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1967년 서문 ···················xi
1922년 서문 ··················lxxv 제1장 정통 마르크스주의란 무엇인가 ········1 1. 이론과 실천: 변증법적 방법의 의미 ······4 2. 사실과 총체성: 자연과학과 변증법 ······12 3. 변증법적 방법과 속류 마르크스주의의 방법 ··23 4. 현실의 문제: 헤겔과 마르크스 ········36 5. 의식과 존재: 사적 유물론과 프롤레타리아트 ··43 제2장 마르크스주의자로서 로자 룩셈부르크 ····55 1. 마르크스주의에서의 총체성 ·········56 2. 마르크스주의의 속류화 ···········61 3. ≪자본의 축적≫의 문제사적 서술 ······69 4. 룩셈부르크의 당과 혁명 ···········80 제3장 계급의식 ·················95 1. 계급의식이란 무엇인가 ···········98 2. 전자본주의 사회와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계급의식 ····················115 3. 부르주아지와 소부르주아지의 계급의식 ···124 4. 속류 마르크스주의자의 계급의식 ······144 5. 프롤레타리아트의 계급의식: 경제투쟁과 정치투쟁 ··················150 제4장 사물화와 프롤레타리아트의 의식 ······175 제1절 사물화 현상 ················178 1. 상품 구조와 사물화 ············178 2. 사물화와 합리화 ··············196 3. 사물화와 과학 ···············217 제2절 부르주아 사유의 이율배반 ·········232 1. 인식 원리의 이율배반 ···········233 2. 실천 원리의 이율배반 ···········257 3. 예술 원리의 이율배반 ···········284 4. 모순의 변증법적 극복: 역사적 생성의 입장 ··299 제3절 프롤레타리아트의 입장 ···········317 1. 직접성과 매개의 변증법 ··········318 2. 질과 양 ··················337 3. 고정성과 과정성 ··············364 4. 경험적 사실과 발전적 경향 ·········381 5. 상대주의와 역사변증법 ···········389 6. 이론의 실천으로의 전화 ··········414 제5장 역사적 유물론의 기능 변화 ········439 제6장 합법성과 비합법성 ············501 1. 혁명 과정에서 이데올로기 문제 ·······504 2. 법률과 전술 ················513 3. 프롤레타리아 독재기의 합법성 문제 ·····522 제7장 로자 룩셈부르크의 ≪러시아혁명 비판≫에 대한 비판적 고찰 ··················533 1.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성격: 농업 문제와 관련하여 ······················539 2.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성격: 민족 문제와 관련하여 ······················546 3. 역사 발전의 유기적 성격과 폭력적 성격 ···551 4. 프롤레타리아 혁명에서 국가의 역할 ·····560 5. 당 조직의 문제: 기회주의와의 투쟁 문제 ···567 6. 조직 문제의 전술적·정치적 결과 ······577 7. 프롤레타리아 독재기의 자유 문제 ······584 제8장 조직 문제의 방법론 ············593 1. 조직 문제의 의의 ·············595 2. 자연발생성과 의식성: 필연성과 자유 ·····611 3. 당과 당원의 관계: 규율의 의의 ·······637 4. 당과 계급의 관계 ·············649 5. 전술과 조직 ···············667 해설 ······················685 지은이에 대해 ··················719 옮긴이에 대해 ··················723 |
Gyorgy Lukacs,게오르그 루카치
게오르크 루카치의 다른 상품
정통 마르크스주의는 마르크스의 연구 결과를 무비판적으로 인정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이런저런 주장에 대한 ‘믿음’이나 어떤 ‘신성한’ 책의 해석을 의미하지도 않는다. 마르크스주의의 문제에서 정통성이란 오로지 방법에만 관련된다. 정통성은 변증법적 마르크스주의 속에서 올바른 연구 방법이 발견되었으며 이 방법은 오직 그 창시자들[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정신(Sinn)에 따라서만 확장되고 확대되고 심화될 수 있다는 과학적 확신이다. 또한 그것은 그 방법을 극복하거나 ‘개선’하려는 모든 시도는 결국 천박화, 진부함, 절충주의로 귀착(歸着)되어 왔고 또 그럴 수밖에 없었다는 과학적 확신이다.
--- p.4 생산 과정에서의 특정한 유형적 상황(Lage)에 귀속되는[돌려지는, zugerechnet], 합리적으로 적합한 반응이 바로 계급의식이다. 따라서 계급의식은 계급을 형성하는 개인들이 생각한다든가 느낀다든가 하는 바를 총합한 것도 평균한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체성으로서 계급의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행위는 궁극적으로 이 [계급]의식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지 개인의 사고 등에 의해 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그것은 오직 이 [계급]의식에 의거해서만 인식될 수 있다. --- p.107~108 |
≪역사와 계급의식≫은 제2인터내셔널의 수정주의와 기회주의에 맞서 마르크스주의의 혁명적 전통을 옹호하고자 하는 의도로 쓴 책이다. 그래서 루카치는 마르크스주의의 정통성을 변증법적 방법에서 찾는 동시에 변증법적 방법의 본질을 주체와 객체의 상호작용 내지 총체성의 관점에 두고 이것을 실현하는 주체를 프롤레타리아트로 설정한다.
이 책은 출간되자마자 격렬한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지노비예프, 데보린, 루다스, 그리고 ≪프라우다≫, ≪적기≫ 등 당시 공산주의의 지도자들은 루카치의 입장이 수정주의이고 관념론이라고 호되게 공격했다. 이들은 주로 루카치가 자연변증법과 반영론을 부정했다는 점에 비판의 화살을 돌렸다. 다른 한편 사회민주주의자들은 루카치의 계급의식론이 레닌식의 전위당 독재를 합리화한다고 비난했다. 반면 블로흐, 레버이, 코르슈(Korsch) 등은 마르크스 변증법의 르네상스라 하며 환영했다. ≪역사와 계급의식≫이 마르크스주의의 역사에서 기여한 점으로는, 우선 마르크스주의의 역사에서 처음으로 헤겔 변증법을 복권시키고 헤겔과 마르크스의 연관 문제를 전면에 부각시켰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것은 루카치의 의도대로 수정주의 전통에 강력한 타격을 가하게 된다. 나아가서 이 책은 소외와 사물화의 문제를 마르크스 이래 처음으로 자본주의 비판의 핵심 문제로 취급했으며, 이후 좌파 사상가든 우파 사상가든 인간 소외의 문제를 시대의 핵심 문제로 인정하게 만들었다. 이와 같은 업적은 마르크스의 ≪경제학·철학 초고≫와 레닌의 ≪철학 노트≫가 1930년대 초에야 비로소 출간되었다는 사실을 고려해 볼 때 놀랄 만한 것이다. 또한 이 책은 사물화론을 통해 마르크스와 베버를 종합함으로써 근대 자본주의를 보는 두 패러다임 사이에서 생산적인 대화를 촉발했다. 마지막으로 마르크스주의 전통과 유럽의 사상 및 문화 전통을 독창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당시까지만 해도 경제 이론 정도로만 통용되던 마르크스주의에 철학적 차원을 복원하고 마르크스주의 이론을 유럽의 지성계에서 상당한 지위로 끌어올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