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섬진강 시인들
강 따라 흐르는 여섯 갈래 시의 물결
가격
12,000
10 10,800
YES포인트?
6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상세 이미지

책소개

목차

시집을 내면서 - 이원규(시인/사진가)
섬진강 시인 6명의 ‘몸詩 퓨전콘서트’

백학기 시인

흰소 _ 23
춤 _ 36
어느덧 _ 38
안부 _ 40
억새 _ 41
너의 사랑 _ 43
만리동 고개에서 이틀 _ 44

복효근 시인

누떼가 강을 건너는 법 _ 49
어느 대나무의 고백 _ 51
버팀목에 대하여 _ 53
예를 들어 무당거미 _ 55
마늘 촛불 _ 57
저녁 강에서 _ 58
새를 기다리며 _ 60
매화찬 _ 62
춘향의 노래 _ 64
섬진강- 섬진강에서. 1 _ 66

장진희 시인

늪 _ 71
봄 쑥 _ 72
가을 강 _ 74
억수장마 _ 75
물난리 속에서 _ 78
백일홍 _ 82
저녁노을 _ 84
가을 _ 85
이름 _ 86
반달이 싹을 틔워 _ 87

박두규 시인

강을 바라보다 _ 91
나마스카 _ 92
사랑은 홀로 어둠의 숲을 헤매고 _ 93
그렇게 그대가 오면 _ 95
저녁 강 _ 96
헛꽃 _ 98
홀로 깨어 두텁나루숲 창문을 열고 _ 99
어디에서 왔나. 이 향기 _ 101
눈부신 어둠 _ 102
가여운 나를 위로하다 _ 103

박남준 시인

저녁 강이 숲에 들어 _ 107
나무, 폭포, 그리고 숲 _ 109
따뜻한 얼음 _ 113
슬픔 _ 115
먼 강물의 편지 _ 116
이사, 악양 _ 117
겨울 풍경 _ 119
흰 부추꽃으로 _ 121
동백 _ 123
당신을 향해 피는 꽃 _ 125

이원규 시인

물안개 _ 131
안개 _ 132
겁나게와 잉 사이 _ 133
물앵두 _ 135
섬진강 첫 매화 _ 137
소쩍새의 길-일생 단 한 편의 시 4 _ 138
단지 그물 맛이 아니었으므로 _ 139
몽유운무화 _ 141
별빛 한 짐 _ 142
달빛을 깨물다 _ 144

저자 소개6

1981년 <현대문학> 추천과 <한국문학> 신인상으로 문단에 나왔다. 첫 시집 『나는 조국으로 가야겠다』를 비롯 3권의 시집과 시전집 『가슴에 남아 있는 미처 하지 못한 말』을 펴냈다. 영화계에 몸을 담아 배우와 감독으로 일하면서 시나리오를 썼으며 <여배우는 소리 내어 울지 않는다> <공중의자> <이화중선 撮影> 등을 제작, 연출했다. 현재 서울디지털대학(SDU) 교수로 재직하는 한편, 영화문화발전위원회 위원장과 한국청소년영화제 위원장 등을 맡고 있다.

백학기의 다른 상품

1962년 전라북도 남원에서 태어났다. 1991년 계간 시전문지 [시와 시학]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하였다. 시집으로 『당신이 슬플 때 나는 사랑한다』, 『버마재비 사랑』, 『새에 대한 반성문』, 『누우 떼가 강을 건너는 법』, 『목련꽃 브라자』, 『마늘촛불』, 『따뜻한 외면』, 『꽃 아닌 것 없다』, 『고요한 저녁이 왔다』 등이 있으며 시선집 『어느 대나무의 고백』과 청소년시집 『운동장 편지』, 교육 에세이집 『선생님 마음 사전』을 출간하였다. 편운문학상신인상, 시와시학젊은시인상, 신석정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작지만 야무진 시를 쓰자는 시 창작 동인 [작은 詩앗 채송화]에서 활동
1962년 전라북도 남원에서 태어났다. 1991년 계간 시전문지 [시와 시학]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하였다. 시집으로 『당신이 슬플 때 나는 사랑한다』, 『버마재비 사랑』, 『새에 대한 반성문』, 『누우 떼가 강을 건너는 법』, 『목련꽃 브라자』, 『마늘촛불』, 『따뜻한 외면』, 『꽃 아닌 것 없다』, 『고요한 저녁이 왔다』 등이 있으며 시선집 『어느 대나무의 고백』과 청소년시집 『운동장 편지』, 교육 에세이집 『선생님 마음 사전』을 출간하였다. 편운문학상신인상, 시와시학젊은시인상, 신석정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작지만 야무진 시를 쓰자는 시 창작 동인 [작은 詩앗 채송화]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남원 대강중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복효근의 다른 상품

