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병자호란과 김화 백전전투
가격
22,000
10 19,800
YES포인트?
1,1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태봉학회 총서

책소개

목차

총서를 펴내며
수록 논문의 출처

제1부. 병자호란의 제문제

병자호란 연구의 제문제
- 조성을 (아주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明淸交替 시기 朝中關係의 추이
- 韓明基 (명지대학교 사학과 교수)

병자호란의 開戰원인과 朝·淸의 군사전략 비교연구
- 이종호 (건양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朝鮮 政府의 捕虜 送還 노력
- 강성문 (전 육군사관학교 사학과 교수)

제2부. 김화 백전전투

17세기 전반기 조선의 대북방 방어전략과 평안도 국방체제
- 노영구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丙子胡亂의 戰況과 金化戰鬪 一考
- 柳承宙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명예교수)

丙子胡亂 金化 栢田戰鬪 考察
- 권순진 (수도문물연구원 실장)

戰骨塚의 조성 경위와 위치 比定
- 柳在春 (강원대학교 사학과 교수)

김화 백전대첩(栢田大捷) 유적의 현황과 보존대책
- 이 재 (국방문화재연구원 원장)

부록
태봉학회 활동 및 철원군의 역사·문화 관련 동향
- 김영규 (태봉학회 사무국장·철원역사문화연구소 소장)

저자 소개10

1956년 경북 상주생.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사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조선 후기 사상사이며, 한국사학사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현 아주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주요 저서로는 『연보로 본 다산 정약용: 샅샅이 파헤친 그의 삶』, 『조선후기 사학사 연구』 등이 있고, 공저로는 『다산 정약용 연구』, 『역사를 바라보는 실학자의 시선』 등 다수가 있다. 역서로는 『중국사학사』, 『중국 중세사회로의 여행』 등이 있다.

조성을의 다른 상품

1962년생으로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외국어대, 한신대, 국민대, 가톨릭대 강사와 규장각 특별연구원을 거쳐 현재는 명지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광해군』 ,『정묘병자호란과 동아시아』,『병자호란1, 2』,『16세기』(공저)등이 있으며, 「광해군대의 대북세력과 정국의 동향」, 「19세기 전반 반봉건 항쟁의 성격과 유형」, 「‘재조지은’과 조선후기 정치사」 등 4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동아시아사 속에서 한국사의 위상을 정립하는 데 관심이 많은 지은이는 첫 저서 『임진왜란과
1962년생으로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외국어대, 한신대, 국민대, 가톨릭대 강사와 규장각 특별연구원을 거쳐 현재는 명지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광해군』 ,『정묘병자호란과 동아시아』,『병자호란1, 2』,『16세기』(공저)등이 있으며, 「광해군대의 대북세력과 정국의 동향」, 「19세기 전반 반봉건 항쟁의 성격과 유형」, 「‘재조지은’과 조선후기 정치사」 등 4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동아시아사 속에서 한국사의 위상을 정립하는 데 관심이 많은 지은이는 첫 저서 『임진왜란과 한중관계』로 2000년 제25회 월봉저작상을 받았다. 『역사평설 병자호란 1, 2』로 2014년 제54회 한국출판문화상을 받았다.

한명기의 다른 상품

건양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이종호의 다른 상품

전 육군사관학교 사학과 교수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2005년 국방대학교 교수 임용 이후 전근대 한국전쟁사, 한국군사사상, 군사제도사 등 분야에서 『조선후기의 전술』(2016), 『연병지남: 북방의 기병을 막을 조선의 비책』(2017), 『조선후기 도성방어체계와 경기도』(2018), 『한국군사사 7』(공저, 2012), 『동아시아의 근세』(역서, 2018) 등 다수의 저서와 역서, 논문을 발표해 왔다.

노영구의 다른 상품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명예교수
수도문물연구원 실장

권순진의 다른 상품

강원대학교 사학과 교수
국방문화재연구원 원장
태봉학회 사무국장·철원역사문화연구소 소장

김영규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12월 28일
쪽수, 무게, 크기
316쪽 | 470g | 150*202*14mm
ISBN13
9788962464955

출판사 리뷰

태봉을 비롯하여 후삼국의 역사를 전공하는 연구자는 그리 많지 않다. 태봉을 주제로 하는 학회지의 발간은 아직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태봉학회에서는 태봉과 철원 지역의 역사, 문화에 대한 기왕의 논고, 자료 등을 모아 총서를 간행하기로 하였다. 관련 글들이나 자료들은 오랜 기간에 걸쳐 드문드문 발표되어왔고,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 것들을 정리하여 묶었다. 그동안 태봉학회 총서는 제1권 ‘태봉 철원도성 연구’. 제2권 ‘6. 25 전쟁과 철원’, 제3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의 성립’이 간행되었다.

태봉학회는 총서 제4권에서 김화 백전전투를 다루기로 하였다. 철원군과 (재)국방문화재연구원은 2012년 11월에 「철원 김화 백전대첩을 아는가」라는 주제로 제1회 병자호란 김화 백전대첩 기념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또 2013년 10월에는 「김화 백전대첩 승리의 비밀을 풀다」를 주제로 하여 제2회 학술대회를 열었다. 두 번의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원고들을 입수하여 그 가운데 몇 편을 추렸다. 여기에 병자호란 전반을 이해하는 데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논문들을 더하였다. 책의 말미에는 2022년 태봉학회의 활동과 철원군의 역사·문화 관련 동향을 소개하는 글을 실었다.

리뷰/한줄평1

리뷰

8.0 리뷰 총점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9,800
1 19,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