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현대의 전쟁과 전략
반양장
가격
29,000
29,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관련 상품

현대의 전쟁과 전략
[도서] 현대의 전쟁과 전략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군사전략학과 편/기세찬 등저 한울아카데미
42,000
현대의 전쟁과 전략

책소개

목차

1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현대 전쟁

1장 중국 국민정부의 항일유격전 _기세찬
1. 머리말
2. 중국의 대일 유격전 실시 배경
3. 국민정부의 유격전 체제와 훈련
4. 국민정부군의 대일 유격전 실시 현황
5. 맺음말

2장 베트남전쟁의 재평가와 현대 전략적 함의 _박민형
1. 머리말
2. 베트남전쟁의 배경과 원인
3. 북베트남의 전쟁 전략 분석
4. 베트남전쟁의 주요 경과
5. 베트남전쟁 결과 분석
6. 한반도 안보에 주는 현대 전략적 함의

3장 걸프전쟁과 이라크전쟁 사이의 전쟁 패러다임 변화 _손경호
1. 머리말
2. 전쟁 패러다임 변화의 척도
3. 걸프전쟁
4. 이라크전쟁
5. 맺음말

4장 1999년 인도·파키스탄 ‘카르길 전쟁’: 핵보유국에 대한 ‘전략적 강압’ _손한별
1. 머리말
2. 이론적 검토
3. 카르길 전쟁
4. 한국에 주는 함의
5. 맺음말

2부 21세기 동북아 주요 국가의 전략 경쟁

5장 21세기 안보환경 변화와 미국의 핵전략: 제한핵전쟁에 대한 미국의 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_이병구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전환기 미국의 국제관계 인식: 강대국 경쟁 시대의 회귀
3. 군사과학기술의 발전과 핵억제의 불안정성 증가
4. 미국의 제한핵전쟁 대비 태세 강화
5. 21세기 제한핵전쟁의 위험성과 한국 안보에 주는 함의

6장 미중 전략적 경쟁 시대 일본 아베 정부의 안보 및 군사전략 _박영준
1. 머리말
2. 미중 간 전략적 경쟁과 동아시아 안보 질서 변화
3. 미중 간 전략적 경쟁에 대한 일본의 인식과 대응전략
4. 안보정책 및 미일동맹: ‘다차원 통합방위력’과 인도·태평양 구상
5. 아시아 정책의 새로운 전개: 대중 및 대북 정책
6. 맺음말: 한국 안보정책에의 함의

7장 중국의 대전략 전환과 글로벌 영역에서 국방의 역할 확대 _박창희
1. 머리말
2. 중국의 대전략과 국방의 역할 확대
3. 중국의 첨단 군사력 건설 동향 및 평가
4. 주요 군사 동향과 주변 지역 군사활동
5. 지역안보에의 시사점과 한국의 대응 방향
6. 맺음말

8장 푸틴의 전쟁과 러시아 전략사상 _김영준
1. 머리말
2. 러시아의 지정학적 안보환경
3. 러시아 전략사상의 특징
4. 러시아 전략사상으로 본 푸틴의 전쟁
5. 맺음말

3부 한반도 전략 환경과 한국의 안보전략

9장 북한 김정은 정권의 군사전략 _김태현
1. 머리말
2. 북한 군사의 영향 요인
3. 북한의 안보전략과 국방정책
4. 북한의 군사전략
5. 맺음말

10장 1970년대 한국 자주국방론의 전개와 군사전략의 확립 _노영구
1. 머리말
2. 1960년대 후반~1970년대 자주국방 체제 확립
3. 1970년대 독자적 군사전략의 수립
4. 맺음말

11장 한국의 한미동맹 전략과 남북 관계의 발전 병행 추진의 딜레마 _한용섭
1. 머리말
2. 냉전기 한미동맹의 탄생과 진화 과정
3. 탈냉전기 한국의 한미동맹과 남북한 관계 발전 병행 추진과정에서 나타난 한미동맹의 균열상
4. 북핵 시대 한국의 한미동맹 전략과 남북한 관계 개선 정책의 동시 추구 딜레마
5. 맺음말

