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실의 결혼식 6 라 몰과 코코나 15 카트린느 메디치 27 대학살의 밤 41 교묘한 응수 58 교수대 성지 순례 79 다시 피어난 우정 88 향수 제조자 르네 98 뒤바뀐 입술 제제 109 무이 115 붉은 망토 123 르네의 은밀한 배신 135 기마 사냥 140 음모의 실패 152 의혹 168 도주 178 폴란드 사절단 194 즉위식 216 오스트레와 필라드의 우정 220 오르통의 죽음 227 무이의 반격 244 독 묻은 책과 뒤바뀐 희생자 254 빗나간 계획 266 사냥개 악테옹 282 쟁점의 중심이 된 밀랍인형 289 사건 심리 299 증인 304 판결문과 고문 313 두 친구 321 왕의 죽음과 섭정권 333 에필로그 347
|
Alexandre Dumas
알렉상드르 뒤마의 다른 상품
박미경의 다른 상품
이 작품은 프랑스 스토리텔러의 거장 알렉상드르 뒤마의 잘 알려진 서스펜스 역사 소설로 이탈리아 명문 메디치 가문 출신의 프랑스 왕비인 카트린느 메디치(프랑스 앙리 2세의 아내)가 섭정하던 시절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카트린느 메디치는 이 소설 속에서 가장 강력한 악의 축이다. 그녀는 20대 초반의 병약한 아들인 샤를르 9세를 교묘하게 조종하여 신 구교간의 종교 갈등이 한창이던 당시에 신교도들을 몰살하는 성 바르톨로메오 대학살극을 벌린다. 카트린느의 딸이자 뛰어난 미모와 지성으로 왕실의 진주로 불린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와 신교도의 수장인 앙리 드 나바르의 결혼식이 대학살의 촉발제가 된다. 이들의 결혼은 정치적인 동맹이지만 마르그리트는 동지애와 자신의 운명에 대한 정치적인 판단으로 모후인 카트린느 메디치가 아닌 형식적인 남편인 앙리 드 나바르의 편이 된다. 실제로도 그랬다는 설이 있는데 소설 속에서 향수와 점술을 유달리 좋아하는 카트린느 메디치는 자신의 음모 속에서 계속 살아남는 사위인 앙리 드 나바르가 점술에서 운명지어진 것처럼 천운을 타고났다고 생각하며 그를 제거하려는 시도를 끝까지 멈추지 않는다. 이 소설의 사건 전개가 흥미롭다면 카트린느가 앙리를 제거하기 위해 꾸미는 다양한 음모와 그것을 예견하고 아슬아슬하게 빠져나가는 앙리의 지략과 응수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느 나라나 왕실 이야기가 흔히 그렇듯이 여기에는 음침하고도 괴이한 독살 방법들이 등장한다. 일면 그것은 유럽 왕실의 야사에서 흔히 전해지는 독 묻은 사과, 향기 묻은 장갑 같은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입술 제제에 독을 넣어 키스하게 함으로써 독살하는 것, 독 묻은 책을 읽게 하는 것 등 현대인들에게 참으로 기이하고 상상 속에서나 가능할 것 같은 방법들이 등장한다. 그러나 알렉상드르 뒤마 특유의 인간적인 개성이 묻어나는 것은 이러한 내용 때문이 아니다. 이 소설의 중심에는 또 다른 축이 있는데 그것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변함없는 인간의 미덕으로 여겨지는 사랑과 우정이다. 마르그리트를 사랑하는 젊은 백작인 라 몰은 흔히 그렇듯 헌신적인 기사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라 몰은 실존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그의 적이었지만 이후에 친구가 된 코코나는 훨씬 더 강렬한 캐릭터를 보여준다. 세련되고 잘생긴 라 몰과 달리 그는 투박한 시골 출신으로 왕족이나 귀족에 대한 존경이 없고 냉소적 성격의 소유자지만 모두가 멀리하는 사형집행인에게 손을 내밀고 우정을 위해 목숨까지 내놓는 남자다운 인물이다. 그는 세상의 위선과 부조리에 대한 통찰력과 날카로운 비판 정신을 가지고 있다. 그의 말에는 위트와 기지가 넘쳐흐르며 유머스럽기까지 하다. 이 소설을 읽는 소소한 즐거움은 모두 그에게서 나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알렉상드르 뒤마가 모든 인물들 중에서 코코나에게 점차 매료된 것처럼 보이는 것이 죽음에 이르는 코코나의 끝이 너무 멋있기 때문이라고 한다면 지나친 비약일까? 어디까지가 역사적인 사실이고 어디까지가 상상력의 소산인지 구별되지 않을 정도로 알렉상드르 뒤마는 역사적 사실과 스토리를 교묘하게 얽히고설키게 만들어 이야기를 흥미롭게 풀어간다. 실제로 역사적 기록에 비추어 모든 것이 문자 그대로 100% 정확히 맞아떨어지지는 않는다고 할지라도 비교적 정확하다. 독자들은 앙리가 위험한 상황에 처할 때마다 카트린느를 배신하고 불쑥 불쑥 나타나 앙리를 도와주며 “왕이 되실 것입니다. 그것을 말해주는 것은 저 하늘의 별입니다.”라고 외치는 점술가 르네의 말이 사실인지 궁금할 것이다. 비록 책 속에서 그 이후까지 드러나지는 않는다고 할지라도 실제로 앙리 드 나바르는 카트린느 메디치의 3번째 아들 앙리 3세에 이어 앙리 4세가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