1961년 진도에서 태어나 목포에서 자람. 젊어서 서울 살 때 출판편집자, 자유기고가, 대필 작가를 지냄. 서른일곱 살 때 무주로 귀농, 이후 진도로 귀농, 이때 쓴 『가난이 살려낸 것들』이라는 제목의 책을 아직 출판하지 못하고 있음. 오일장에서 진도 미역 등을 파는 장돌뱅이 13년째로 장터에서 만난 이야기를 월간 《전라도닷컴》에 연재 중. 시 쓰기를 ‘좋아하는’ 사람으로 순천작가회의에서 내는 <사람의 깊이> 등에 시를 발표. “섬진강 지류인 보성강 강가 마을, 앞산은 첩첩산중이다. 계절은 쉬임없이 흐르고, 그 계절을 맞이하고 보내면서 산다. 우리 집 진돗개 목줄을 풀어주고 인
1961년 진도에서 태어나 목포에서 자람. 젊어서 서울 살 때 출판편집자, 자유기고가, 대필 작가를 지냄. 서른일곱 살 때 무주로 귀농, 이후 진도로 귀농, 이때 쓴 『가난이 살려낸 것들』이라는 제목의 책을 아직 출판하지 못하고 있음. 오일장에서 진도 미역 등을 파는 장돌뱅이 13년째로 장터에서 만난 이야기를 월간 《전라도닷컴》에 연재 중. 시 쓰기를 ‘좋아하는’ 사람으로 순천작가회의에서 내는 <사람의 깊이> 등에 시를 발표.
“섬진강 지류인 보성강 강가 마을, 앞산은 첩첩산중이다. 계절은 쉬임없이 흐르고, 그 계절을 맞이하고 보내면서 산다. 우리 집 진돗개 목줄을 풀어주고 인적 드문, 강을 따라 나 있는 강기슭 길을 걷는다. 하루 팔만사천 갈래 생각이 오간다는 강. 숲 밖의 일을 접는 시간, 강가에 앉아 시를 쓴다, 숲에 들어 시를 쓴다. 날마다 좀 더 가벼워지는가, 자유로워지는가.”
1985년 『남민시(南民詩)』 창립동인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시집으로 『사과꽃 편지』, 『당몰샘』, 『숲에 들다』, 『두텁나루숲, 그대』 등이 있고 산문집으로 『生을 버티게 하는 문장들』, 『지리산, 고라니에게 길을 묻다』를 펴냈다. 지역에서 여순사건순천시민연대와 순천교육공동체시민회의, 순천작가회의 등을 조직하여 전교조 활동과 함께 했으며 이후 한국작가회의 부이사장, 생명평화결사 운영위원장,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공동대표, 지리산사람들 대표, 문화신문 지리산人 편집인으로 활동하였다.

