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시작하는 글 “식물은 거꾸로 선 인간” · 004
01 병원균과의 마이크로 전쟁 건강 열풍의 주역 · 014 / 병원균의 습격 · 016 / 식물의 방어 시스템 · 018 / 활성산소로 반격 · 019 / 프로그램화한 죽음 · 020 / 항산화물질의 활약 · 021 / 멀티플레이어 천연성분 · 023 / 방어 시스템 돌파 · 024 / 끝없는 병원균과의 사투 · 025 02 해충을 막아라 최강의 적, 곤충과의 전쟁 · 028 / 허브 향도 식물의 독 · 029 / 독의 한계 · 031 / 곤충의 식욕을 없애는 물질 · 032 / 식물의 SOS 신호 · 035 / 식물의 영웅 · 036 03 개미를 둘러싼 식물의 삶 최강의 곤충 · 038 / 개미 경호원을 둔 식물 · 040 / 개미에게 씨앗을 옮기게 하는 전략 · 041 / 영양분을 제공하는 개미식물 · 043 / 배반의 아이콘도 개미 · 045 / 복잡한 공생관계 · 046 / 대체 누가 이득을 볼까? · 047 04 식물 체내에 동거하는 공생균 악의 음모 · 051 / 스스로 새에 먹히는 달팽이 · 052 / 식물을 감염시키는 독 · 054 / 슈퍼식물로 변신 · 055 / 왜 남자와 여자가 있을까? · 057 / 붉은 여왕 이론 · 059 / 붉은 여왕의 저주를 풀다 · 061 05 콩 뿌리에 붙어사는 뿌리혹박테리아 풋콩 속의 우주 · 064 / 특수 능력 소유자 뿌리혹박테리아 · 066 / 콩과 뿌리혹박테리아의 만남 · 067 / 척박한 토지에서도 자라는 콩류 · 069 / 격렬한 전쟁 끝에 공생 · 071 / 공생의 고뇌 · 073 06 동물이 옮겨다주는 씨앗 수박의 소문 · 076 / 원산지는 아프리카 사막 · 078 / 붉은색은 먹을 때가 되었다는 신호 · 079 / 국경을 넘어 침입하는 식물 · 080 / 전국구로 퍼지는 귀화식물 · 082 07 발아의 과학 웬만해선 싹이 나지 않는 잡초 · 084 / 발아 타이밍 · 085 / 적색광은 나아가라는 신호 · 086 / 엄청난 발아 에너지 · 087 / 콩의 작전 · 089 / 곰팡이가 영양분인 씨앗 · 090 08 건조에 강한 식물 시스템 잡초는 왜 강한가 · 092 / 여름은 광합성의 천국 · 094 / 고성능 시스템 · 095 / 트윈캠도 있다? · 096 / C4식물의 의외의 약점 · 098 09 식물에 숨은 암호 지하 금고의 비밀번호 · 101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비율 · 102 / 식물 잎의 위치 · 105 / 꽃점의 진실 · 107 / 해바라기 씨앗에 숨은 진실 · 108 10 다른 식물을 이용하는 덩굴식물 욕조 마개의 법칙 · 111 / 오른쪽 감기? 왼쪽 감기? · 113 / 나팔꽃의 성장 · 114 / 다양한 덩굴 감기방법 · 116 / 왠지 으스스한 교살 식물 · 117 / 말라 죽는 나무 · 118 11 꽃과 곤충의 흥정 곤충을 위해 화려하게 피는 꽃 · 121 /꽃잎은 간판이 전부다 · 123 / 유채는 작은 꽃들의 집합 · 124 / 다양한 꽃잎의 역할 · 125 / 합리적 영업시간 · 127 / 달콤한 꿀은 서비스 품목 · 128 / 가장 깊숙이 숨겨진 꿀 · 129 / 곤충이 눌러앉게 해서는 안 된다 · 132 / 레스토랑 체인점처럼 · 133 12 꽃 색에 숨은 비밀 곤충이 좋아하는 색 · 136 / 봄에 피는 소박한 노란색 꽃 · 138 / 서툴고 성실한 하얀색 꽃 · 139 / 똑똑한 꿀벌이 좋아하는 보라색 꽃 · 141 / 곤충 능력을 시험하는 꽃들 · 142 / 나비는 골치 아픈 꿀 도둑 · 144 / 식물의 구애 테크닉 · 146 13 수분을 위한 모든 것 꽃가루 날리는 풍매화 · 148 / 곤충이 옮기는 충매화 · 150 / 관능적인 꽃가루의 사랑 · 151 / 식물들의 생명 드라마 · 153 / 인간도 식물과 같다 · 154 14 식물을 시들게 하는 호르몬 식물에 애정은 전해진다? · 156 / 별칭 - 노화 호르몬 · 158 / 노화 - 과일의 숙성 · 159 / 에틸렌을 이용한 생활의 지혜 · 160 / 에틸렌은 식물의 신호 · 161 / 썩은 귤 방정식 · 163 15 단풍이 빨갛게 물드는 이유 젖은 낙엽의 고민 · 165 / 여름은 완전가동으로 광합성 · 166 / 혹독한 겨울나기 비법 · 168 / 엽록소가 파괴되어 단풍이 물들다 · 169 / 고엽이여, 쉴 새 없이 흩날리는 고엽이여 · 171 / 잎이 떨어지지 