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1년 09월 13일 |
---|---|
쪽수, 무게, 크기 | 272쪽 | 183*235*14mm |
ISBN13 | 9791191905014 |
ISBN10 | 1191905012 |
발행일 | 2021년 09월 13일 |
---|---|
쪽수, 무게, 크기 | 272쪽 | 183*235*14mm |
ISBN13 | 9791191905014 |
ISBN10 | 1191905012 |
00 실습 환경 구축하기 [1 단계 초보자를 위한 깃&깃허브] 01 Hello 깃&깃허브 _1.1 버전 관리 이해하기 _1.2 깃/깃허브 이해하기 _1.3 깃허브 둘러보기 _1.4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둘러보기 _1.5 생애 첫 커밋하기 학습 마무리 02 깃 기본 명령어 알아보기 _2.1 깃/깃허브 소스 관리 기본 흐름 _2.2 지역 저장소 생성하기 _2.3 환경 설정하기 _2.4 파일 상태 확인하기 _2.5 커밋 생성 후 푸시하기 _2.6 원격 저장소 복제하기 학습 마무리 03 〈가상 시나리오〉 깃&깃허브 기본 기능 실습하기 _3.1 프로젝트 소개 _3.2 프로젝트 실습 환경 구축하기 _3.3 실습용 프로젝트 설정 및 생성하기 _3.4 깃 지역 저장소 및 초기 파일 설정 _3.5 메인 페이지 타이틀 변경하기 _3.6 메인 페이지에 운영팀 연락처 추가하기 _3.7 원격 저장소에 커밋 등록하기 학습 마무리 [2단계 팀을 위한 깃&깃허브] 04 협업을 위한 깃허브 기능 살펴보기 _4.1 저장소 협업자 등록하기 _4.2 저장소 이슈를 위한 새로운 라벨 생성하기 _4.3 저장소 이슈 생성하기 _4.4 프로젝트 보드 생성하기 _4.5 이슈와 프로젝트 보드 함께 살펴보기 학습 마무리 05 협업을 위한 깃 명령어 살펴보기 _5.1 브랜치 생성하기 _5.2 브랜치 병합하기 _5.3 충돌 해결하기 _5.4 풀 리퀘스트 요청하기 학습 마무리 06 〈가상 시나리오〉 깃&깃허브 협업 기능 실습하기 _6.1 프로젝트 소개 _6.2 협업 시나리오 준비 작업 _6.3 우리팀 저장소에 이슈 등록하기 : 개발자 기호 _6.4 우리팀 저장소에 이슈 개발 후 반영하기 : 개발자 희진 _6.5 풀 리퀘스트 검토 및 승인 학습 마무리 [3단계 실전 프로젝트를 위한 깃&깃허브] 07 깃&깃허브 고급 기능 살펴보기 _7.1 깃허브 액션 살펴보기 _7.2 코드 수정 후 작업 자동화 설정하기 _7.3 배포 자동화 설정하기 학습 마무리 08 커밋 이력 조작하기 _8.1 다른 브랜치의 커밋을 작업 브랜치에 추가하기 : git cherry-pick _8.2 이전 커밋으로 작업 브랜치의 최종 커밋 변경하기 : git reset _8.3 변경 사항 되돌리는 커밋 생성하기 : git revert _8.4 브랜치 커밋 이력 재정렬하기 : git rebase 학습 마무리 부록 A VSCode의 기능을 이용하여 커밋하기 |
먼저 좋은 기회가 닿아 '박미정의 깃&깃허브 입문' 책을 읽어볼 수 있게 되었다.
깃과 깃허브는 프로젝트의 모든 버전에 대한 변경 이력을 관리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협업하는 프로젝트의 경우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특정한 작업 요소를 누가, 언제, 왜 작업했는지 이력을 추적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작업이 문제가 있을 경우 문제가 없던 시점으로 되돌아가
긴급히 복구를 할 수 있는 등의 조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프로젝트 진행 시 깃을 사용하지 않는 프로젝트를 경험해본 적이 없었던거 같네요.
깃을 처음에 접했을 때 간단하면서도 복잡해서 협업할 때 어려움이 있었던 기억이 있는데
다시금 이 책을 돌이켜보면서 만약 당시 이런 책이 있었다면 더 현업에서의 깃 사용에 익숙해지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책은 입문자를 대상으로 작성이 된 책이라서 매우 쉽게 접근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깃을 처음 사용하는 입문자도 책을 따라하다보면 왜 이렇게 처리를 하는지 쉽게 이해를 할 수 있을거 같고,
특히 6장의 협업 시나리오 기반으로 깃을 사용하는 사례를 소개하는 부분이 인상 깊었는데
6장만 잘 이해해도 현업에서 전혀 문제 없이 깃을 사용할 수 있을거 같네요.
그렇다고 또 입문자를 위한 부분만 작성 된게 아니라
7,8장에서는 깃헙 액션을 활용한 CI 활용. 그리고 커밋이력 조작을 관리하는 부분을 가이드하면서
깃헙 활용 부분도 더 경험해볼 수 있는 내용을 충분히 제공하고 있어 좋았습니다.
다른것보다 책을 읽으면 쉽게 전달되는 서적을 선호하는 편인데
구성도 깔끔하고 의미전달이 간결하고 쉬운 내용으로 작성 되어 있어서 입문 서적으로는 높은 점수를 주고 싶네요
깃&깃헙을 경험해보지 않은 입문자에게는 Best한 선택이 될 거 같습니다.
Git에 대해서 뿐만이 아니라 Github에서 제공하는 다앙한 기능을 프로젝트를 구성해서
실습할수 있는 내용이여서 협업에서 필요한 전반적인 절차를 경험하고 느껴볼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초급자 분들 및 현업에서 Git을 좀더 잘 사용하기 위한 요소들이 있습니다.
프로젝트관리를 위해서 Issue관리 및 Project에 칸반보드 이용, Git-Action을 이용해서 CI의 역활을 커버하는 설명까지 기본적인 요서가 설명되어 있고, 해당 기반을 바탕으로 좀더 필요한 부분을 확장해서 사용하면
좋은 프로젝트 및 git의 사용을 경험할수 있는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