永光
이영광의 다른 상품
김경미의 다른 상품
Seon Woo Kim,金宣佑
김선우의 다른 상품
申美奈, 싱고
신미나의 다른 상품
김사인의 다른 상품
崔金眞
최금진의 다른 상품
조연호의 다른 상품
박준의 다른 상품
李晟馥
이성복의 다른 상품
주하림의 다른 상품
최승자의 다른 상품
愼鏞穆
신용목의 다른 상품
도종환,都鍾煥
도종환의 다른 상품
南眞祐
남진우의 다른 상품
신철규의 다른 상품
함민복의 다른 상품
鄭浩承
정호승의 다른 상품
李戴欠,이이랑
이대흠 의 다른 상품
이제니의 다른 상품
강은교의 다른 상품
황인숙의 다른 상품
김민정의 다른 상품
朴城佑
박성우의 다른 상품
김경주의 다른 상품
BAEK SEOK,白石,白奭,백기행
백석의 다른 상품
이용악의 다른 상품
奇亨度
기형도의 다른 상품
안희연의 다른 상품
박남준의 다른 상품
崔正禮
최정례의 다른 상품
박규리의 다른 상품
李相國
이상국의 다른 상품
朴正萬
박정만의 다른 상품
고영의 다른 상품
이선영의 다른 상품
Jacques Prevert
자크 프레베르의 다른 상품
시요일의 안목으로 엄선한 이별 시
“당신 생각을 켜놓은 채 잠이 들었습니다” _함민복 「가을」 “초승달이 돋을 때쯤이면 너를 잊을 수 있겠다” _송찬호 「찔레꽃」 “꽃 피지 않았던들 우리 사랑 헤어졌을까요” _이홍섭 「꽃 피지 않았던들」 독자들의 일상을 시로 물들인 큐레이션 앱 ‘시요일’이 론칭 1주년과 이용자 20만 돌파를 기념해 시선집을 선보인다. 지난 1년간 다양한 큐레이션(오늘의 시/테마별 추천시/시요일의 선택)을 통해 시로 안부를 건넨 시요일은 20만이 넘는 이용자들의 뜨거운 호응을 받았다. 신경림 정호승 등 널리 알려진 시인뿐 아니라 강다니엘의 추천으로도 화제를 모은 시요일은 다양한 세대를 넘나들며 기존의 문학 독자를 넘어서 한동안 시와 멀어졌거나, 그동안 시를 접할 기회가 없었던 독자들까지 끌어안았다. 이에 기대 이상의 성원에 보답하고자 그간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찾은 키워드인 ‘사랑’을 테마로 시선집 『사랑해도 혼나지 않는 꿈이었다』를 펴낸다. 이 큐레이션 시선집은 ‘사랑’이라는 보편적인 호소력을 지닌 테마를 다루면서도 사랑의 시작이 아닌 끝을 조명하는 점이 색다르다. 청춘의 시인들이 응시한 사랑의 파국 “쓸모없는 아름다움만이 우리를 구원할 것이다” _이제니 「그믐으로 가는 검은 말」 “추락하는 여름이다. 멍청한 짓을 하며 너를 잊고 있다” _조연호 「여름」 “너를 생각하지 않고도 해가 졌다. 너를 까맣게 잊고도 꽃은 피고” _김용택 「젖은 옷은 마르고」 『사랑해도 혼나지 않는 꿈이었다』는 이별 후 찾아오는 감정들을 총 4부로 구성해 사랑이 지나간 자리를 시와 함께 가만히 따라가다 보면 자연스레 감정의 정화를 느낄 수 있다. 우리는 도무지 받아들일 수 없는 이별 앞에서 “너를 죽이면 나는 네가 될 수 있는가”(김근 「바깥에게」)라고 모진 말을 내뱉는가 하면 “멍청한 짓을 하며//너를 잊고 있다”(조연호 「여름」)라며 떠난 이를 지우려 안간힘을 쓰기도 한다. 그럼에도 때때로 “몹쓸 짓처럼 한 사람이 그리워”지는(고영 「고라니」) 것을 어쩌지 못하지만 종내는 “당신 나 잊고 나도 당신 잊고”(최정례 「가물가물 불빛」) “안녕 내 사랑, 부디 잘 있어라”라며(박남준 「먼 강물의 편지」) 지난 사랑에 작별을 고한다. 사랑을 다시 시작할 힘을 얻기 위해서 우리는 상실을 충분히 애도할 시간이 필요하다. 『사랑해도 혼나지 않는 꿈이었다』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별을 통과하는 과정을 담은 배치가 인상적이거니와, 오랜 세월 애송되어온 시와 숨은 명편을 조화롭게 안배한 균형감도 빼어나다. 문학이 낯선 독자들에게 건네는 시의 초대 “당신과 함께라면 내가, 자꾸 내가 좋아지던 시절이 있었네” _이영광 「높새바람같이는」 “나는 그만 한 사람을 용서하고 말았다” _천양희 「목이 긴 새」 “언젠가 너를 잊은 적이 있다 그런 나를 한번도 사랑할 수 없었다” _남진우 「언젠가 너를 사랑한 적이 있다」 “꽃들이 두어 평 좁은 마당을 피로 덮을 때, 장난처럼 나의 절망은 끝났습니다” _이성복 「그 여름의 끝」 이 책에서 또 하나 눈여겨보아야 할 점은 독자의 감상을 돕는 세심한 장치를 마련한 것이다. 시요일 기획위원으로 참여하는 시인들(박신규 박준 신미나)은 문학이 낯선 독자들도 시를 포기하지 않고 읽어낼 수 있도록 젊은 세대의 감수성에 조응할 만한 구절을 공들여 가려 뽑았다. 이 시구(詩句)들은 순례자의 머리 위를 비추는 북극성처럼 시의 세계에 첫발을 내디딘 독자들이 길을 잃지 않도록 이끈다. 55인의 시인이 노래한 이별의 여정은 잊었던 시의 아름다움을 되살리기에 부족함이 없다. 사랑의 마지막에 건네는 그들의 위로가 따뜻하다. 참여의 말 『사랑해도 혼나지 않는 꿈이었다』에는 사랑이 끝난 자리를 더듬어보는 55편의 시가 모여 있습니다. 지나온 사랑에 대한 애도가 있고 젖은 기억이 있고 부정과 분노가 있고 부서진 마음이 있습니다. 이제 막 잦아든 평온도 있으며 여기에는 냉정과 환멸이 뒤따릅니다. 우리들의 사랑이 모두 다른 모양이었던 것처럼 사랑의 끝자리도 모두 다릅니다. 모두 다르기는 하지만 하나같이 아픕니다. 지나가도 혹은 머물러도 좋을 사랑의 끝자리에 시가 함께 있습니다. _박준(시인) 작품 수록 시인(가나다 순) 강성은 강은교 고영 기형도 김경미 김경주 김근 김민정 김사인 김선우 김용택 나희덕 남진우 도종환 문태준 박규리 박남준 박성우 박소란 박신규 박연준 박정만 박준 박형준 백석 송찬호 신대철 신미나 신용목 신철규 안태운 안희연 이대흠 이문재 이병률 이상국 이선영 이성복 이시영 이영광 이용악 이제니 이홍섭 장석남 정호승 조연호 주하림 천양희 최금진 최승자 최정례 함민복 황인숙 황인찬 자끄 프레베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