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EPUB
eBook 러브 온 더 브레인
EPUB
가격
12,600
12,600
YES포인트?
63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카드뉴스로 보는 책

카드뉴스0
카드뉴스1
카드뉴스2
카드뉴스3
카드뉴스4
카드뉴스5
카드뉴스6

상세 이미지

소개

목차

<러브 온 더 브레인> 본문

저자 소개2

앨리 헤이즐우드

관심작가 알림신청
 

Ali Hazelwood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독일과 일본에서 살다가 미국으로 건너가 신경과학 박사 학위를 땄다. 뇌과학 분야에서 논문을 다수 발표한 과학자인데, 『사랑의 가설』로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를 기록한 작가가 되었다. 그녀가 발표한 논문에서는 아무도 키스를 나누지 않고, 또 그 결말이 언제나 해피엔딩인 것도 아니지만, 그녀의 소설에서만큼은 여러 커플이 살아 숨 쉬며 사랑을 나눈다. 쉴 때는 달리기와 뜨개질을 하고, 두 마리 고양이와 조금 덜 고양이 같은 남편과 SF 영화 감상을 즐긴다.

앨리 헤이즐우드의 다른 상품

숙명여자대학에서 한국사를 전공한 후 대학교 전공과는 무관하게 좋아하는 일을 찾아 책 번역의 길에 들어섰다. 2006년 발행된 칼 포퍼의 『삶은 문제해결의 연속이다』 초판본을 번역했고, 17년 만에 복간하는 『삶은 문제해결의 연속이다』 책의 재번역을 진행했다. 옮긴 책으로 『광기와 치유의 책』, 『삶의 끝에서』, 『모르타라 납치사건』, 『미친 사랑의 서』, 『토베 얀손, 일과 사랑』, 『모리스의 월요일』, 『빅스톤갭의 작은 책방』, 『생추어리 농장』, 『범죄의 해부학』, 『세상에서 가장 자유로운 도시, 암스테르담』 등이 있다.

허형은의 다른 상품

관련 분류

품목정보

발행일
2024년 07월 15일
이용안내
  •  배송 없이 구매 후 바로 읽기
  •  이용기간 제한없음
  •   TTS 가능 ?
  •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인쇄 기능 제공 안함
지원기기
크레마,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PC(Mac)
파일/용량
EPUB(DRM) | 30.53MB ?
글자 수/ 페이지 수
약 24만자, 약 7.8만 단어, A4 약 151쪽 ?
ISBN13
9791191602494

출판사 리뷰

천재 뇌신경 과학자의 지독한 입덕 부정기
vs 천재 엔지니어의 지고지순 짝사랑 성공기

이 소설은 나사(NASA)라는 특수한 공간을 배경으로 한다. 우주인이 착용하는 헬멧을 만들기 위해 뇌신경과학과 엔지니어링이 합작하면서 벌어지는 두 전문가의 두뇌 싸움이 관전 포인트로, 소설을 읽다 보면 ‘내 뇌는 과연 통통하고 좌우 대칭일지’ 그 상태가 궁금해진다. 이야기는 주인공 비 쾨닉스바사의 시점에서 진행되는데, 그녀의 조금은 미친 것 같고 남다른 사고방식 덕분에 저절로 웃음이 나고 공감하며 감정을 이입하게 된다.

연애에 철벽을 치는 뇌 과학자와 192cm 덩치만큼 커다란 순정을 간직한 이과 공돌이가 사랑의 줄다리기를 한다면, 과연 누가 이길까? 속을 알 수 없는 미스터리한 남자와 매력적이지만 어딘가 짠한 여자, 그리고 그들 사이에 나타났다 사라지는 투명 고양이 펠리세트…. 이 소설은 시선과 마음을 훔치는 캐릭터가 차례로 등장하고 로맨틱 코미디의 익숙한 성공 방식을 차근차근 따르며 독자에게 매력을 어필한다. 다시는 절대 절대 절대로 사랑을 하지 않겠다고 마음의 소리를 음소거한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어쩌면 이미 사랑에 빠진 건지도 모른다. 지독히도 처절하게 자신의 마음을 부정하는 여자 주인공의 입덕 부정 망상 몸부림을 지켜보는 재미를 놓치지 마시길.

어떤 시련이 닥칠지라도…
함께해서 빛나는 여성 과학자들의 눈부신 연대

이 책에는 훌륭한 연구 성과를 내더라도 늘 주변인으로 취급받는 여성 과학자들의 모습이 현실적으로 묘사된다. 스템(STEM) 계열 여성 과학자로서 저자는 주인공의 신랄한 풍자를 빌어 여성을 향한 남성의 폭력적인 시선과 기만에 대해 경고한다. 주인공에게 닥친 시련과 여성 연대의 일시적 붕괴로 숨겨져 있던 진실이 드러나며 이 소설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선명하게 밝힌다. 위선적이고 폭력적인 남성들로 인해 고통 받는 ‘여성들의 존재’와 ‘그들의 연대’가 바로 그것이다. 작품 속에서 부각되는 여성의 연대는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생존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선택임을 보여 준다. 저자는 이 소설을 통해 각자의 전쟁터에서 매일 치열하게 싸우는 여성 모두에게 응원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리뷰/한줄평18

리뷰

9.8 리뷰 총점

한줄평

9.3 한줄평 총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