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시인의 말| 5
1부_가장 가벼운 짐 붉고 푸른 못 12 모든 물고기들은 물에 뿌리를 두고 있다 14 긴 하루 지나고 16 화톳불 18 당신은 상추쌈을 무척 좋아하나요 19 투명한 땀 20 집 21 서호냉동창고 현장에서 22 거푸집을 구축하면서 23 못 24 가장 가벼운 짐 26 시멘트 27 목수는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28 전포동 30 가장 큰목수 31 스승 김인권 32 2부_크나큰 침묵 출감 36 아프리카 코끼리 37 추석 40 출근 42 아까운 놈 44 구절리 가는 길 45 마늘 까는 노인 46 끈질긴 혓바닥 47 오돌개 48 막소주 맛 50 옥선이 52 동무 생각 53 닭 이야기 54 아름다운 시절 56 꺼먹 고무신 58 대전에서 자전거 타기 61 구멍-1 62 구멍-2 63 3부_은근 살짝 물 속을 읽는다 66 봄바람과 싸웠다 68 다래끼 70 배 나온 남자 72 흑백사진 74 콩나물 비빔밥 76 조개눈과 화등잔 78 집 80 건널목 82 위대한 표어 84 11월 85 군불을 피우면서 86 칼국수 먹는 구렁이 88 만수산에 드렁칡들이 90 나팔수와 펜 92 중견 94 목격자를 찾습니다 96 참깨를 베면서 98 4부_서울은 왜 이렇게 추운 겨 자화상 100 뻥이라고 했다 103 묵언 106 채근담을 읽었다 108 몽정 110 제삿날 113 선풍기 116 시골 쥐 118 기름장어 120 머나먼 항해 122 취생몽사 124 이것이 인간인가 126 신분 사회 128 흙비 130 고래 131 놀양목 134 노구 136 소한 138 겨울밤 140 동행 142 낙엽 143 |해설| 홍기돈 145 |
劉容珠
유용주의 다른 상품
박남준의 다른 상품
안상학의 다른 상품
한창훈의 다른 상품
Lee Jeong lock
이정록의 다른 상품
잠 속에서도 시 쓰는 일보다
등짐 지는 모습이 더 많아 밤새 꿈이 끙끙 앓는다 어제는 의료원 영안실에서 세 구의 시체가 통곡 속에 실려 나갔고 산부인과에선 다섯 명의 아기가 태어났다 햇발 많이 받고 잎이 넓어지는 만큼 생의 그늘은 깊어만 가는데 일생 동안 목수들이 져나른 목재는, 삶의 무게는 얼마나 될까 겨우 자기 키만한 나무를 짊어지는 것으로 그들의 노동은 싱겁게 끝나고 만다 숨이 끊어진 뒤에도 관을 짊어지고 가는 목수들, 어깨가 약간 뒤틀어진 사람들 --- 「가장 가벼운 짐」 중에서 환갑을 바라보는 중늙은이와 지천명을 앞둔 반백의 사내가 정답게 마주앉아 전을 부치고 꼬치를 꿰고 나물을 무치고 탕을 끓인다 밖은 황사 뿌옇고 산벚꽃은 바람에 흩날리고 글쎄 명철이 양반 방앗간에서 그 잘난 쌀 방아를 찧는데 우리는 양이 너무 적어 이쪽에서 저쪽으로 넘어가는 시간이 얼마나 짧은지……, 받아서 뛰어오면 또 어느새 비어 있고……, 발동기는 기차 화통처럼 돌아가지요, 아부지는 빨리 안 받아온다고 퉁방울눈 부라리지요……, 보다못한 명철이 양반이 아, 유새완, 어린 딸이 무슨 죄가 있다고…… 조기는 찌고 고기는 양념장에 재워두고 누나만 그랬간? 