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가격
9,000
10 8,100
YES포인트?
45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문학의전당 시인선

책소개

목차

시인의 말

제1부
물에 비친 나비 13 달팽이집이 있는 골목 14 달 16 바람의 저항 18 먹감나무 옛집 20 한식(寒食) 22 전언 23 산복도로에 쪽배가 떴다 24 즐거운 한때 26 불타는 달 28 교감 30 강물을 앉힌 소파 32 꼬마달팽이 34 물에 새긴 무늬 36

제2부
흠의 힘 39 청포도 과수원 40 달에 젖다 41 가구의 비밀 42 나무젓가락 44 저수지 45 불 꺼진 숲을 희망이라 말하고 싶다 46 쓸쓸한 위로 48 물 위의 날들 49 깨어진 문양 50 봄볕을 굽다 52 발톱 53 개미집 54 거품이 뜨는 물결 위로 눈은 내리고 56

제3부
심검(心劍) 59 박새 60 씁쓸한 연애 61 新국부론 62 비워진다는 것 64 수정동 푸른 밤 66 고백 68 남해 가는 버스 69 박달나무의 유서를 보다 70 수련 72 소행성을 보다 73 참깨 같은 눈이 내렸으면 74 이솝우화 76 버드나무 그늘 아래 78

제4부
물결 편지 81 구부러진 사랑 82 황소 불알 84 꽃피는 방 86 겨울비 87 푸드득, 화석이 날아간다 88 만행(萬行) 90 고개 숙인 남자 91 붉은 방 92 우암탄시암(尤庵嘆時岩) 94 따뜻한 무덤 95 바둑시대 96 반성 99 호랑이처럼 100 삼월 102

해설 | 작고 연약한 것들을 위하여 103
고봉준(문학평론가)

저자 소개1

1966년 경기 안양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성장했다. 2003년 《현대시》로 등단했으며, 시집 『딸꾹질의 사이학』 『너라는 벼락을 맞았다』 『산복도로에 쪽배가 떴다』, 감성 시 에세이 『분명 내 것이었으나 내 것이 아니었던』이 있다. 천상병시문학상, 고양행주문학상, 한국시인협회 젊은시인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계간 《가히》 발행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고영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18년 02월 14일
쪽수, 무게, 크기
124쪽 | 크기확인중
ISBN13
9791158964122

책 속으로

푸른 잔디 위로
하얀 공이 날아간다

점점 더 멀리 날기 위해
온몸에 흠을 파고
탄력을 붙인 하얀 공

쇠뭉치에 맞고
날아가는 하얀 공

흠이 많을수록
멀리 날아갈 수 있다

상처도 날개가 될 수 있다 ---「흠의 힘」중에서

랭보의 무덤을 지나 밑줄도 끝났다
밑줄 너머로 펼쳐진 회화나무 숲에서
아름다운 유성을 품고 있는 산비둘기가 보였다
저토록 눈부신 알을 간직하고 있었기에
산비둘기 날 때마다 숲은 환해졌던 것인가

나는 이제 불 꺼진 숲을 희망이라 말하고 싶다 ---「불 꺼진 숲을 희망이라 말하고 싶다」중에서

풀을 뽑다 손가락을 베였다

풀잎도 날을 곧추세우면
한 자루 훌륭한 검(劍)이 된다는 것을
손가락 피를 빨며 알았다

풀은 드러나지 않게
바람에 맞선다
제 한 몸 지키기 위한 최후의 수단으로
풀은 검(劍)을 뽑는다

풀은 공격적이지 않고
다른 영역을 탐내지 않고
풀은 풀을 베지 않는다 ---「심검(心劍)」중에서

그대가 처음 내게로 오던 밤도 눈이 내렸다
그대의 눈동자 속엔 지금도 건조한 눈이 내리고
나는 무심히 창밖을 본다
내 사랑은 뜨거웠지만 돌아서면 늘 환각이었고
행복은 죽음 뒤에나 찾아오는 것이었다
그러나 언제까지나 죽음을 동경할 수만은 없는 일
내 마음속 욕망들이 다시 꿈틀거린다 해도
이제 그만 그대를 불러들이고 싶다
그대를 십년 동안이나 문 밖에 세워두었다
?그걸로 충분하지 않은가
그대 눈동자 속엔
아직도 마약 같은 눈이 내리고

---「수정동 푸른 밤」중에서

추천평

“내 귓속에는 막다른 골목이 있고/사람 사는 세상에서 밀려난 작은 소리들이/따각다각 걸어 들어와/몸을 누이는 슬픈 골목이 있”다고 시를 쓴 고영 시인은 선천적으로 마음이 여리다. 그의 여린 마음이 세상을 읽는 눈이다. 그의 눈빛은 물처럼 출렁거리고 폐가처럼 예민하다. 시 전편을 관통하는 물 이미지를 통해 그는 세계를 긍정적으로 그려내는 데 성공하고 있다. 강물에 버려진 소파의 썩어가는 다리에 물고기가 알을 낳는 것을 보기도 하고, 수족관에서 아가미를 벌려 서로의 숨결을 나눠 갖는 물고기를 그려내기도 한다. 가장 작은 골목인 귓구멍으로 세상의 작은 소리도 들으려 어깨 낮춘 시인의 모습을 떠올려주는 시편들이 많다. “보름달 속에 손을 밀어 넣으니/따뜻한 강물이 만져진다”고 노래한 시인의 민감한 손을 한번 만져보고 싶다.
- 함민복 (시인)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8,100
1 8,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