저자 소개12

현재 국방대학교 안전보장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정치학 학사, 미국 하버드대학교 정책학 석사 학위, 미국 랜드대학원 안보정책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77년에 제21회 행정고시를 합격하고 국방부에 몸을 담아 한미연례안보협의회 담당, 국방부장관 정책 보좌관, 국방부 북핵담당관, 남북핵통제공동위원회 전략수행위원으로 활동했다. 1994년 국방대학교 교수로 부임한 이래, 2005년에 안보문제연구소장, 2010년에 국방대학교 부총장을 지냈으며, 2006년에 한국평화학회 회장, 2012년에 한국핵정책학회 초대회장을 역임했다. 중국 외교학원과 상하이 푸단대학교 및 미국 포틀
현재 국방대학교 안전보장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정치학 학사, 미국 하버드대학교 정책학 석사 학위, 미국 랜드대학원 안보정책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77년에 제21회 행정고시를 합격하고 국방부에 몸을 담아 한미연례안보협의회 담당, 국방부장관 정책 보좌관, 국방부 북핵담당관, 남북핵통제공동위원회 전략수행위원으로 활동했다. 1994년 국방대학교 교수로 부임한 이래, 2005년에 안보문제연구소장, 2010년에 국방대학교 부총장을 지냈으며, 2006년에 한국평화학회 회장, 2012년에 한국핵정책학회 초대회장을 역임했다. 중국 외교학원과 상하이 푸단대학교 및 미국 포틀랜드주립대학의 교환교수를 지냈다. 주요 국문 저서로는 『북한 핵의 운명』(2018), 『한반도 평화와 군비통제』(2015), 『국방정책론』(2012), 『동북아의 핵무기와 핵군축』(2001), 『미중경쟁 시대의 동북아 평화론』(2010, 공저), 『21세기 미·중 패권경쟁과 한반도 평화』(2015, 공저), 『자주냐 동맹이냐』(2004), 『동아시아 안보공동체』(2005, 공저) 등이 있다. 주요 영문 저서로는 Peace and Arms Control on the Korean Peninsula(2005), Sunshine in Korea(2002, 공저), Nuclear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 in Northeast Asia, 그 외 국·영·중·일(어) 학술논문 다수가 있다.

한용섭의 다른 상품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2005년 국방대학교 교수 임용 이후 전근대 한국전쟁사, 한국군사사상, 군사제도사 등 분야에서 『조선후기의 전술』(2016), 『연병지남: 북방의 기병을 막을 조선의 비책』(2017), 『조선후기 도성방어체계와 경기도』(2018), 『한국군사사 7』(공저, 2012), 『동아시아의 근세』(역서, 2018) 등 다수의 저서와 역서, 논문을 발표해 왔다.

노영구의 다른 상품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육군사관학교, 독일 육사(OAL/ OSH) 졸업, 독일 헬뮤트슈미트대학교(함부르크) 정치학 석사, 국방대학교 군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북한 군사안보, 독일 통일연구, 전쟁과 전략 분야에서 「군사력 균형 평가도구로서 net assessment」(2020), 「미국의 대중국 군사전략: 경쟁전략과 비용부과」(2020), 「총괄평가의 필요성과 한국군 적용방안」(2020), 「적대관념과 정권 안보」(2019), 「북한의 공세적 전략문화와 지정학」(2019), 「이스라엘 핵전략과 군사력 건설」(2018), 「핵무장국가의 군사전략과 전력기획」(2018),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육군사관학교, 독일 육사(OAL/ OSH) 졸업, 독일 헬뮤트슈미트대학교(함부르크) 정치학 석사, 국방대학교 군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북한 군사안보, 독일 통일연구, 전쟁과 전략 분야에서 「군사력 균형 평가도구로서 net assessment」(2020), 「미국의 대중국 군사전략: 경쟁전략과 비용부과」(2020), 「총괄평가의 필요성과 한국군 적용방안」(2020), 「적대관념과 정권 안보」(2019), 「북한의 공세적 전략문화와 지정학」(2019), 「이스라엘 핵전략과 군사력 건설」(2018), 「핵무장국가의 군사전략과 전력기획」(2018), 「북한의 국경독재체제와 핵전략」(2017), 「북한의 공세적 군사전략」(2017)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해 왔다.