누나가 품앗이로 기석이네 밭 매러 갔을 때 나는 아흔다랭이 완수 할아버지 무덤 뒤 감자밭 일구는 데 따라간 적이 있었거든 푸나무를 베어 불을 놓고 나무뿌리를 캐어내고 고랑을 만드는데……, 그러니까 국민학교 들어가기 전이었으니까 고작해야……, 잔돌 골라내는 정도……, 한 두어 고랑 만들고 아부지가 쉬어, 참 아부지처럼 맛나게 담배 잡숫는 분이 없었지 병아리 새끼처럼 아부지 옆에 슬그머니 앉으면 불같이 일어나서 담뱃불을 내던지는 거여 어린것이……, 싸가지 없이, 어른 쉬면 꼭 따라 쉰다고……, 어찌나 매몰차던지…… 지금 생각하면 자기 스스로에게 화를 낸 것 같지만…… 아이와 아내가 학교에서 돌아오고 멀리 수원에서 동생 내외와 조카가 내려오고 불을 밝힌다 술 그득 따라 올린다 이게 다 무슨 소용이여, 살아 계실 때 따뜻한 밥이라도……, 그예 누님은 한쪽 눈두덩이를 훔치고…… 그해 쌀 몇 가마니에 나를 장계 북동 어떤 남자한테 팔았는디 그 남자 나이를 속인 거여 알고 보니 서른일곱, 스무 살이 넘게 차이가 나는 겨 밤마다 부엌칼을 이불 속에 숨겨두고 잤제 벗은 남자 몸이 얼마나 징그럽던지 밤새 오들오들 떨면서 잠도 못 자고 도망갈 궁리만 했당게 반찬 산다고 속이고 장판 밑에다 몰래 돈을 모은 겨 첫눈이 내릴려고 그랬나 하늘이 어둑어둑해질 무렵 대전행 막차를 무조건 타버렸지 옷 보따리 하나 달랑 들고 신발 벗어지는 줄 모르고 뛴 생각을 하면…… 흐이구, 벌써 40년 세월이 흘러가버렸구먼 어이, 동상, 음복혀 --- 「제삿날」 중에서 |
몇 해 전이었다. 유용주 시인 몸에 고장이 났다는 소식을 들었던 때였다. 수많은 사람들에게 벼락을 거느린 천둥으로 다가갔었을 ‘젊은 날의 유용주 다큐멘터리’가 문득 떠올랐다. 그날, 나는 골방에서 새벽까지 홀로 소주잔을 비워내며 유용주 문장에 취했었다. 그가 통과해 나온 격랑의 청춘은 얼마나 빛나는 문장이었던가. 아버지 술빚에 팔려서 떠난 태 자리, 구불텅구불텅 휘감겼을 내리막길 팽팽 백 리일 것만 같은 고향 장수로 홀로 돌아간 유용주가 이윽고 갑년을 맞았다. 생긴 모습이 고릴라라고 하지만 뜯어보면 그 표정이 꽤나 다양해서 울림이 넓고 깊다. 때론 이른 아침에 뜯은 쑥이거나 캔 달래며 냉이였다가, 다시 보면 야산에서 따온 어수리였으며, 어느 때는 첩첩산중에서 훑은 다래순이었다가, 돌아보면 꺾은 두릅이나 고사리 같은 표정들이 여전히 이채롭다. 유장한 가락으로 빚은 문장으로 자신만의 성채(城砦)를 쌓아온 유용주 시인은 여전히 우뚝하다. - 이중기 (시인)
|
투박한 그의 손을 쥐어본 이는 알리라. 그가 얼마나 뜨겁게 신성한 삶을 일구어 왔는가를. 감히 그런 손을 소유하기란 책상머리를 잠시도 떠나본 적이 없는 이로서는 거의 엄두를 내지 못할 일. 그래서 그의 시에서는 현장의 짙은 땀내가 진동한다. 대못을 두드리는 굳건한 망치질 소리며, 사각거리는 톱질과 대팻날 소리가 어울려 새어나온다. 거뜬히 생의 묵직한 육괴를 주저 없이 짊어온 그의 문학. 매번 그가 부쳐온 책들을 펼치며 얼마나 부끄럽고 뺨이 화끈거렸던가. 흥건한 소금땀과 치열하게 연장을 부리는 시편들 앞에서 얼마나 막막하며 경건해졌던가. 하지만 이제야말로 노역을 내려놓고 안식을 얻어야 할 때, 그에게 휴식을 종용하기 위해 여러 벗들이 뜻을 모아 이 책을 엮었다. 이제 그만 등짐을 벗고 보드라운 평온과 고요의 품에 안기기를. 흔쾌히 그가 권유를 받아들일지는 지극히 의문스러우나. - 이학성 (시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