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들어가며 2
이 책의 특징과 활용법 3 50일 학습 계획표 5 1일차 감탄하다 | 장발장 8 2일차 심심하다 | 도서관 고양이 10 3일차 긴장하다·긴장되다 | 미운 아기 오리 12 4일차 괘씸하다 | 소똥 밟은 호랑이 14 5일차 기쁘다 | 편지 16 6일차 서운하다 | 멸치의 꿈 18 7일차 반하다 | 장화 신은 고양이 20 8일차 기겁하다 | 토끼의 간 22 9일차 두렵다 | 스핑크스의 수수께끼 24 10일차 답답하다 | 혹부리 영감과 도깨비 26 11일차 겁먹다 | 곶감과 호랑이 28 12일차 실망하다 | 플랜더스의 개 30 13일차 낯설다 | 젊어지는 샘물 32 14일차 망설이다 | 인어공주 34 15일차 기특하다 | 자린고비 36 16일차 얄밉다 | 여우와 황새 38 17일차 부럽다 | 소가 된 게으름뱅이 40 18일차 불쾌하다 | 나무 그늘을 산 총각 42 19일차 걱정하다·걱정되다 | 용기를 내, 비닐장갑! 44 20일차 놀라다 | 피노키오 46 21일차 무섭다 | 헨젤과 그레텔 48 22일차 억울하다 | 팥죽 할머니와 호랑이 50 23일차 슬프다 | 어린 왕자 52 24일차 싫다 | 개구리 왕자 54 25일차 사랑스럽다 | 수선화가 된 소년 나르키소스 56 26일차 당황하다 | 황금 알을 낳는 거위 58 27일차 무시무시하다 | 대단한 참외씨 60 28일차 의심스럽다 | 해와 달이 된 오누이 62 29일차 속상하다 | 키다리 아저씨 64 30일차 지루하다 | 양치기 소년 66 31일차 설레다 | 소금을 만드는 맷돌 68 32일차 어리둥절하다 | 빨강 머리 앤 70 33일차 불안하다 | 정글 북 72 34일차 화나다·화가 나다 | 바삭바삭 갈매기 74 35일차 서럽다 | 콩쥐 팥쥐 76 36일차 정겹다 | 베짱베짱 베 짜는 베짱이 78 37일차 질투하다 | 백설공주 80 38일차 의아하다 | 의 좋은 형제 82 39일차 부끄럽다 | 만복이네 떡집 84 40일차 아찔하다 | 최초의 여성, 판도라 86 41일차 안쓰럽다 | 흥부와 놀부 88 42일차 즐겁다 | 할머니와 하얀 집 90 43일차 조마조마하다 | 시골 쥐와 서울 쥐 92 44일차 창피하다 | 곰과 두 친구 94 45일차 안타깝다 | 크리스마스 캐럴 96 46일차 통쾌하다 | 토끼의 재판 98 47일차 초조하다 | 트로이의 목마 100 48일차 우울하다 | 마지막 잎새 102 49일차 홀가분하다 |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104 50일차 그립다 | 선녀와 나무꾼 106 찾아보기 108 |
권귀헌의 다른 상품
교과서 수록 동화를 비롯한 초등 필수 동화 50편 수록
감정 표현의 최고봉은 바로 동화입니다. 동화에는 이야기 속 주인공이 어떤 마음에서 행동하고 말하는지가 잘 묘사되어 있거든요. 이 책에는 초등 교과서에 수록된 동화를 비롯해 전래 동화, 세계 명작, 그리스 신화 등 초등학생이 꼭 읽어야 할 주옥 같은 동화 50편을 담았습니다. 작품을 이해할 수 있도록 줄거리를 정리했고, 작품 속 ‘감정’이 잘 드러난 부분을 강조했지요. 동화 속에서 감정이 표현된 문장들을 따라 쓰다 보면 어휘의 정확한 쓰임을 익히고 감정을 표현하는 법도 배울 수 있답니다. 감정 단어 50개의 정의와 활용 예문, 내 경험 쓰기까지 ‘서럽다’는 감정은 어떤 것일까요? 깨진 항아리에 물을 부으며 서러워하는 콩쥐의 이야기를 읽다 보면 궁금해질 거예요. 동화 줄거리를 읽은 후에는 감정 어휘의 사전적 의미를 알아보고 해당 단어가 쓰인 예문 4개를 읽어 봅니다. 예를 들어 서럽다는 것은 ‘원통하고 슬픈’ 감정이라는 것을, 그것이 ‘친구들이 나만 빼고 네 컷 사진을 찍으러 갔을 때’, ‘비 오는 날 우산도 없이 혼자 비를 맞고 갈 때’ 드는 감정이라는 것을 알게 되지요. 문장을 필사한 후에는 내가 이 감정을 느낀 적이 있는지 떠올리며 내 경험을 써 볼 수 있어요 원고지에 감정 문장을 따라 쓰며 첫 필사 연습 네모 칸 안에 감정을 표현하는 문장을 또박또박 따라 써 보세요. 필사는 단순히 글을 따라 쓰는 행위 이상의 효과를 냅니다. 필사를 통해 글씨를 또렷하고 예쁘게 쓰는 연습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원고지 형식에 맞추어 글 쓰는 법도 익힐 수 있지요. 또 문장을 내 손으로 직접 쓰면서 새로운 어휘와 문장의 구조를 자연스럽게 익히게 되고, 이는 글쓰기 능력을 키워 줍니다. 특히 감정 표현을 필사하다 보면 다양한 감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50가지 감정 표현을 따라 쓰며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더 잘 인식하고 표현하는 어린이가 되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