김태현의 다른 상품

현재 국방대학교 안전보장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국방부 싱크탱크 Foreign Military Studies Office(FMSO) 국제선임연구원이자 한미 연합사령관 전략자문단 위원으로 미국 정부 및 미군에 한반도 안보, 국방, 군사문제에 관해 자문해오고 있다. 한국 국제정치학회 안보 국방 분과 위원회 위원 및 간사, 한국 핵정책학회 연구이사, 한국 국방정책학회 연구이사, 국방부 국방개혁 2.0 자문위원, 여시재 동북아 전략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청와대, 국방부, 외교부, 통일부 등 주요 정부부처에 정책 자문을 해오고 있다. 주요 저서로 Origins of the
현재 국방대학교 안전보장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국방부 싱크탱크 Foreign Military Studies Office(FMSO) 국제선임연구원이자 한미 연합사령관 전략자문단 위원으로 미국 정부 및 미군에 한반도 안보, 국방, 군사문제에 관해 자문해오고 있다. 한국 국제정치학회 안보 국방 분과 위원회 위원 및 간사, 한국 핵정책학회 연구이사, 한국 국방정책학회 연구이사, 국방부 국방개혁 2.0 자문위원, 여시재 동북아 전략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청와대, 국방부, 외교부, 통일부 등 주요 정부부처에 정책 자문을 해오고 있다. 주요 저서로 Origins of the North Korean Garrison State(2017)가 있으며, 「푸틴의 전쟁과 러시아 전략사상」(2017), “Russo-Japanese War Complex: A New Interpretation of Russia’s Foreign Policy toward Korea”(2015), “CIA and the Soviet Union”, 「미국과 미군, 몰락하고 있는가?」 등의 논문을 저술했다. 아리랑 TV 뉴스, Peninsula 24 TV 시사토론, 국방뉴스, 국방포커스 시사토론 방송, 특집 국군의 날 TV 생방송, 특집 남북정상회담 TV 생방송, 특집 북미정상회담 TV 생방송 등에 전문가 패널로 출연하고 있다.

김영준의 다른 상품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미 해군대학원(Naval Postgraduate School)에서 국가안보 석사학위를, 고려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에서 군사문제연구센터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군사와 군사전략에 관심이 있다. 〈저서〉 『한국의 군사사상』 플래닛미디어, 2020 『손자병법』 플래닛미디어, 2017 『군사사상론』 플래닛미디어, 공저, 2013 『한반도 분쟁과 중국의 개입』 선인문화사, 공저, 2012 『현대 중국 전략의 기원』 플래닛미디어, 2011 『전환기 한국의 국가안보전략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미 해군대학원(Naval Postgraduate School)에서 국가안보 석사학위를, 고려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에서 군사문제연구센터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군사와 군사전략에 관심이 있다.

〈저서〉
『한국의 군사사상』 플래닛미디어, 2020
『손자병법』 플래닛미디어, 2017
『군사사상론』 플래닛미디어, 공저, 2013
『한반도 분쟁과 중국의 개입』 선인문화사, 공저, 2012
『현대 중국 전략의 기원』 플래닛미디어, 2011
『전환기 한국의 국가안보전략』 사회평론, 공저, 2011
『미일중러의 군사전략』 한울 아카데미, 공저, 2008
『클라우제비츠, 손자 & 조미니』 평단문화사, 번역서, 2000

〈논문〉
“북한 핵위협에 대응한 한국의 군사전략” 『국가전략』, 2017
“트럼프 행정부의 동아시아정책과 미중관계 전망” 『한일군사문화연구』, 2017
“군사사상 연구를 위한 방법론 구상” 『국방정책연구』, 2016
“중국의 군사력 증강과 지역 및 한국의 안보” 『신아세아』, 2015
“한국의 군사사상 발전방향” 『전략연구』, 2014
“중국의 군사력 증강 평가와 우리의 대응방향” 『전략연구』, 2013
“강대국 및 약소국 해양전략사상과 한국의 해군전략” 『국가전략』, 2012
“중국국방백서를 통해 본 중국의 국방정책” 『국방정책연구』, 2011
“현대중국의 전략문화와 전쟁수행방식” 『군사』, 2010
“북한급변사태와 중국의 군사개입 전망” 『국가전략』, 2010
“비대칭전략에 관한 이론적 고찰” 『국방정책연구』, 2008
“South Korea’s Strategy for North Korean Contingency”, New Asia, 2011.
“Enhanced Sino-Russian Relations and Its Implications”, The Korean Journal of Security Affairs, 2008.
“Why China Attacks”,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2008.

