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첫째 마당
신통방통 동식물 이야기 ●고추가 빨개진 까닭은? ●콩, 팥, 호두는 왜 그렇게 생겼나? ●원숭이 궁둥이는 왜 빨간가? ●토끼 꼬리는 왜 짧은가? ●메뚜기 이마가 벗어진 내력은? ●두꺼비, 배가 나오고 등이 우둘투둘한 까닭은? ●메기 머리는 왜 납작한가? 둘째 마당 아기자기 사람살이 이야기 ●연지 곤지를 찍게 된 내력은? ●소를 몰 때는 왜 ‘이랴’라고 할까? ●술은 어떻게 해서 생겼나? ●북두칠성 넷째 별이 흐릿한 까닭은? ●갑자기 내리는 비를 ‘소나기’라고 하는 까닭은? ●들에서 밥 먹을 때 왜 ‘고시레’를 할까? 셋째 마당 오순도순 사람과 동식물 이야기 ●개와 고양이는 왜 사이가 나쁜가? ●쥐는 왜 고양이를 무서워할까? ●흰나비에는 어떤 사연이 숨어 있을까? ●묵이 ‘도루묵’이 된 내력은? ●할미꽃에 얽힌 사연은? |
글서정오
관심작가 알림신청서정오의 다른 상품
그림김고은
관심작가 알림신청김고은의 다른 상품
콩 생각에는 나이 많은 차례대로 술을 따라 주는 게 좋겠다 싶었던 거지. 아무래도 호두가 가장 몸집도 크고 점잖으니까 나이도 가장 많을 것 같았거든.
그런데 호두 앞에 술잔을 갖다 놓자마자, 팥이 그걸 냉큼 집어 들더니 발칵발칵 마셔 버리네. 그러고는 입을 쓱 닦고 나서, 옆에 있는 다른 음식까지 맛나게 집어 먹는 거야. 호두와 콩은 아직 젓가락도 안 들었는데 말이야. 그걸 보고 콩은 기가 막혔어. 팥은 몸집으로 보나 무엇으로 보나 자기보다도 나이가 더 어린 것 같은데 그런 짓을 하니까 그렇지. --- pp.18~19 “아이고, 말도 마라. 나는 술 얘기만 들어도 취한다. 너희들이 술 얘기를 해서 그만 취해 버렸다.” 그러니까 두꺼비가 이겼지. 여우는 술 냄새만 맡아도 취하고 토끼는 밀밭 근처에만 가도 취하는데, 두꺼비는 술 얘기만 들어도 취한다니까, 술 못 먹기로 치면 두꺼비가 일등이잖아. 약속대로라면 떡은 두꺼비 차지가 되는데, 욕심 많은 여우가 어디 순순히 떡을 내놓고 싶겠어? 얼른 다른 꾀를 냈지. “얘들아, 가만히 생각해 보니 이 내기는 틀렸다. 술 못 먹는 게 무슨 대수냐? 다른 내기를 하자.” “무슨 내기?” “옛날부터 음식은 나이 많은 차례대로 먹는다고 했으니, 나이 가장 많은 놈이 이기는 걸로 하자.” --- pp.48~49 모두가 놀라서 가자미를 쳐다봤지. 메기도 입을 실룩실룩하면서 가자미를 보고 따지듯이 물어. “거짓말이라니, 그럼 참말은 무엇이냐? 어디 네놈 꿈풀이를 들어보자.” 가자미는 점잖게 입을 열어 꿈풀이를 하는데, 술술 거침이 없어. “하라면 하지요. 금줄에 매달려 높이 올라갔다가 아래로 뚝 떨어지는 것은 낚싯줄에 걸려 공중에 올라갔다가 떨어지는 것이요, 열 놈이 들어서 둥근 가마에 태워 가는 것은 손가락 열 개가 잡아서 바구니에 담아 가는 것입니다.” --- pp.56~57 “이 산을 넘어 삼십 리를 더 가면 마을이 하나 있을 걸세. 그 마을 우물가에 울타리 없는 집이 있는데, 그 집 세 살배기 어린아이가 장차 자네 색시가 될 걸세.” 이러니 이게 기가 막히지, 안 막혀? 색시 될 사람이 이제 겨우 세 살이라니, 그게 말이나 돼? 이건 뭐, 영영 장가를 못 간다는 말이나 매한가지거든. “어휴, 말도 안 됩니다! 혹시 다른 인연은 없겠습니까?” “이미 빨간 실, 파란 실로 꽉 매어 놔서 바꿀 수 없는 인연이라네.” --- pp.64~65 |
감칠맛 가득한 우리말의 향연!
