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에서쓴비밀쪽지 #임정진_글 #하루치_그림 #그린애플 #해외입양 #입양문제 #국내입양 #제11회열린아동문학상수상작 #사과밭문학톡
#그린애플_에코북서포터즈 #그린애플북클럽 #에코북서포터즈 #협찬도서
임정진작가님은 2008년 그림책 <내 친구 까까머리>가 프랑스 출판사 '찬옥에디시옹'을 통해 수출되고 프랑스 파리 한글 학교와 인연을 맺으며 한국 입양인이 산다는 걸 알게 되었다. 어린이의 뜻과 상관없이 입양되는 상황이 가슴아파 더이상 해외 입양이 없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동화를 썼다고 한다.
얼마전에 우연히 미국 유명 배우가 한국인 어린이를 입양해 행복한 생활을 하고 있다는 유튜브를 본 적이 있다. 그 배우도 한국인 입양아 언니가 있기에 한국인 아이를 입양하는데 망설임이 없었다는 이야기가 담겨있었다.
우리는 다양한 해외 입양 사례를 접한다. 특히, 해외 입양인들의 성공신화는 큰 화제가 된다. 그 이면에 전혀 다른 삶, 불행한 삶을 살았던 사례는 외면하면서 말이다.
그 옛날 전쟁 고아들이 해외 입양을 가던 시절도 있었지만, 지금처럼 잘 살고 선진국 대열에 올라선 지금도 해외 입양이 많다는 사실에 놀랄 수밖에 없었다.
《비행기에서 쓴 비밀 쪽지》는 해외 입양아들의 이야기 6편이 담긴 단편집이다.
- 비행기에서 쓴 비밀 쪽지-
어른이 된 마티아스는 처음 프랑스에 오는 비행기 안에서 쓴 쪽지를 발견한다. 너무 많은 시간이 지나 한글을 잊은 그와 가족들에게 그 쪽지의 내용은 비밀처럼 보여진다. 그 쪽지에 담긴 비밀은 무엇일까?
-귀로 만든 수프-
프랑스 작은 도시의 한글 학교 교사인 수진에게 한 입양인 청년이 찾아온다. 그 청년은 요리교실에서 입양 오기 전 엄마가 자주 해줬던 요리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하는데 귀가 들어간 음식이란다. 귀가 들어간 음식이라니 그 음식은 무엇일까?
-아카시꽃을 먹고-
루디아 이모는 자전거 여행을 하다가 아카시꽃을 따먹는다. 하지만 옛날 먹었던 맛이 아니다. 한국에 가면 그 옛날에 먹었던 아카시꽃을 만날 수 있을거라 믿고 한국에 가는데 그 곳에서 뜻밖의 일이 일어난다.
-서 있는 아이-
프랑스 가정에 새로 입양 온 동희(레나)는 모든 것이 낯설다. 이네스와 루이즈는 딸이 생겼다는 기쁨도 잠시 차에서도 앉지 않고 서 있기만 한 아이의 모습이 당황스럽기만 하다. 동희(레나)는 왜 서 있는 것일까?
-나는 어디로 가나-
이미 입양아가 6명이나 있는 집에 입양된 재영(제프). 입양아 보조금으로 살아가는 양부모는 그리 좋은 사람은 아니다. 희망을 품고 행복을 꿈꿨지만 제프 앞에 기다리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그대를 위해 촛불을 밝힙니다-
사진작가인 박찬호작가는 인기있는 사진보다는 누군가 기록해야 할 문화를 찾아 사진을 찍는다. 이번에는 전통 장례 문화다. 우연히 해외 입양아 독자의 질문 '40년전 한국에서 미국으로 입양 온 제임스입니다. 나는 한국어도 모르고 한국인도 모릅니다. 그런 나는 한국인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라는 질문에 '당신은 누가 뭐래도 한국 사람입니다' 라는 답변을 한다. 그리고 한국인 입양인의 행복을 비는 전국 만신들의 '행복의 소망 촛불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해외 입양아들에게 위로를 건네는 감동 이야기를 만났다. 모두가 해피엔딩이라면 얼마나 좋을까?
원치 않는 입양으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겪고, 또 누군가는 이 나라도 저 나라도 책임질 수 없다며 떠나라하는 절망적인 경험도 한다. 좋은 것, 알고 싶은 것만 보는 우리의 이기심은 진짜 도움과 위로가 필요한 이들을 외면하고 있었다는 생각에 미안했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동화라 더 마음을 울컥하게 하고, 결국은 미국에서 추방되어 한국에 왔지만 한국에서도 갈곳이 없어 어디로 갈지 모르는 그 막막함을 우리가 알 수 있을까?
나 역시 해외 입양이나 입양아에 대한 관심이 없었기에 《비행기에서 쓴 비밀 쪽지》를 읽으면서 많은 생각이 들었다. 아직도 핏줄에 집착하는 우리 문화가 누군지도 모를 아이를 내 자식으로 받아들이고 키우는 일을 어렵게 만드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면서 안타까웠다.
우리가 외면하고 싶었던 해외 입양아 이야기를 진솔하게 만나볼 수 있었다. 이제는 국내 입양도 조금씩 알려지지만 아직도 해외 입양의 수는 줄어들지 않는다는 것은 충격적이다. 해외 입양인의 이야기를 다룬 동화를 만난 것을 계기로 해외 입양문제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할 것 같다. 나의 일이 아니라고 가십처럼 가볍게 다룰 이야기가 아님을 새삼 느낀다.
@greenapple_vision
에서 좋은 책 보내주셔서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책을 읽고 작성한 주관적인 글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