박창희의 다른 상품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육군사관학교 졸업,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 석사, 미국 캔자스주립대학교에서 정치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현 한국국방정책학회 이사, 전 합동참모본부 정책자문위원,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 한미연구소 방문학자(2016.7~2017.7)를 역임했다. 주요 논문으로 「미국의 INF 조약 탈퇴 선언과 동아시아 안보의 미래」(2019), 「A2/AD와 Counter A2/AD: 일본과 대만의 Counter A2/AD와 한국 안보에 대한 함의」(2019), 「군사혁신의 잘못된 약속과 이라크전쟁의 난항: 미국의 군사혁신은 어떻게 미국을 이라크전쟁의 수렁으로 이끌었는가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육군사관학교 졸업,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 석사, 미국 캔자스주립대학교에서 정치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현 한국국방정책학회 이사, 전 합동참모본부 정책자문위원,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 한미연구소 방문학자(2016.7~2017.7)를 역임했다. 주요 논문으로 「미국의 INF 조약 탈퇴 선언과 동아시아 안보의 미래」(2019), 「A2/AD와 Counter A2/AD: 일본과 대만의 Counter A2/AD와 한국 안보에 대한 함의」(2019), 「군사혁신의 잘못된 약속과 이라크전쟁의 난항: 미국의 군사혁신은 어떻게 미국을 이라크전쟁의 수렁으로 이끌었는가?」(2019), 「21세기 안보환경 변화와 미국의 핵전략: 제한핵전쟁에 대한 미국의 정책변화를 중심으로」(2018), 「1970년대 미국의 안보 위기와 미 의회 개혁: 본인-대리인 이론을 중심으로」(2018) 등 다수가 있다.

이병구의 다른 상품

1971년 출생. 1993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소위로 임관하였으며 2002년 일본 방위대학교 안전보장대학원에서 국제관계 석사학위, 2008년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에서 군사사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8년부터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6·25전쟁, 서양전쟁사, 전략사상사, 테러리즘과 대테러리즘 등을 강의하고 있다. 『동북아 국가들의 6·25전쟁 정책과 전략』(2015), 『전쟁론』(2015, 공저), 『군사사상론』(2014, 공저) 등 다수의 저서, 역서, 논문과 연구보고서를 집필하였다.

손경호의 다른 상품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부교수이다.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군사전략연구센터장을 겸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학사 및 석사학위를, 국방대학교에서 군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부 실무자로 근무한 바가 있다. 국가안보론, 전략기획론, 전쟁론, 핵전략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국방전략, 북핵대응전략 및 비확산정책, 한미동맹 이슈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인도의 국방개혁: 전문성과 합동성 추구의 역사」(2019), 「미국의 남아시아 전략과 선택적 비확산정책」(2019), 「북핵억제전략의 재검토: 전략불균형 해소를 통한 위험관리」 2018) 등이 있다.

손한별의 다른 상품

전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영국 리즈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군사전략연구 센터장, 동북아연구 센터장 등을 역임했으며, 최근 연구로는 『북한이 핵보유국이 된다면 어떻게 달라지는가』(공저, 2020), 『대한민국 국방사』(공저, 2018),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위한 조건 형성」(2019), 「쿠바 미사일위기의 재고찰」(2019) 등이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국방정책, 군사전략, 위기관리 등이다.

박민형의 다른 상품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사학과에서 역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저서로 『고대 중국의 전쟁수행방식과 군사사상』, 『중일전쟁과 중국의 대일군사전략(1937~1945)』, 번역서로 『하버드 중국사 청: 중국 최후의 제국』, 『중일전쟁: 역사가 망각한 그들(1937~1945)』(공역), 주요 연구 논문으로 「중국 지도자들의 전략문화 인식에 관한 연구」, 「중일전쟁시기 국민정부의 전시동원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중국의 전쟁사와 군사사상 등이다.