오랜 시간 우리 옛이야기를 모아 온 서정오 선생님이 이번에는 사물과 세상일의 까닭을 재미나게 들려줍니다. 깊어가는 겨울밤 할아버지가 손주에게 들려주듯 구수하고 정감 넘치는 입말체가 읽는 재미를 더해 주지요. 총 열여덟 편의 이야기들은 순 엉터리없는 것 같다가도 듣다 보면 묘하게 그럴 법도 하여 넋을 놓고 이야기에 빠져드는 즐거움을 안겨 줍니다. 동식물들의 신통방통한 사연과 사람살이의 아기자기한 연유. 그리고 동식물과 사람이 오순도순 어울려 살아온 까닭을 통해 정감 가득한 옛사람들의 숨결과 우리말의 참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삶을 대담하고 유연하게! 우리는 흔히 옛이야기라고 하면 근면성실, 권선징악 같은 고루하거나 오늘날과 어울리지 않는 교훈만을 들려줄 것이라는 편견을 갖습니다. 그러나 옛이야기에는 지금의 우리에게도 유효한 삶의 진리가 가득합니다. 수백 년의 시간 동안 수많은 사람들의 경험과 철학이 녹아들고, 변치 않은 불변의 진실만이 거르고 걸러져 응축되었기 때문이지요. 특히 책 속 열여덟 편의 옛이야기들은 그 어느 시절보다 변화무쌍한 내일을 살아갈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삶의 자세를 선명하게 보여 줍니다. 「고추가 빨개진 까닭은?」, 「메기 머리는 왜 납작한가?」 같은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사물들은 하찮은 미물이라도 자신에 대한 긍지를 가지고 있는 모습을, 「콩, 팥, 호두는 왜 그렇게 생겼나?」, 「두꺼비, 배가 나오고 등이 우둘투둘한 까닭은?」 같은 이야기는 외모와 서열 같은 사회적 관습에 매이지 않는 대범하고 자유로운 사고를 보여 줍니다. 또한 「흰나비에는 어떤 사연이 숨어 있을까?」, 「술은 어떻게 해서 생겼나?」 같은 이야기는 오늘날의 판타지물보다 훨씬 더 자유롭고 대담한 상상력을 펼쳐 보이지요. 이처럼 『이랴? 또 이랴?』는 옛이야기 속에 담긴 통찰력이 시대를 막론하고 우리 삶의 등불이 되어준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알려 줍니다. 낙천적인 사고로 변화에 유연하고 당차게 대처하는 이야기 속 주인공들을 보며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깨닫게 될 것입니다. 배꼽 잡는 이야기에 조미료 같은 그림! 『이랴? 또 이랴?』 속 옛이야기의 구수한 이야기들은 김고은 작가의 그림을 만나 더욱 빛을 발합니다. 작가는 자유롭게 쾌활한 펜선으로 만화처럼 독특하고 익살맞은 캐릭터와 장면들을 구상하여 옛이야기 읽기를 이만 오천 배는 더 즐겁게 만들어 주었지요. 해학적인 이야기에 배꼽 빠지게 우스운 그림이 더해져 한번 책장을 펼치면 마지막까지 덮을 수 없는 시간을 선물할 것입니다. 우리 시대 최고의 옛이야기꾼 서정오 선생님의 구성진 목소리로 사물과 세상일의 까닭에 대해 함께 웃고 상상하다 보면 어느새 무한한 옛이야기의 힘을 느끼게 됩니다. 배꼽 잡는 우리말 유래담『이랴? 또 이랴?』로 우리 아이들에게 무한한 지혜와 용기가 가득한 보고를 전해 주세요! ■ 작가의 말 이런 유래 이야기가 믿을 만한 것은 못 됩니다. 겉보기에 그럴듯한 것은 있지만, 정말로 그렇다고 믿을 것은 거의 없다고 봐도 좋습니다. 그런데도 이런 이야기가 질긴 생명력을 가지고 전해 온 까닭은 그 기발함이 주는 재미 때문입니다. 무릎을 칠 만한 재치와 놀라운 상상력이 이야기마다 소복소복 들어있으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