않는 조엽수 · 172 / 침엽수, 소나무의 경영철학 · 173 16 식물의 겨울나기 식물의 바른 자세 · 175 / 이상적인 겨울나기 · 176 / 지하 깊숙이 뻗는 뿌리 · 177 / 겨울이야말로 공격의 계절 · 179 / 지구를 짊어진 삶의 모습 · 180 17 식물이 내뿜는 피톤치드 산은 왜 푸를까? · 182 / 숲을 채운 물질 · 183 / 독을 내뿜는 숲 · 184 / 독과 약은 종이 한 장 차이 · 186 / 도시는 인간이 만든 숲 · 187 18 현대에 남은 고대식물 식물학자가 흥분하는 나무 · 190 /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 · 191 / 육상으로 진출한 것이 진화의 열쇠 · 193 / 스피디한 수정 · 194 / 속씨식물이 공룡을 멸종시켰다 · 197 / 곤충, 동물, 새와의 동맹 · 198 19 초록 행성을 만든 식물의 민낯 식물은 환경 파괴자였다 · 201 / 산소는 독성물질? · 203 / 창조인가, 파괴인가 · 205 / 역사는 반복된다 · 206 맺는 글 “인간은 거꾸로 선 식물” · 209 해설 식물을 알고 사람을 알다 · 213 |
Hidehiro Inagaki,いながき ひでひろ,稻垣 榮洋
이나가키 히데히로의 다른 상품
장은주의 다른 상품
인간으로 빙의한 식물세계
우리 곁 식물들의 발칙한 삶 속으로 이 책은 어떤 장이라도 이야기의 도입 부분이 재미있다. 예컨대 “목욕 후 캔맥주와 풋콩의 궁합은 가히 환상”이라고 말한다. ‘그래 이 조합은 못 참지!’ 하고 생각하면 어느새 이야기는 콩의 뿌리까지 나아가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예시가 뛰어나다. 꽃이 눈에 띄어야 하는 이유를 인쇄된 부채에 비유하는가 하면, 작은 꽃이 모여 피는 이유를 플리마켓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식물 세계의 표현이 아닌 인간세계의 일에 비유하여 설명하므로 상상력은 무한대로 펼쳐진다. 꽃의 꿀이 있는 위치를 설명하면서 편의점을 예로 든다. 편의점에는 왼쪽 돌기 법칙이 있어 잘 팔리는 상품을 가게 안쪽에 배치하면 고객이 가게 여기저기를 돌아다니게 된다. 꽃의 꿀 역시 되도록 안쪽에 있으면 곤충이 꽃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간다. 그러면 곤충에 꽃가루가 묻을 가능성이 커진다. 그 상태로 다른 꽃으로 날아가면 수분에 성공한다. 이렇게 설명하니 귀에 쏙쏙 들어온다. 저자는 일부러 식물을 의인화하는데, 일반인이 식물의 생존방식을 이해하는 데 매우 적합한 방식이다. 식물의 불가사의하고 매력적인 생존방식을 이토록 극적으로 묘사한 책은 없지 않은가. 인간세계에 이런 기묘한 체인점은 존재하지 않지만, 이 공허함은 왠지 낯설지 않다. 그렇다. 도박이다. 한 번 크게 얻어걸린 달콤한 꿀맛을 잊지 못해 뻔질나게 파친코나 경마장에 들락거리는 도박꾼. 오늘은 이 파친코, 내일은 저 경마장을 떠도는 도박꾼의 모습이 떠오르지 않는가. 그 모습이야말로 꽃에서 꽃으로 날아다니는 곤충의 모습, 바로 그게 아닐까? 흐드러지게 핀 꽃, 꽃에서 꽃으로 날아다니는 나비와 벌. 이 한가로운 풍경이 왠지 남의 일 같지 않다. 식물은 이렇게 하여 마음에 둔 상대를 어떻게든 자기 것으로 하려고 상대 성격에 맞춰 구애하는 테크닉을 발전시켜왔다. 지금 소개한 것은 곤충을 타깃으로 한 식물의 전략이다. 식물이 보란 듯이 성공했다고 세상의 모든 남성이 반드시 구애에 성공한다는 보장은 절대 없다. 마음에 둔 그녀의 마음을 어떻게 사로잡을지는 역시 스스로 생각해내는 수밖에 없다. 아마 식물도 실연을 반복하면서 이만큼의 테크닉을 익히게 되지 않았을까? 단풍의 붉은색은 본사에서 잘려 내쳐진 후 죽을 각오로 만들어낸 안토시안이 남긴 유산이다. 잎은 여름 내내 일하고 또 일하며 영양분을 모으고 또 모은 끝에 해고를 당했다. ‘얼마나 열심히 일했는데 나를 버리다니.’ 이런 생각이 강하면 강할수록 단풍의 붉은색은 더 짙어진다. 저자는 “식물의 생존방식을 알게 된 지금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인간의 생존방식일지도 모른다”고 했는데, 식물에 빗대어 인간의 삶을 성찰케 하는 것이 저자의 숨은 의도인 것. 식물의 발칙한 사생활을 들여다보며 각자 스스로의 생존방식도 점검해보면 좋을 것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