박두규의 다른 상품

1957년 전라남도 영광 법성포에서 태어났으며, 1984년 시 전문지 [시인]에 시를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세상의 길가에 나무가 되어』, 『풀여치의 노래』, 『적막』, 『그 숲에 새를 묻지 못한 사람이 있다』, 『다만 흘러가는 것들을 듣는다』, 『중독자』, 『어린 왕자로부터 새드 무비』 등이 있다. 산문집 『쓸쓸한 날의 여행』, 『작고 가벼워질 때까지』, 『스님, 메리크리스마스』, 『하늘을 걸어가거나 바다를 날아오거나』, 『별의 안부를 묻는다』, 『꽃이 진다 꽃이 핀다』, 『박남준 산방 일기』 등이 있다. 전주시 예술가상, 거창 평화인권문학상, 천상병문학상 등을
1957년 전라남도 영광 법성포에서 태어났으며, 1984년 시 전문지 [시인]에 시를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세상의 길가에 나무가 되어』, 『풀여치의 노래』, 『적막』, 『그 숲에 새를 묻지 못한 사람이 있다』, 『다만 흘러가는 것들을 듣는다』, 『중독자』, 『어린 왕자로부터 새드 무비』 등이 있다. 산문집 『쓸쓸한 날의 여행』, 『작고 가벼워질 때까지』, 『스님, 메리크리스마스』, 『하늘을 걸어가거나 바다를 날아오거나』, 『별의 안부를 묻는다』, 『꽃이 진다 꽃이 핀다』, 『박남준 산방 일기』 등이 있다. 전주시 예술가상, 거창 평화인권문학상, 천상병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박남준의 다른 상품

1962년 경북 문경에서 태어났다. 1984년 《월간문학》, 1989년 《실천문학》으로 등단. 시집 『달빛을 깨물다』, 『돌아보면 그가 있다』 등이 있고, 산문집 『나는 지리산에 산다』 등이 있음. 제16회 신동엽문학상, 지리산지역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별나무> <몽유운무화> 등 초대 사진전을 10여 회 개최. “어느새 27년 세월, 날마다 지리산과 섬진강변을 어슬렁거렸다. 내 생의 가장 큰 축복이 아닐 수 없다. 그동안 전북 남원의 실상사와 경남 함양의 칠선계곡 입구에도 살아봤지만, 나의 주 무대는 섬진강이었다. 전남 구례군 토지면의 용두리와 외곡리, 그리고 문척면의
1962년 경북 문경에서 태어났다. 1984년 《월간문학》, 1989년 《실천문학》으로 등단. 시집 『달빛을 깨물다』, 『돌아보면 그가 있다』 등이 있고, 산문집 『나는 지리산에 산다』 등이 있음. 제16회 신동엽문학상, 지리산지역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별나무> <몽유운무화> 등 초대 사진전을 10여 회 개최.

“어느새 27년 세월, 날마다 지리산과 섬진강변을 어슬렁거렸다. 내 생의 가장 큰 축복이 아닐 수 없다. 그동안 전북 남원의 실상사와 경남 함양의 칠선계곡 입구에도 살아봤지만, 나의 주 무대는 섬진강이었다. 전남 구례군 토지면의 용두리와 외곡리, 그리고 문척면의 마고실과 토지면의 문수골 구산리, 경남 하동군 화개면의 덕은리 중기마을에 살아봤고, 전남 광양시 다압면의 외압마을에 살고 있다. 날마다 칭얼대며 지리산 어머니의 치맛자락에 매달리고, 섬진강 생명의 탯줄을 놓지 않고 살아왔다. 때로 가난하고 아프고 외롭고 절망적이어도 좋았다. 바로 지금 여기 이곳에 아직 살아있다는 것, 이것이야말로 내가 나에게 준 가장 큰 선물이다.”

이원규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5년 04월 03일
쪽수, 무게, 크기
144쪽 | 153*224*20mm
ISBN13
9791198798312

책 속으로

한때 너의 사랑을 꿈꾸었던
불같은 사랑은
사월이 되매 더욱 그리워진다
집 없이 갈길 또한 지평선을 향해 막막하고
사람 살아가는 모습 가끔씩 눈물겨운
사월이 오면 꽃봉오리에 가닿는 바람처럼
머물고 싶다. 머물러 혼의 종소리 울리고 싶다
그러나 가고 오는 세월은
사랑을 덧없다 꿈 같아라 이르고
먼 집 가까운 불빛 은은하게 앞길을 비추면
다시 살아가야 할 날이 오지게 서러웁다
시여 자유여
한때는 너의 사랑을 꿈꾸고
나와 너의 사랑이 이 세상에서
남겨 놓은 그 무엇 흔적조차 없을지라도
버릴 수 없다. 이 사랑을 이 세상을
너의 숨결을 만지고픈 사월이 오면
들판에 노란 뫼꽃 한 우주로 열리고
강물에 띄어보는 붉은 연심이 더더욱
가슴을 찌르는 이 환한 날들 앞에서
--- 「백학기, 너의 사랑」 중에서

