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1년 08월 10일 |
---|---|
쪽수, 무게, 크기 | 248쪽 | 404g | 153*225*20mm |
ISBN13 | 9788936811846 |
ISBN10 | 8936811843 |
출간일 | 2021년 08월 10일 |
---|---|
쪽수, 무게, 크기 | 248쪽 | 404g | 153*225*20mm |
ISBN13 | 9788936811846 |
ISBN10 | 8936811843 |
문화 주권을 두고 전개되는 한중 대립 시진핑 정부는 이를 통해 무엇을 얻으려는 것일까? 중국이 ‘문화’를 무기로 한국과 전쟁을 벌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중국에서 문화는 과연 어떤 의미이길래 무기가 될 수 있는 것일까? 중국이 한국과의 문화 전쟁에서 얻으려는 것은 무엇일까? 시진핑 정부 이후 더욱 공세적으로 바뀐 이유는 무엇일까? 1990년대 말부터 시작해 지금까지 이어져 온 한중 문화 전쟁의 실체를 살펴본다. |
서론_ 또 하나의 전쟁, 문화 전쟁 1 혐한 일지, 2004년~현재까지 1. 혐한 사건들 2. 문화 도둑, 한국 3. 문화 침략자, 한국 4. 문화 속국, 한국 2 전쟁의 시작, 강릉 단오제 1. 전쟁의 시작 2. 단오절을 지켜라 3. 중국 학계의 자기비판 4. 단오 부흥 운동과 혐한의 시작 3 단오가 일으킨 파장, 신라인은 초나라 사람? 1. 우한으로부터 날아온 초청장 2. 신라는 초나라 사람이 세운 국가? 3. 초나라 사람은 그 오랜 시간 어디에 있었던 것일까? 4. 끝나지 않은 초나라 기원설 4 단오에 놀라 중추절을 법정 공휴일로 1. 중국의 중추절 기원 논쟁 2. 신라 시대 시작된 추석 3. 북송 시대 시작된 중추절 4. 서로 다른 달(月) 5 치우의 후손, 한국인은 중화민족? 1. 타이완에서 온 편지 2. 치우 제사에 참가하다 3. 한국인은 중화민족? 4. 치우는 누구의 조상도 아니다 6 한중 문화 갈등의 원인 1. 중국 문화의 파괴와 초조함 2. 전통문화로 문화 허무주의를 비판하다 3. 왜곡된 언론 보도와 인터넷을 통한 확산 4. 우리에게도 문제는 있다 7 시진핑 시기 신문화 전쟁 1. 한중의 신문화 전쟁 2. 시진핑 주석의 문화 자신 3. 애국주의 투사가 된 한류 팬 4. 시진핑 주석의 친위대 ‘청년 인터넷 문명 지원자’ 8 문화를 읽는 방법 1. 중화주의가 전파론을 만났을 때 2. 중국의 달에는 토끼와 두꺼비가 산다 3. 문화의 수용과 문화 번역 4. 전통 시대 한중의 문화 교류 맺음말_ 깨어야 할 꿈, 중국적 세계 질서 주석 |
문화주권을 두고 전개되는 한국과 중국의 대립
김치와 한복이 중국문화라는 소리에 사실 한국사람이라면 아니 전세계 사람들이라면 듣고 놀라지 않을 수가 없었다
한국과 중국은 1992년 8월에 수교했고, 2022년은 한중 수교 30주년이 되는 해이다
한국이 중국의 단오를 훔쳐 갔다고 ,,,
중국은 "한국이 중국 문화를 훔쳐가려 한다"라고 얘기가 인터넷에 떠돌았다고 한다
<동의보감>,온돌,활자인쇄술,한의,중추절,한자,혼천의등 중국문화를 한국이 유네스토에 신청하거나 빼앗아 가려 한다고 했다
동북공정은 고구려를 중심으로 한 고대사의 귀속 문제가 핵심으로 한중간에 벌어진 역사전쟁이다
이에 반해 강릉단오제 신청으로 촉발된 일련의 사건들은 문화주권을 둘러싼 한중 간의 문화전쟁이라 할 수 있다
중국이 "문화"를 무기로 한국과 전쟁을 벌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중국이 한국과의 문화 전쟁을 통해 얻으려는 것은 무엇일까?
시진핑 정부 이후 더욱 공세적으로 바뀐 이유는 무엇일까?
이제부터 근 20년간 지속된 한중 간 문화 전쟁으로 들어가보자
중국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에서 미국,일본,한국 중 한국을 가장 싫어한다는 대답이 55.9%를 차지했다고 한다
우리가 너무 모르고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중국 애국자들은 "한국은 하루라도 훔치지 않으면 괴로워한다 온 세상을 훔쳤다"라고 비난한다
이들은 문명 대국인 중국만이 문화를 발명할 수 있고, 한국은 그저 중국 문화의 수혜자일뿐이라고 한다
즉 한국은 문화 창조능력이 결여됐기 때문에 한국의 모든 문화는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우리는 우리의 일을 담담하게 해내자
세계인의 보편적인 가치인 자유,평등,평화,인권과 같은 이념들을 담은 매력적인 문화를 생산하자
그리고 우리는 스스로 즐기고, 세계인과 공유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