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이전

작가파일

도종환
도종환 都鍾煥
국내작가 문학가
출생
1954년 09월 27일
출생지
충청북도 청주
직업
시인
데뷔작
고두미 마을에서
작가이미지
도종환
국내작가 문학가
1954년 9월 27일 충북 청주 출생. 충북대 국어교육과를 졸업한 뒤, 동대학원을 거쳐, 충남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4년 동인지 『분단시대』에 「고두미 마을에서」 외 5편의 시를, 1985년 『실천문학』에 「마늘밭에서」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소박하고 순수한 시어를 사용하여 사랑과 슬픔 등의 감정을 서정적으로 노래하면서도, 역사적 상상력에 기반한 결백(潔白)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는 시인으로 평단의 주목을 받았다.

첫 시집인 『고두미 마을에서』(1985)는 분단의 시대를 살아가는 민중들의 모습을 그려내는 등, 리얼리즘적인 역사적 상상력을 보여주었으나, 이후 『접시꽃 당신』(1986)에서 사별한 아내에 대한 절절한 사랑을 보여주었다. 이 시집은 독자의 큰 호응을 얻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지금 비록 너희 곁을 떠나지만』(1989), 『당신은 누구십니까』(1993)와 같은 시집에는 교사로 재직하다 전교조 활동으로 해직 · 투옥된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 교육시, 옥중시들이 수록되어 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슬픔의 뿌리』(2002), 『해인으로 가는 길』(2006) 등을 통하여 자연에 대한 관조를 통한 인간의 존재론적 성찰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화해와 조화의 세계를 모색하고 있다.

시집으로 『고두미 마을에서』(창작과비평사, 1985), 『접시꽃 당신』(실천문학사, 1986), 『내가 사랑하는 당신은』(1988), 『몸은 비록 떠나지만』(실천문학사, 1989), 『지금 비록 너희 곁을 떠나지만』(제삼문학사, 1989), 『당신은 누구십니까』(창작과비평사, 1993), 『사람의 마을에 꽃이 진다』(문학동네, 1994), 『부드러운 직선』(창작과비평사, 1998), 『슬픔의 뿌리』(실천문학사, 2005), 『해인으로 가는 길』(문학동네, 2006), 『세 시에서 다섯 시 사이』(창비, 2011) 등이 있으며, 산문집으로 『지금은 묻어둔 그리움』(푸른나무, 1990), 『그대 가슴에 뜨는 나뭇잎 배』(한양출판, 1994), 『그때 그 도마뱀은 무슨 표정을 지었을까』(사계절, 1998), 『모과』(샘터사, 2000), 『마지막 한 번을 더 용서하는 마음』(사계절, 2000), 『사람은 누구나 꽃이다』(좋은생각, 2004) 등이 있다. 그 외 『바다유리』(현대문학북스, 2002), 『나무야 안녕』(나무생각, 2007)과 같은 동화를 쓰기도 했다.

1989년 전국교직원노조 활동으로 해직 · 투옥되었다가, 1998년 복직되어 2004년까지 충북 진천 덕산중학교에 재직했다. 1990년 제8회 신동엽창작기금상, 2009년 제22회 정지용 문학상, 2010년 제5회 윤동주상 문학 대상, 2011년 제13회 백석문학상, 2012년 제20회 공초문학상을 수상하였다. 2012년 제19대 총선에서 민주통합당 비례대표로, 2016년 제20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2017년 6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1989~2004 덕산중학교 교사
2006 제4대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위원
2012 제19대 국회의원
2016 제20대 국회의원
2017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청주지부장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충북지회 문학위원회 위원장
충북대학교 국어교육학 학사
충북대학교대학원 국어교육학 석사
충북대학교대학원 문학 박사
월간 충청리뷰 발행인
한국작가회의 사무총장
아름다움을 아름다움으로 느낄 줄 모르면 그는 이미 죽은 사람입니다. 그러나 아름다움을 아름다움 이상으로 끌어올려 아름다워진 마음을 선한 마음으로 바꿀 줄 알 때 사랑은 더욱 깊어집니다. 텅 비워 청정해진 공간에 선함과 다디단 향기가 채우는 진공묘유의 봄기운. 거기서 비로소 공즉색(空卽色)입니다. 그대 언제 이 숲에 오시렵니까

수상경력

1997 제7회 민족예술상
2006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학부문 올해의 예술상
2006 거창 평화 인권 문학상
2011 백석문학상 『세시에서 다섯시 사이』
2017 가톨릭문학상 『사월 바다』

작가의 전체작품

작가의 추천

  • 정호승 시인의 우화는 사랑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우리는 불완전하다는 것, 사랑을 통해서만 완전해질 수 있다는 것을 말하고자 합니다. 우리 역시 외눈박이 비목어인지 모릅니다. 우리는 다른 쪽 눈을 가진 짝을 만나야 비로소 세상을 환하게 볼 수 있는 불구의 물고기인지 모릅니다. 우리가 짝을 찾아 물속을 떠도는 외눈박이 물고기라면 좋은 짝을 만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그 좋은 짝이란 눈동자가 맑은 사람이어야 한다고 시인은 말합니다. 눈동자가 맑은 사람은 선한 사람입니다. 누군가를 사랑하면 눈동자가 맑게 변한다는 것은 마음이 선해진다는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사람이 누군가를 사랑하면 반드시 마음이 선해지고 눈동자가 맑게 빛납니다.
  • 임화는 문제적 인물이다. 임화는 그 자체가 하나의 문학사다. 그는 문학이라는 등불로 민족의 어두운 현실을 어떻게 비출 수 있을지 끊임없이 고민했다. 그의 시와 비평적 언어는 치열했고, 정치적 실천은 뜨거웠다. 그의 시와 비평과 삶을 들여다보지 않으면 한국문학사를 연구했다고 말할 수 없다. 그의 삶은 짧지만 강렬했다. 그 강렬했던 임화의 도전과 실패를 거치며 우리 문학은 여기까지 진보해 왔다. 이형권의 『임화 평전』은 임화의 비극적 운명이 민족 모순이나 계급 모순과 얼마나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적실하게 분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임화가 자신에게 다가온 ‘이상한 운명’에 무릎 꿇지 않고 당대의 모순과 어떻게 싸우다 갔는지를 리얼하게 보여준다. 이 책은 한 시절 ‘흔들리며 피는 꽃’이었던 임화의 생애와 문학에 나타나는 그 미세한 흔들림을 잘 포착하고 있어서 흥미롭다. 임화의 문학, 한국 현대문학의 정신과 이념에 관해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반드시 일독해야 할 것이다.

작가 인터뷰

  • 도종환 “문학 진흥이 앞으로의 할 일”
    2016.07.05.
  • 도종환 “재혼 소식을 듣고 책을 불태워버렸다는 독자도 있었습니다”
    2011.12.22.
  • 숲에서 청안한 삶을 배운다, 시인 도종환
    2008.03.20.

작품 밑줄긋기

죽을 만큼 아팠다는 것은죽지 않고 살아남았다는 것-죽도록, 이라는 다짐은 끝끝내미수에 그치겠다는 자백_ 너는 봄이다 中, 박신규오랜만에 펼친 시집에서 과거의 제가 남겼던 흔적을 찾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이 시가 마음에 꽂히네요.

작가에게 한마디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