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개념 기반 교육과정 수업 설계의 이론과 실제
개정판
베스트
대학교재 top20 18주
가격
22,000
22,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 본 도서의 개정판이 출간되었습니다.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이 상품의 태그

책소개

목차

PART 01 교육과정의 이해
1. 교육과정의 기본 질문과 의미3
2.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이해6
3. 수업 설계16
4. 평가의 방향29
참고문헌36

PART 02 개념 형성과 수업 설계 모형
1. 개념의 특성41
2. 개념의 형성42
3. 개념 형성 이론45
4. 개념 형성 전략49
5. 개념의 발달 및 이해도 평가50
6. 개념 형성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56
참고문헌71

PART 03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설계
1. 개념 기반 수업 설계의 목적79
2. 개념 기반 수업 설계의 기본 방향80
3. 단원 계획91
4. 개념 기반 수업 설계 모형 및 단계별 전략99
참고문헌112

PART 04 개념 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사례
01 국어과115
▶ 국어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1) ◀ 116
▶ 국어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2) ◀ 124
▶ 주제통합 개념 기반 수업 설계 (5~6학년군) ◀ 135
02 수학과145
▶ 수학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1) ◀ 146
▶ 수학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2) ◀ 157
▶ 주제통합 개념 기반 수업 설계 (3~4학년군) ◀ 167
03 사회과179
▶ 사회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1) ◀ 180
▶ 사회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2) ◀ 191
▶ 사회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3) ◀ 208
▶ 주제통합 개념 기반 수업 설계 (5~6학년군) ◀ 224
04 과학과235
▶ 과학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1) ◀ 236
▶ 과학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2) ◀ 249
▶ 주제통합 개념 기반 수업 설계 (5~6학년군) ◀ 259
05 영어과275
▶ 영어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1) ◀ 276
▶ 영어과 개념 기반 수업 설계 (2) ◀ 286
▶ 주제통합 교수·학습 설계 (3~4학년) ◀ 295
참고문헌304

PART 05 개념 기반의 교육과정 유형

CHAPTER 01 역행 설계 모형307
1. 역행 설계 모형의 개념307
2. 역행 설계 모형의 이해310
3. 역행 설계 모형 수업 설계 사례329
참고문헌342

CHAPTER 02 IB PYP344
1. IB PYP 교육과정의 의미와 특징344
2. IB PYP 교육과정의 단원 설계 방법358
3. IB PYP 교육과정 교수학습 설계의 실제362
참고문헌368

찾아보기369

저자 소개10

조호제

 
현 고려대학교 및 숭실대학교 겸임교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학(박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등체육교육(박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학(석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등체육교육(석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교육과정 성취기준 및 수업과 평가, 학교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고교 진로탐색과정 운영, 교육과정 총론 기준, IB PYP, 교수·학습과 평가 등에 관심을 가짐.

조호제의 다른 상품

김정숙

 
현 서울면남초등학교 교사. 청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 다문화 수용성 함양을 위한 놀이중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2020), 교육환경보호원(교육부) 생명존중예방 프로그램 개발(2021), 과정중심평가 문항 개발 및 적용(2020). 교사교육과정, 통합교육과정 설계 및 실천 등에 관심을 가짐.

김정숙의 다른 상품

김정윤

 
현 서울남성초등학교 수석교사, 서울대학교 객원연구원, 숙명여자대학교 강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영어교육(석사),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교육과정(석사), 서울대학교 교육학(박사).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교육부), 2022 개정 통합교과서 편찬 검토. 통합교과 교육과정, 교육과정 설계 및 실천, 개념 기반 교육과정, IB PYP 등에 관심을 가짐.

김정윤의 다른 상품

김혜숙

 
현 서울탑동초등학교 교사, 경인교육대학교 강사.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다문화교육(석사). 초등 원로 교사의 다문화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2023), 교육환경보호원(교육부) 생명존중예방 프로그램 개발(2021), 한국광고교육원 진로 개발 자료 검수(2019). 영어과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 IB PYP, 교사교육 등에 관심을 가짐.

김혜숙의 다른 상품

박은하

 
현 서울봉은초등학교 교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유아교육(석사), 건국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학(박사). 초등학교 안전한 생활 교과용 도서 심의위원(교육부), 2009 개정 체육과 검정 교과용 도서 집필. 교수·학습 설계 및 평가, 교사 교육 등에 관심을 가짐.

박은하의 다른 상품

박일수

 
현 공주교육대학교 교수. 인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학(석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학(박사). 교사교육, 교육과정 설계, 교사교육과정, 과정중심평가 등에 관심을 가짐.

박일수의 다른 상품

백종민

 
현 서울 석관중학교 수석교사.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물리교육과(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물리교육(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학(박사). IB MYP 틀을 적용한 중학교 과학 수업 개발 과정 연구(2022), 국내외 사범대학의 교육목표와 교육과정 편성 비교 연구(2021) 외. IB MYP, 과학 교수·학습, 교육과정과 수업·평가의 연계, 과정중심평가 등에 관심을 가짐.