사는 일 부질 없어
살고 싶지 않을 때 하릴없이
저무는 강가에 와 웅크리고 앉으면
내 떠나온 곳도
내 가야할 그곳도 아슴히 보일 것만 같으다

강은 어머니 탯줄인 듯
어느 시원始原에서 흘러와 그 실핏줄마다에
하 많은 꽃
하 많은 불빛들
안간힘으로 매달려 핀다

이 강에 애면글면 매달린 저 유정무정들이
탯줄에 달린 태 아들만 같아서
강심江心에서 울리는 소리
어머니 태반에서 듣던 그 모음만 같아서
지금은 살아있음 하나로 눈물겹다

저문 강둑에 질경이는 더욱 질겨
보일 듯 말 듯 그 끝에 좁쌀 같은 꽃도 부질없이 핀다
그렇듯
세상엔 부질없지 않은 것이 하나도 없어
오늘 밤 질경이꽃 한 톨로
또한 부질없는 것이 하나도 없다

아직 하류는 멀다
언젠가 이 탯줄의 하류로 하류로 가서
더 큰 자궁에 들어 다시 태어날 때까지는
내일도 나는 한 가닥 질경이로
살아야겠는 것이다

저 하류 어디쯤에 매달려
새로이 돋는 것이 어디 개밥바라기별뿐이겠느냐
나는 다시 살고만 싶다
--- 「복효근, 저녁 강에서」 중에서

저마다 세상에서 가장 아픈 상처
보석처럼 내밀어 떠들던 사람들 떠나고
제 슬픔을 비출 수 없는
마른 가을 강
바위 위에 앉았던 하얀 물새들도 하나둘 날아올라
서녘 하늘 붉은 노을 속으로 떼를 지어 떠났다
강기슭 비탈진 숲속
어둠이 짙게 배어들어
오늘 하루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아무도 아프지 않았다
하루씩 하루씩 사그라드는
옹이진 나무들 속은 누가 알까
밤벌레는 그 사연 짚어서
저리 깊이 울어대는가
--- 「장진희, 가을 강」 중에서

두텁나루숲에 앉아 강을 바라본다. 저 강의 흐름처럼 오로지 한 생
각만 바라볼 수 있으면 좋겠다. 강물은 끝내 바다에 이르러 스스로
소멸하듯, 생각의 끝에 이르러 내 망상의 세월이 다하면 나도 어느
새벽 낯선 바다의 수평선에 닿을 수 있을까. 흐르는 일의 일상을 산
다 해도 끝없이 거슬러 오르는 욕된 생각들, 그리운 사람도 바라던
일들도 모두 잊고 등을 돌려 저 강처럼 흐를 수는 없을까. 검붉은 노
을 속 강 하나, 어둠 속에서 홀로 빛난다.
--- 「박두규, 강을 바라보다」 중에서

여기까지 왔구나
다시 들녘에 눈 내리고
옛날이었는데
저 눈발처럼 늙어가겠다고
그랬었는데

강을 건넜다는 것을 안다
되돌릴 수 없다는 것도 안다
그 길에 눈 나리고 궂은 비 뿌리지 않았을까
한 해가 저물고 이루는 황혼의 날들
내 사랑도 그렇게 흘러갔다는 것을 안다
안녕 내 사랑, 부디 잘 있어라
--- 「박남준, 먼 강물의 편지」 중에서

이명인가
밤새 섬진강 쏘가리가 운다

징한 것들
격정의 날들이 가고
물이 차다
뼈마디가 시리다

바람이 태어나고 죽은 곳
그곳에 가보고 싶었지만
이 맛도 솔찮다

나이 마흔을 넘어서야 찾아온
체외수정의 새벽 물안개

무량무량
알밴 여인들이
뒷물을 하고 있다

--- 「이원규, 물안개」 중에서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0,800
1 10,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