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가격
9,500
10 8,550
YES포인트?
47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 ※ 이 도서는 『끝을 시작하기』의 영문 버전입니다.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K-Poet 시리즈

책소개

목차

Prologue
Part 1
Chapter 1
Chapter 2
Chapter 3
Part 2
Chapter 1
Chapter 2
Chapter 3
Part 3
Chapter 1
Chapter 2
Chapter 3
Epilogue

Poet’s Note
The Poet’s Essay
Commentary
What They Say About Kim Keun

저자 소개2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이전에 만난 적 없는 새로운 언어 세계를 열기 위해 매일 같이 언어에 골몰하는 시인이다. 1998년 문학동네 신인상으로 등단했고, 신화적인 상상력과 위력적인 리듬, 풍성하고 섬세한 시어로 평단과 독자에게 사랑받고 있다. 유튜브 채널 ‘시켜서하는tv’의 호스트로 시와 대중음악에 대한 영상 콘텐츠를 생산한다. 시집으로는 《뱀소년의 외출》, 《구름극장에서 만나요》, 《당신이 어두운 세수를 할 때》, 《끝을 시작하기》, 《Beginning the End》가 있다.

김근의 다른 상품

데보라 김

관심작가 알림신청
 

Deborah Kim

Deborah Kim is a translator, writer, and editor. Born in the United States, she received her BA in the United Kingdom and began her career in South Korea.

품목정보

발행일
2021년 09월 30일
쪽수, 무게, 크기
144쪽 | 115*188*20mm
ISBN13
9791156625667

책 속으로

One day a beast arrived
It walked through the alley
with languid strides and
climbed over the wall with
its long arms It strode up
the steps and opened my
bedroom door It walked as
though through water its long
fur undulating It approached
me slowly yet a strand of hair
swayed slowly remaining at
each place it passed(...)
--- 「From the Prologue」 중에서

The production of this poem was riddled with resurging moments of excitement, despair, doubts and delays. In the midst of it all, though, I tried hard, to the end, not to stray from such concepts of writing as contingency and improvisation. Perhaps, the poem still needs more contingencies and improvisations. But this is the limit of my ability. Even if the limit already lay in store for me from the moment the man awakened in the dark, I have no choice but to love it. It may be the limit of my language and at the same time, that of the world that I am situated in. After having fallen desperately in love, I will be ready to cross over again. In that new sphere of creation, I believe, I will try to construct yet another exciting world of Language where loquacity, speculation, incoherency, or perhaps some other things germinate and grow to the full. I also believe that such attempts of mine may end up in failure.

--- 「From Poet’s Note」 중에서

출판사 리뷰

어둠에서 어둠으로, 어둠과 함께
김근 시인의 신작 시집 『끝을 시작하기』


한국어와 영어로 동시에 만나는 K-포엣 스물한 번째 시집으로 김근 시인의 『끝을 시작하기』가 출간되었다. 1998년 데뷔하여 『뱀소년의 외출』 『구름극장에서 만나요』 『당신이 어두운 세수를 할 때』 등의 시집을 펴낸 김근 시인의 신작 시집으로 프롤로그, 1부, 2부, 3부, 에필로그로 나누어진 장시로 구성되어 있다.

“어느 날 짐승 한 마리가 왔다” - 실패에서 출발하는 언어들

시집의 서두는 어느 날 출현한 “짐승 한 마리”로부터 출발한다. “짐승”은 시인을 완전히 사로잡고, 시는 질주해나가기 시작한다. 그 질주의 목적지가 어디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모든 것이 끝난 자리인지 시작하는 자리인지도 확실치 않다. 이 시집은 어쩌면 끝끝내 알 수 없을 그 ‘앎’을 향해 무한히 다가가려는 움직임으로 가득하다.

“짐승”은 자유자재로 모습을 바꾼다. 손에 잡힐 듯 잡히지 않고 완전히 길들인 것 같다가도 여전히 한 마리 짐승이다. 시인은 그것을 다듬고 정제하여 차려내는 대신 날뛰는 그대로를 쏟아놓기로 한다. “요설과 사변과 횡설수설”처럼 끝없이 이어지는 말들은 에너지를 내뿜으며 독자들을 유혹한다.

나는 목소리 수집가
(...)
내 목소리들의 주인이 되어라

장시의 마지막에서 시인은 자신을 “목소리 수집가”라고 지칭하며 ‘당신’에게 “내 목소리들의 주인”이 될 것을 명령한다. 짐승이 출현한 이후 적확한 단어를 찾기 위해 끝없이 내달리던 움직임에 마침내 종지부를 찍는 것처럼 느껴지는가 하면, 앞으로 새롭게 시작될 김근 시인의 시 세계를 예고하는 예고편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독자들도 이번 시집을 통해 김근 시인의 앞으로의 작품 활동을 더욱 기대하게 될 것이다.

〈바이링궐 에디션 한국 대표 소설〉과 〈K-픽션〉 시리즈를 잇는
해외진출 세계문학 시리즈, 〈K-포엣〉


아시아 출판사는 2012년에 기획부터 출간까지 7년이 넘는 시간을 들인 근현대 대표 작가 총망라한 최초의 한영대역선집 〈바이링궐 에디션 한국 대표 소설〉과 2014년에 한국을 대표하는 젊은 작가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은 〈K-픽션〉 시리즈를 출간하며 한국 문학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었다. 2019년에도 새로운 도전을 이어간다. 유일무이 한영대역 시선집 시리즈인 〈K-포엣〉이 그것이다.

안도현, 백석, 허수경을 시작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시인의 시편을 모아 영문으로도 번역하여 출간하고 있다. 영문 시집은 해외 온라인 서점 등에서도 판매되며 한국시에 관심을 갖는 해외 독자들의 마음도 사로잡을 예정이다.

추천평

After the processes of listening and reading are all over, even after ‘I’s’ speaking stops at the end of the story, ‘You’ the reader will undergo another process of oblivion, carrying on the process of speaking indefinitely in a rich variety of fashions. The reading experience, even when it has gone to the other side of oblivion and no longer remains in consciousness, even inside the unconscious, keeps conversing with the other experiences and at times influences the reader’s life in one way or another. ‘Beginning the End’ is to participate in the oblivion’s march during which the self is erased. Through the march, the lives of those, who have considered themselves as isolated individuals, begin overlap with one another; and that is when an exceptional event called ‘dialogue’ occurs. - Kim Tae-seon (Critic)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8,550
1 8,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