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 경북 김천에서 태어났으며, 고려대 국문과와 동국대 대학원 국문과를 졸업했다. 1994년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에 시 『처서處暑』 외 9편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수런거리는 뒤란』, 『맨발』, 『가재미』, 『그늘의 발달』, 『먼곳』, 『우리들의 마지막 얼굴』, 『내가 사모하는 일에 무슨 끝이 있나요』, 시 해설집으로 『포옹』, 『어느 가슴엔들 시가 꽃피지 않으랴 2』, 『우리 가슴에 꽃핀 세계의 명시 1』, 산문집으로 『느림보 마음』, 『바람이 불면 바람이 부는 나무가 되지요』가 있다. 소월시문학상, 노작문학상, 유심작품상, 미당문학상, 서정시학작품상, 애지문학상, 목월문학상, 정지용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새와 아내와 한 척의 배와 내 눈앞의 꽃과 낙엽과 작은 길과 앓는 사람과 상여와 사랑과 맑은 샘과 비릿한 저녁과 나무 의자와 아이와 계절과 목탁과 낮은 집은 내가 바깥서 가까스로 '얻어온' 것들이다. 빌려온 것이다. 해서 돌려주어야 할 것들이다. 홀로 있는 시간에 이 결말을 생각하느니 슬픈 일이다.
가재미
『우리가 사랑한 천국』을 읽는 동안 나는 하얀 민들레꽃이 만발한 작은 동산에 앉아 있는 듯했다. 이윤학 시인은 『우리가 사랑한 천국』을 통해 가만히 우리에게 “손안에서 비빈 오이풀” 냄새를 맡게 해준다. 글 곳곳에 오이 냄새가 난다. 글이 여린 새순 같고 붉은 꽃잎 같고 풀벌레 소리 같고 세상으로 처음 내려온 숫눈 같다. 나는 주인공 기덕이를 따라 명감 열매를 따러 가고 싶다. 물보라에서 피어나는 작은 무지개를 만져보고 싶다. 염소를 매러 가고 푸른 바다로 가 김을 뜯고 싶다. 기덕이 뒤만 졸졸 따라가면 내 두 볼에도 보조개가 생겨날 것이다. 똥산이 아줌마 무덤가에 졸망제비꽃을 심어주는 장면은 눈물겹도록 아름답다. 나는 이런 슬프고도 아름다운 동심을 예전에는 마주해본 적이 없다.
부처는 맑고 고요한 마음을 얻은 위대한 승리자이다. 이 책 『부처는 이렇게 말했다』는 부처가 어떤 수행자였는지, 어떤 것을 깨달았는지를 이해하기 쉽게 보여준다. 또한 부처의 가르침은 매우 자상하고 구체적인데, 많은 연구를 통해 그 내용이 일화와 함께 잘 드러나 있다. 초기불교 경전의 말씀을 통해 부처의 육성을 듣는 일도 신선한 경험이 될 것이다. 나는 이 책을 통해 최고의 기쁨을 얻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