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운다고 달라지는 일은 아무것도 없겠지만』 이후 4년 만에 박준 시인이 두 번째 산문집을 들고 찾아왔다. 계절마다 스쳐 지나간 순간들을 마주하며 써내려간 이번 책은 누군가에게 건네는 편지이기도, 내밀한 독백이기도 하다. 한 해의 끝과 시작 사이에 있는 이 계절, 시인이 건네는 인사에 온기가 전해진다. - 에세이 MD 김태희
|
문구
그믐 일월 산문 시작 다시 저녁에게 또다시 저녁에게 입춘 이월 산문 세상 끝 등대 4 장면 1박 2일 선물 - 수경 선배에게 봄의 혼잣말 - 처마 아래 풍경처럼 강변 삼월 산문. 봄의 스무고개 삼월의 편지 다시 회기 사월 산문 한계 이해라는 문 희극 사월의 답장 하나와 하나하나 원인과 결과 오월 산문 - 바둑이점 어떤 독해 다시 침묵에게 새 녘 혼자 밥을 먹는 일 헬카페 유월 산문 무렵 회차 여름 자리 장마를 기다리는 마음 저녁과 저녁밥 칠월 산문 멀리서, 나에게 정의 막국수 벗 팔월 산문 정원에게 어떤 셈법 다시 술에게 구월 산문 꿈과 땀 조언의 결 다시 행신 가을 우체국 앞에서 시월 산문 내가 품은 빛 노상 학원 가는 길 십일월 산문 - 종이 인형 기도에게 크게 들이쉬었다가는 이내 기침이 터져나오는 겨울밤의 찬 공기처럼 한참을 셈하다 십이월 산문 다시 노동에게 겨울 소리 쉼 쉼 쉼 우붓에서 우리는 냉온 이쪽과 저쪽 기다림 남쪽 번화 |
박준의 다른 상품
불행이 길도 없이 달려올 때
우리는 서로의 눈을 가려주었지 --- p.25, 「세상 끝 등대 4」 중에서 여리고 순하고 정한 것들과 함께입니다. 살랑인다 일렁인다 조심스럽다라고도 할 수도 있고 나른하다 스멀거리다라는 말과도 어긋남이 없습니다. 저물기도 하고 흩날리기도 하다가도 슬며시 어딘가에 기대는 순간이 있고 이내 가지런하게 수놓이기도 합니다. 뻗으면 닿을 것 같지만 잡으면 놓칠 게 분명한 것입니다. 따듯하고 느지막하고 아릿하면서도 아득한 것입니다. --- p.37, 「삼월 산문 - 봄의 스무고개」 중에서 나이가 들수록 바둑이점은 점점 넓어졌습니다. 몸이 자라고 얼굴이 커지면서 생기는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지금 제 얼굴에는 당시 있던 점이 보이지 않습니다. 점이 갈수록 넓어지고 색이 연해지면서 피부와 크게 다르지 않게 된 것입니다. 다. 저의 바둑이점은 그렇게 사라졌습니다. 이 슬프지 않은 일을 함께 슬퍼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pp.62-63, 「바둑이점」 중에서 살아가면서 좋아지는 일들이 더 많았으면 합니다. 대단하게 좋은 일이든, 아니면 오늘 늘어놓은 것처럼 사소하게 좋은 일이든 말입니다. 이렇듯 좋은 것들과 함께라면 저는 은근슬쩍 스스로를 좋아할 수도 있을 테니까요. --- p.95, 「칠월 산문」 중에서 분명한 것은 짧은 기간의 교류든 평생에 걸친 반려든 우주의 시간을 생각하면 모두 한철이라는 것이고, 다행인 것은 이 한철 동안 우리는 서로의 가장 아름다운 모습을 잘도 담아둔다는 것입니다. 기억이든 기록이든. 이제 첫서리가 내린다는 상강도 지났습니다. 아름다운 우리의 가을날이 또 이렇게 가고 있는 것입니다. --- p.141, 「시월 산문」 중에서 서로에게 번화했으므로 시간은 우리를 웃자라게 했습니다 --- p.182, 「번화」 중에서 |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운다고 달라지는 일은 아무것도 없겠지만』 박준 시인이 4년 만에 펴내는 신작 산문 시인이 불어넣은 언어의 숨결로 새로운 빛깔을 찾는 계절의 풍경들 ‘계절’이라는 단어를 앞세운 채 시간을 빼고 이야기할 수는 없겠다. 『계절 산문』 속의 시간들은 우리가 흔히 이르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이라는 계절로 분절되는 것이 아니라 한 줄기 바람과 같은 하나의 흐름으로서 우리의 삶에 오롯이 스며든다. 「일월 산문」부터 「십이월 산문」까지 이어지는 글의 순서는 시간의 흐름을 착실히 따르면서도 자주 넘나든다. 칠월을 지나는 중에 봄의 일을 기억하고 겨울을 지나는 중에 가을의 깊은 산중을 살피기도 한다. 이는 현재를 담담하게 살아가면서도 어제를 섬세하게 되짚고 미래를 다정하게 보살피는 시인의 따뜻한 마음과도 나란히 이어진다. 우리는 종종 어떤 순간을 앓고 나서 그리워하지만, 이 산문집의 글들은 추억과 기약에서 나아가 지금 보내고 있는 계절의, 내려오는 비와 불어오는 바람 그리고 흘러가는 구름을 그대로 느끼기에 충분하다. 책은 처음을 알리는 글 「문구」 속 ‘나무’ 이야기로 시작되어, 다음 글인 「그믐」에서부터 열린다. 나무는 시간을 온몸으로 견디며 항상 같은 자리에 서 있다. 우리가 문득 길가의 나무에서 새 눈이 돋고 푸른잎이 피어나며 이내 단풍으로 물드는 것을 보며 계절의 변화를 직감하듯 이 책 또한 그 자리에 오롯이 서서 독자를 맞이하고 새로운 계절로 안내한다. 시인이 한 해의 끝과 시작 사이에서 독자를 찾아온 이유 또한, 우리가 함께 책장을 열듯 한 해를 시작하자는 시인만의 새해 인사일 것이다. 산문집을 끝까지 읽고 나면 시인의 손짓을 따라 한 해를 잘 마무리한 것 같기도 하고 한 시절을 미리 다녀온 것 같기도 한, 배웅과 마중 사이 어디쯤 서 있는 기분이 된다. 모든 것이 이렇듯 지나가고 또 나아가는 것이라면, 그렇다면, 당신도 마음이 내키는 대로 다시 기껍게 그믐으로 발길을 옮겨볼 수도 있겠다. 다시 한 시절이 찬란하게 우리를 맞이하고 있을 테니까. |
[2022 내 맘대로 올해의 책]
미열,동경,우울과 애틋함의 계절이 담겨있다. 읽을 때면 손에 땀이 나서 종이가 울었다. - 정영욱 (작가,출판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