백종민의 다른 상품

채은경

 
현 글벗초등학교 교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인구다문화교육 전공(석사). 초등 사회과와 도덕과에서 반영된 연령 통합 내용 분석(2020),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3-6(2022), IB PYP 프레임워크 적용을 통한 서울형 PYP 모델 구축 방안 연구(2021), 어린이 초록마을, 나라, 세계(2012), 초등학교 환경 3-6학년(2012), 2007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2011), 학교 교육과정 수립과 교사 공동체, 개념 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에 관심을 가짐.

채은경의 다른 상품

최은아

 
현 전주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교수.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학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등음악교육 (석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음악교육 (박사). 2015 개정 음악과 검정 교과용 도서 집필, IB PYP, 주제중심 통합교육, 음악과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 등에 관심을 가짐.

최은아의 다른 상품

김남준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어요. “수학은 노래나 시처럼 자유롭다.”라는 믿음으로 어린이를 위한 수학체험교실, 학부모수학교실 등을 여는 등 수학 교육의 대중화에 힘써 왔어요. 전국수학교사모임에서 활동하며, 현) 서울노일초등학교 수석교사로 재직하고 있어요. 제7차 개정 수학 교과서 집필에 참여했으며, 『참 쉬운 수학사전』 등을 썼다.

김남준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04월 12일
쪽수, 무게, 크기
388쪽 | 176*248*30mm
ISBN13
9791165194062

출판사 리뷰

“혁신을 위해서는 전통적 학문의 근본적이고 힘 있는 개념(powerful concept)의 창조적 전이(creative transfer)가 필요하다”
- J. Stern et al., 2017.

최근 교육 분야에서는 지식교육, 개념 기반 교육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무엇보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육과정 개발 방향의 하나로 ‘깊이 있는 학습’을 제시한 것은 이러한 맥락과 관련이 있다. 역량교육과 지식교육이 상반된 것이 아니며, 역량교육을 위해 지식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잘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역량을 위해 지식이 필요하지만, 사실적 지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런 의미에서 사실적 지식의 차원에 머물러 있던 교육을 비판하는 것은 일면 정당하다. 특히 서로 연결되지 않은 지식의 조각들은 지식 자체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도 역량의 함양을 위해서도 유용하지 않다. 지식에는 사실적 지식, 절차적 지식, 개념적 지식 등 여러 층위의 지식이 있으며, 서로 다른 층위의 지식이 서로 연결되어 시너지를 낼 때 깊은 이해에 도달할 수 있고, 깊은 이해에 이르렀을 때야 비로소 필요한 역량이 발휘될 수 있다. 불확실하고 가변적인 현대사회에서, 뜻밖에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열쇠는 심층에서 길어 올린 개념적 지식에서 찾을 수 있고, 여기에 생동하는 역량의 원천이 흐르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학생들이 개념적 이해에 도달하도록 돕기 위해 교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개념 기반 수업은 어떻게 실행되어야 하는가? 무엇보다 학교교육에서는 이와 같은 개념 기반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저자들은 이러한 문제 인식과 질문들을 출발점으로 개념 기반 교육의 본질과 배경을 고찰하고, 현대 사회에서 개념 기반 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토론하였으며, 학교 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에 대해 머리를 맞대고 탐색하였다. 이 책은 이러한 과정에서 만들어진 작은 성과이다.
책은 크게 5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교육과정의 의미,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이해,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각론의 주요 특징과 수업 설계 및 평가 등을 개관하였다. 2부에서는 ‘개념’이 무엇인지를 되짚어 본 후, 개념 형성의 이론과 전략을 고찰한 다음 평가 방법 및 관련 교수·학습 모형 등을 폭넓게 살펴보았다. 3부에서는 개념 기반 교수·학습 설계의 목적과 기본방향, 단원 계획의 과정, 개념 기반 교수·학습 설계 모형 및 각 단계의 전략을 제시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맞게 구체적인 수업 탐색방안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4부에서는 국어과, 수학과, 사회과, 과학과, 영어과 등 5개 교과에서, 단원 개요, 단원 구조, 단원의 지도계획, 학습활동 설계 방안을 중심으로 개념 기반 수업의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5부에서는 보통 역행설계모형으로 불리는 이해중심교육과정과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IB PYP 프레임워크를 소개하였다. 이들은 모두 개념에 기반한 교수설계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개념 기반 수업에서 추구하는 지식에 대한 깊은 이해는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역량과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혁신의 토대이고,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인 학습자로, 자율적인 인간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동력이 되리라 믿는다. 이 책이 이와 같은 비전을 갖고 학교에서 깊은 학습을 실천할 수 있는 좋은 길잡이가 되길 바란다. 마지막으로 책의 출판을 위해 수고해주신 박영스토리 관계자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

리뷰/한줄평2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9.0 한줄평 총점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