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서문
- 미래의 시민이자 현재의 시민 1. 아동·청소년의 이중적 지위 - 어른의 소유물에서 권리의 주체로 - 아동·청소년 인권의 변천 2. 아동·청소년의 권리 장전, 유엔아동권리협약 -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주요 내용 - 아동·청소년을 권리 주체로 인정한 각국의 헌법 - 세계 흐름에 뒤떨어진 우리 법체계 3. 몇 살이 되어야 시민이 될 수 있는가 - 국민이면서 시민이 아닌 존재 - 헌법이 보장한 아동·청소년의 시민권 - 법률로 제한된 아동·청소년의 참정권 - 미성년자의 정치 참여와 배제의 논리 4. 19세 미만 선거권 제한은 위헌이다 - 입법자의 권리는 무한한 것인가? - 판단 능력이 미숙하면 권리를 빼앗겨도 되는가? - 시민성은 참여에서 싹튼다 - 세계 아동·청소년의 외침 5. 시민의 확장은 성숙한 민주주의와 함께한다 - 갓난아이에게도 선거권이 있을까? - 외국의 선거권 연령 변화 - 19세에서 18세로, 나아가 16세로 주 부록 - 대한민국 선거권 연령 변천사 - 유엔아동권리협약 전문 편집자의 말 - 시선의 확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