기세찬의 다른 상품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교수. 일본 도쿄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 박사를 받았으며, 미국 하버드대학교 웨더헤드센터에서 방문학자로 미일 관계를 연구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일본 정치외교, 동아시아 국제관계, 전쟁과 평화 등이며, 주요 저서로 『해군의 탄생과 근대 일본』, 『제국 일본의 전쟁, 1868~1945』, 『제3의 일본』, 『한국 국가안보전략의 전개와 과제』, 『현대의 전쟁과 전략』(편저), 『21세기 한반도 평화연구의 쟁점과 전망』(편저) 등이 있다. 현대일본학회, 한국평화학회, 한국정치외교사학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대통령실 NSC, 외교부, 한미연합사, 해군 등의 정책자문위원을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교수. 일본 도쿄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 박사를 받았으며, 미국 하버드대학교 웨더헤드센터에서 방문학자로 미일 관계를 연구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일본 정치외교, 동아시아 국제관계, 전쟁과 평화 등이며, 주요 저서로 『해군의 탄생과 근대 일본』, 『제국 일본의 전쟁, 1868~1945』, 『제3의 일본』, 『한국 국가안보전략의 전개와 과제』, 『현대의 전쟁과 전략』(편저), 『21세기 한반도 평화연구의 쟁점과 전망』(편저) 등이 있다. 현대일본학회, 한국평화학회, 한국정치외교사학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대통령실 NSC, 외교부, 한미연합사, 해군 등의 정책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박영준의 다른 상품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군사전략학과

관심작가 알림신청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군사전략학과는 현재 11명의 전임교수가 국가안보, 전쟁연구, 국방정책, 군사전략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면서, 정부 고위공직자 및 육해공 중견 장교들을 교육해 온 관련 분야 국내 최고의 학과이다.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군사전략학과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0년 10월 20일
판형
반양장 ?
쪽수, 무게, 크기
392쪽 | 153*224*30mm
ISBN13
9788946069350

책 속으로

베트남전은 압도적 군사력을 보유한 군사 강국이 항상 정치적·군사적으로 성공하는 것은 아니라는 역사적 실례를 남겼다. 또한 군사적으로 승리해도 정치적으로는 승리할 수 없음을 보여주기도 했다. 즉 세계 초강대국이 게릴라 부대에게 패배한 실증적 사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특히, 군사적 측면에서는 “비대칭전쟁의 승패는 군사력의 운용, 즉 군사전략에 달려 있다”라고 주장한 이반 아레귄 토프트의 견해에 집중한다. 그는 강자와 약자가 동일한 전략을 사용할 경우 강자가 승리하나 상이한 전략을 채택할 경우 약자도 승리할 수 있다고 역설했는데, 이러한 그의 주장은 상대적 약자인 북베트남의 승리를 설명하는 데 의미가 있다.
--- p.65, 「제2장 베트남전쟁의 재평가와 현대 전략적 함의」 중에서

어떻게 상대를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할 것인가 하는 이 문제는, 핵무기의 가공할 파괴력을 고려한다면 단지 국가이익의 구현이 아니라 생존 자체에 관련된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은 역동적 강압의 달성을 위한 기정사실화 및 촉매 전략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하고, 강압의 성공을 위한 압박점의 선정과 확전우세의 달성은 꼭 필요하다. 위기 상황 속에서도 국내외의 전략적 상황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정보의 획득, 여론전의 대비를 통해서 상대방의 행동을 강압할 수 있는 용기와 절제가 있다면, 핵 위기 속에서도 국가의 생존과 국민의 생명을 보장하는 방안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다.
--- p.124~125, 「제4장 1999년 인도·파키스탄 ‘카르길 전쟁’」 중에서

