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그러나 절망으로부터
희망과 믿음을 잃지 않던 위안의 기록들
가격
20,000
10 18,000
YES포인트?
1,0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상세 이미지

책소개

목차

서문

들어가며 | 사후 낙원
1 회오리바람 속의 목소리 : 「욥기」와 「시편」
2 메시아를 기다리며 : 바울로의 서신들
3 키케로의 눈물 : 딸을 보내고 쓴 편지
4 이민족에 맞서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
5 철학의 위안 : 보에티우스와 단테
6 시간의 회화 : 엘 그레코의 “오르가스 백작의 매장”
7 신체의 지혜 : 미셸 드 몽테뉴의 마지막 글
8 보내지 않은 편지 : 데이비드 흄의 “나의 생애”
9 역사의 위로 : 콩도르세의 『인간 정신의 진보에 관한 역사적 개요』
10 심장 없는 세계의 심장 : 카를 마르크스와 『공산당 선언』
11 전쟁과 위로 : 에이브러햄 링컨의 두 번째 취임 연설
12 죽은 아이를 그리며 : 구스타프 말러의 “죽은 아이를 그리는 노래”
13 소명에 대하여 : 막스 베버와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14 증언의 위로 : 안나 아흐마토바, 프리모 레비, 미클로시 러드노티
15 은총 밖에서 : 알베르 카뮈의 『페스트』
16 진실하게 사는 법 : 바츨라프 하벨의 『올가에게 보내는 편지』
17 좋은 죽음 : 시슬리 손더스와 호스피스 운동
나가며

참고 문헌과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역자 후기
인명 색인

저자 소개2

마이클 이그나티에프

관심작가 알림신청
 

Michael Ignatieff

역사학자이자 정치학자. 캐나다에서 태어나 토론토 대학과 하버드 대학에서 공부했다. 졸업 후 케임브리지 대학 킹스 칼리지에서 연구원으로 있다가 옥스퍼드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영국 시절 방송인, 칼럼니스트, 저술가로도 왕성하게 활동했으며,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하버드 대학 케네디 스쿨의 카인권정책센터를 이끌었다. 정치에 뛰어들어 캐나다 하원의원과 캐나다 자유당 당수를 역임하기도 했다. 정계 은퇴 이후 토론토 대학과 하버드 케네디 스쿨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현재는 조지 소로스가 설립한 중부유럽대학(CEU)의 총장으로 있다. 《불과 재》(Fire and Ashes: Succe
역사학자이자 정치학자. 캐나다에서 태어나 토론토 대학과 하버드 대학에서 공부했다. 졸업 후 케임브리지 대학 킹스 칼리지에서 연구원으로 있다가 옥스퍼드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영국 시절 방송인, 칼럼니스트, 저술가로도 왕성하게 활동했으며,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하버드 대학 케네디 스쿨의 카인권정책센터를 이끌었다. 정치에 뛰어들어 캐나다 하원의원과 캐나다 자유당 당수를 역임하기도 했다. 정계 은퇴 이후 토론토 대학과 하버드 케네디 스쿨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현재는 조지 소로스가 설립한 중부유럽대학(CEU)의 총장으로 있다.
《불과 재》(Fire and Ashes: Success and Failure in Politics), 《아이제이아 벌린》(Isaiah Berlin: A Life), 《혈통과 소속》(Blood and Belonging: Journey into the New Nationalism) 등을 집필했다.
강원도 원주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했고, 서울예술대학교에서 문예 창작을 공부했다. 오랫동안 번역에 종사하며 문학과 예술의 곁자리를 지키고 있다. 옮긴 책으로 『미를 욕보이다』 『무엇이 예술인가』 『알랭 드 보통의 영혼의 미술관』 『빈 서판』 『언어본능』 『지금 다시 계몽』 『영혼을 찾아서』 『그러나 절망으로부터』 『생각은 어떻게 행동이 되는가』 『각인된 지식』 등이 있다. 제45회 백상출판문화상 번역 부문을 수상했다.

김한영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03월 22일
쪽수, 무게, 크기
400쪽 | 570g | 145*210*25mm
ISBN13
9788972917953

출판사 리뷰

불행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겠다는 결심에 관한 17편의 이야기

이 책은 고통으로 가득한 현실 세계를 조금이라도 이해하고자 했던 종교와 철학, 많은 사람들이 꿈꾸었던 내세의 혹은 미래의 이상향, 깊은 절망과 슬픔 속에서 한 줄기 빛이 되어준 음악이나 편지 등을 다루며, 지금껏 인류가 구해온 위로가 무엇인지를 다각도로 탐구한다. 종교인, 철학자, 지도자, 화가, 음악가, 시인, 사회운동가 등 각기 다른 시대와 배경의 중요한 인물들이 어떤 절망을 경험했으며 어디에서 위안을 얻었는지를 소개한다.