미국과 러시아 간 2010년 체결된 New START 또한 연장 여부가 불투명하여 2021년 2월 5일 효력이 종료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강대국 간 관계의 안전판으로 작용해 온 군비통제 조약들이 일련의 폐기 수순에 있다는 것과, 이에 따른 강대국의 핵전력 강화 움직임은 범세계적으로 그리고 동아시아에서 중요한 군사력 균형의 변화를 초래할 것이다. 이런 변화는 구조적인 변수로서 한반도 안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한반도 주변 강국인 미국·러시아·중국 간 전개되고 있는 이른바 ‘강대국 경쟁 시대의 귀환’ 특히 핵전략과 전력의 측면에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강대국 경쟁의 양상과 그 함의에 대한 우리의 관심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 p.136~137, 「제5장 21세기 안보환경 변화와 미국의 핵전략」 중에서

중국의 군사적 압력이 높아지는 가운데 주변국들은 별다른 대응 방안을 모색하지 못하고 있다. 베트남은 자국의 배타적 경제수역 내에서 이뤄지는 중국의 불법적 행위를 유엔에 상정하고자 했으나 한계를 느끼고 있다. 비록 미국을 비롯한 우방국들은 베트남의 편에 설 수 있으나, 중국은 이미 동남아, 중앙아시아, 아프리카에서 지지 국가들을 확보하고 있어 채택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중국과의 관계를 파국으로 몰고 갈 부담도 있다. 두테르테는 노골적으로 미국이 필리핀의 이익을 위해 중국과 전쟁을 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미국에 의존할 수만은 없다고 언급했다. 그리고 그는 2019년 8월 말 시진핑과 만나 대규모 경제 지원을 받는 대신 그동안 고조되었던 남중국해 갈등에 대해 함구했다. 대만도 중국이 사이버공격을 가하여 전력공급 체계를 마비시키거나 해저케이블을 파괴하는 행위, 그리고 단기간 해상을 봉쇄하는 등의 국지적 도발을 야기할 경우 미국의 보호를 받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도 마찬가지로 중거리미사일을 배치할 경우 중국으로부터 가해질 보복조치를 부담스러워하지 않을 수 없다.
--- p.217, 「제7장 중국의 대전략 전환과 글로벌 영역에서 국방의 역할 확대」 중에서

북한의 군사전략은 많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군사적 공세주의’는 그 본질적 성향을 잃지 않고 지속성을 유지하고 있다. 북한 정권 수립 이후 현재까지 북한의 공세적 군사전략은 상황에 따라 그 형태를 조금씩 바꾸면서 ‘대담한 전격전’, ‘계산된 제한전’, ‘유연한 핵 배합전’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진화되어 왔다. 그러나 그 본질은 공세주의에 있다. 탈냉전 이후 다소 수세적이 된 듯 보이는 북한의 군사전략은 수세로의 대전환이라기보다 열악한 전략 환경에 대한 ‘현실 순응’의 과정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 p.313, 「제9장 북한 김정은 정권의 군사전략」 중에서

한미동맹의 형성과 발전은 20세기와 21세기 초반 세계에서 가장 호전적이고 모험적인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여 한국의 안보를 확고하게 담보할 수 있는 정책과 전략이 되어왔다. 하지만 중요한 북핵 위협에 대응함에 있어서 한국이 동맹 파트너인 미국에 너무 의존한 결과, 급속한 안보환경의 변화, 중국의 부상과 그에 따라 치열해지는 미중 패권 경쟁, 북한의 핵과 미사일 능력의 급격한 증가 등에 대해서 한국은 수동적으로 대응하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의 국방이 능동적으로 선제적인 정책과 전략을 구사함으로써 우리가 바라는 방향으로 북한을 유도할 수 있는 영향력을 기를 뿐만 아니라 한국의 국익에 유리한 주변 안보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미동맹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발전시켜 나가려는 자세가 요구되고 있다.