17편의 길지 않은 이야기들은 17번의 위안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고통스러운 세계를 신의 말씀으로 이해하고 그의 뜻에 겸허히 순종하던 종교인들(『구약 성서』의 인물들과 사도 바울로, 제1-2장), 슬픔을 마주하는 방법에 대한 규범을 철저히 따랐던 철학자들(키케로, 아우렐리우스, 보에티우스, 단테, 제3-5장)의 이야기와 한 폭의 그림으로 확실한 구원의 모습을 전달한 엘 그레코(제6장), 신체의 즐거움을 예찬하며 시대의 고통을 건넜던 몽테뉴(제7장)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신을 떠나 인간의 힘, 이성으로 절망적인 상황을 해석하고 바꾸려고 했던 사상가들(흄, 콩도르세, 마르크스, 제8-10장)과 슬픔, 고통을 자신만의 방법으로 전달했던 사람들(링컨, 말러, 베버, 제11-13장)의 이야기에 더해서, 많은 이들에게 고통을 안긴 시대 상황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은 이들의 이야기(아흐마토바, 레비, 러드노티, 카뮈, 하벨, 제14-16장)가 이어진다. 마지막으로는 호스피스 운동을 이끌며 ‘좋은 죽음’을 마주하는 방법에 대해서 치열하게 고민하고 직접 실천했던 시슬리 손더스의 이야기를 전하며, 사랑하는 이를 떠나 보낼 때 우리 모두가 느끼는 가장 보편적인 슬픔을 다룬다.

이 책의 저자 마이클 이그나티에프는 몇 해 전 「시편」을 노래하는 합창단의 공연을 듣고, 비신자임에도 불구하고 깊은 감동을 받은 이유를 탐구하기 시작했다. 사상사가이자 역사학자로서 그는 문학과 예술작품 등 고대로부터 전해진 인류의 기록들과 그 속에 담긴 절망, 희망의 파편들을 그러모아 담담히 써내려갔다. 지나치게 감상적이거나 과장된 표현 대신, 담백한 문체로 쓴 17편의 글은 긴 시간을 뛰어넘어 위로의 온도를 전해준다. 이 책은 이 시대의 불안과 고통, 불확실성을 겪는 우리와 주어진 운명에 맞서 희망과 용기를 발견해낸 역사적 인물들 사이에 자연스레 다리를 놓아주며 깊은 감동을 전달한다.

“나는 유럽에서 수천 년에 걸쳐 형성된 위로의 전통들이 어떻게 오늘날 우리에게도 힘을 줄 수 있는지를 보여주려고 한다. 오늘날과 같은 암흑의 시대에 우리는 어떤 유용한 가르침을 얻는가? 아주 간단한 가르침이다. 우리는 혼자가 아니며, 결코 혼자인 적이 없다는 것.”

추천평

위안이 절실히 필요한 현시대에 마이클 이그나티에프는 우리와 생각이 완전히 다르던 시대와 작품 속으로 들어가서 위로를 찾았다. 우아하고, 인간적이며, 알찬 결실을 안겨주는 책이다. - 콰메 앤터니 애피아 (『세계시민주의』 저자)
캐나다의 위대한 작가 마이클 이그나티에프가 이 시대의 렌즈를 통해서 영원한 진실을 깊이 통찰한다. 그의 사유를 따라가다 보면 우리에게 절실히 필요한 공동의 희망을 회복하게 된다. - 로메오 댈레어 (『악마와 악수하다』 저자)
열정적이고 생각을 자극하며 예측을 뛰어넘는다. - 카를로 긴즈부르그 (『밤의 역사』 저자)
명석하고 감동적인 동시에 위로가 되는 책이다. - 스티븐 그린블랫 (『1417년, 근대의 탄생』 저자)
철학자이자 역사가, 정치가 그리고 한 인간으로서 마이클 이그나티에프가 상실과 죽음에 관한 명상에 온 힘을 쏟아 완성한 책이다. - 로리 스튜어트 (『사이의 공간』 저자)

리뷰/한줄평6

리뷰

8.6 리뷰 총점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8,000
1 18,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