--- p.376~377, 「제11장 한국의 한미동맹 전략과 남북 관계의 발전 병행 추진의 딜레마」 중에서

출판사 리뷰

현대 전쟁의 승리 요인과 새로운 패러다임

1부에서는 현대의 전쟁이 발발한 원인과 배경을 제시하고, 승리한 국가는 어떠한 전쟁전략으로 승리할 수 있었는지 분석했다.
1장에서는 중일전쟁기 항일유격전에서의 중국 ‘국민정부군’의 역할에 주목했다. 국민정부가 항일유격전을 실시한 이유, 우한 함락 이후 국민정부의 대일 전략 방침 변화, 유격전 강화를 위한 국민정부의 유격전 체제 정비 과정, 각 지역별 항일유격전 실시 현황 등을 분석했다.
2장에서는 먼저 베트남전쟁의 발생 배경과 원인을 살펴보고, 상대적으로 열세한 전력으로 베트남 공산화에 성공한 북베트남의 전략을 정치사회적 수준과 군사적 수준으로 구분해 분석하여 이 전쟁이 한반도 안보에 주는 현대 전략적 함의를 제시했다.
3장에서는 전쟁 양상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걸프전쟁과 이라크전쟁을 비교했다. 주체와 무기, 일방적인 승리 등에서 닮은 두 전쟁이 실은 서로 다른 패러다임에 속한 전쟁이라는 새로운 기준점을 제시하며, 걸프전쟁이 왜 산업화전쟁의 최첨단 버전이고, 이라크전쟁이 정보화전쟁의 첫 전쟁인지를 추적했다.
4장에서는 핵전략과 국제정치 연구에 다양한 주제를 제공하는 인도와 파키스탄 분쟁을 ‘카르길 전쟁’을 통해 살펴보았다. 인도-파키스탄의 관계는 남북 관계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전쟁을 분석해 핵 약소국들이 위기 시에 어떻게 핵무기를 사용 또는 위협할 것인지, 핵무기 보유에 기반한 ‘대담한’ 도발을 어떻게 억제하고 대응할 것인지에 대해 중요한 함의를 제공한다.


주요 국가들의 전략 변화

2부에서는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와 우리의 관계 변화를 추적하고, 그 과정에서 각국의 전략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했다.
5장에서는 제한핵전쟁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배경을 고찰하고, 제한핵전쟁 대비를 위한 미국의 핵전략과 정책 변화를 짚어보았다. 이를 통해 안보환경의 변화에 따른 핵위협 증가 가능성과 북한 핵위협 유지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한 일곱 가지 분야의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6장에서는 일본 정부의 안보전략이 동아시아 전체의 안보 정세 변화 속에서 어떤 대응을 보이고 있고, 자위대 및 미일동맹에는 어떤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지 고찰해 일본 안보정책의 변화가 한국 안보정책에 주는 함의를 도출했다.
7장에서는 강대국으로 부상하기 위해 거침없는 행보를 보이고 있는 중국의 대전략 변화를 『국방백서』와 건국 70주년 열병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중국의 국방이 국제질서 변화를 꾀하는 중국의 야심찬 대전략 이행 목표를 가속화하는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밝혔다.
8장에서는 푸틴의 전쟁과 러시아의 전략사상을 분석한다. 국제사회의 주요 행위자이자, 북한 인민군의 모델로서 러시아의 전쟁관과 전략사상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이에 러시아 전략을 역사적 관점에서 고찰·분석하고 푸틴의 하이브리드 전쟁이 미국 등 서구의 전략사상과는 다른 독특한 형태로 발전되었음을 증명했다.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환경과 우리의 군사 전략

우리나라의 군사전략과 안보전략에 대해 논한다면 북한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북한은 핵을 단순한 정치적 협상용에서 군사적 용도로 전환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9장에서는 북한 김정은 정권의 군사전략을 총체적으로 분석했다. 역사적·이념적·정치적 맥락에서 북한의 군사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북한의 군사전략을 3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북한에 대한 우리나라의 정책도 그 성격이 변화를 거듭해 왔다. 때론 햇볕정책을 펼치기도 했지만, 북한이 핵보유국임을 밝힌 후부터는 북핵에 대한 대처 방법을 두고 정치적으로 분열현상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북한과 우리나라와의 관계 변화는 한미동맹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하나의 관계가 강화되면 다른 한 쪽의 관계는 약화되는 딜레마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이에 11장에서는 북핵 시대 한미 관계와 남북 관계를 동시에 발전시키는 것의 어려움과 극복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0장에서는 1960~1970년대를 중심으로 박정희 정부의 자주국방정책 형성과 전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최근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전시작전통제권의 환수와 한반도 및 주변 지역 방위를 위한 합리적인 국방력 조정을 위한 지혜를 찾고자 했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9,000
1 2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