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그래서 우리는 의정부에 올라간다
의정부시에 대한 인문학적이고 여행학적인 보고서
가격
18,000
10 16,200
YES포인트?
9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이 상품의 태그

상세 이미지

책소개

목차

서문 : 환갑 맞은 청년 도시 의정부

1부 의정부에 대한 인문학적이고 여행학적인 보고서 _박종인
1장 | 우리는 의정부에 올라간다: 북경기의 맏형 의정부
2장 | 의정부는 문화다: 화가 백영수의 추억과 미술도서관
3장 | 의정부는 역사다: 무사 이성계와 건국, 도시의 시작
4장 | 의정부는 사람이다: 의정부에 살았던 그들
5장 | 의정부는 산이다: 산악도시 의정부
6장 | 의정부에 산다: 의정부를 만든 사람들
7장 | 그래서 우리는 의정부로 간다: 의정부, 그 매력

2부 덕으로 향기로운 용의 땅 _이동식
1장 | 신숙주의 선택: 배신자가 아닌 큰 지도자
2장 | 박세당의 땅
3장 | 유득공의 우리 역사
4장 | 정문부가 구한 나라

3부 달을 보니 용이 오르는구나 _류호철
1장 | 킹메이커 무학대사, 의정부 불교문화와 무학의 흔적
2장 | 용(龍)이 되어 왔구나, 회룡사
3장 | 어떤 달이 보이는가? 망월사

4부 토박이가 안내하는 의정부 _유호명
1장 | CGV태흥에 앉아 회상한 이태원
2장 | 귀대 때보다 빠른 버스 또 있나
3장 | KD운송그룹 모태 13번 대원버스
4장 | 간다, 간다, 육팔삼일부대!
5장 | 문화촛불 채화의 올림포스
6장 | 빼뻘마을: 박제된 기지촌
7장 | 구성마을 장군가의 잊힌 별들
8장 | 기축이, 아씨 덕에 날다
9장 | 사무치는 그리움: 초혼
10장 | 전좌마을: 어인 행차시오니까

5부 청년의, 청년에 의한, 청년을 위한 도시 의정부 _오강선
1장 | 무색무취 의정부, 보이지 않는 변화가 꿈틀거린다
2장 | 의정부가 군사도시라고요? 의정부 역세권의 매력
3장 | 시민 자치 문화의 전당이 되고 있는 역전근린공원
4장 | 21세기는 예술과 콘텐츠가 있어야 도시가 지속성을 가질 수 있다
5장 | 도서관의 도시 의정부, 크리에이티브 경제의 가능성을 보다
6장 | 커피, 베이커리 도시 의정부
7장 | 청년들이 의정부를 기록하는 이유

저자 소개5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 뉴질랜드 UNITEC School of Design에서 현대사진학을 전공했다. 1992년 이래 2024년 현재 조선일보 기자다. 현재를 보는 눈과 미래에 대한 답은 역사 속에 있다고 믿는 언론인이다. 1960년대에 대한민국에서 태어나 1980년대에 대학교를 다녔다. 2023년까지 조선일보에 ‘박종인의 땅의 역사’를 연재했다. TV조선에 같은 제목의 역사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그 공로로 2020년 ‘서재필 언론문화상’을 받았다. 2024년에는 ‘박종인의 ‘흔적’’을 쓰고 있다. 은폐되고 왜곡된 역사를 바로 기록하는 인문 시리즈다.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 뉴질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 뉴질랜드 UNITEC School of Design에서 현대사진학을 전공했다. 1992년 이래 2024년 현재 조선일보 기자다. 현재를 보는 눈과 미래에 대한 답은 역사 속에 있다고 믿는 언론인이다. 1960년대에 대한민국에서 태어나 1980년대에 대학교를 다녔다. 2023년까지 조선일보에 ‘박종인의 땅의 역사’를 연재했다. TV조선에 같은 제목의 역사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그 공로로 2020년 ‘서재필 언론문화상’을 받았다. 2024년에는 ‘박종인의 ‘흔적’’을 쓰고 있다. 은폐되고 왜곡된 역사를 바로 기록하는 인문 시리즈다.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 뉴질랜드 UNITEC School of Design에서 현대사진학을 전공했다.

지은 책으로 『광화문 괴담』, 『매국노 고종』, 『대한민국 징비록』, 『땅의 역사』(1-7권), 『기자의 글쓰기』, 『여행의 품격』, 『한국의 고집쟁이들』, 『행복한 고집쟁이들』, 『골목길 근대사』(공저), 『세상의 길 위에서 내가 만난 노자』, 『나마스떼』, 『우리는 천사의 눈물을 보았다』(공저), 『다섯 가지 지독한 여행 이야기』가 있다. 『뉴욕 에스키모, 미닉의 일생』과 『마하바라타』(1-4권)를 옮겼다.

박종인의 다른 상품

1953년 경북 문경에서 태어나 서울대 영어교육과를 졸업했다. 1977년부터 2013년까지 36년간 KBS에 재직하면서 문화전문기자로 이름을 날렸으며, 사회부 기자, 문화부 차장, 북경특파원, 런던지국장을 거쳐 보도제작국장, 해설위원실장, 정책기획본부장을 역임했다. 1984년 [굿모닝 Mr. 오웰]을 통해 백남준을 우리나라에 소개했고 이우환, 이응로, 윤이상 등 세계적인 문화예술인들을 다큐멘터리로 소개했으며, 중국 실크로드를 처음으로 취재해 방송하기도 했다. 2017년 9월 대한민국 방송 90주년 기념식에서 방송문화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저서로는 『천
1953년 경북 문경에서 태어나 서울대 영어교육과를 졸업했다. 1977년부터 2013년까지 36년간 KBS에 재직하면서 문화전문기자로 이름을 날렸으며, 사회부 기자, 문화부 차장, 북경특파원, 런던지국장을 거쳐 보도제작국장, 해설위원실장, 정책기획본부장을 역임했다. 1984년 [굿모닝 Mr. 오웰]을 통해 백남준을 우리나라에 소개했고 이우환, 이응로, 윤이상 등 세계적인 문화예술인들을 다큐멘터리로 소개했으며, 중국 실크로드를 처음으로 취재해 방송하기도 했다. 2017년 9월 대한민국 방송 90주년 기념식에서 방송문화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저서로는 『천안문을 열고 보니』,『찔레꽃과 된장』,『우리 음악 어디 있나』,『거문고-시공을 넘어 영원을 얻다』,『친구가 된 일본인들』,『시간의 마음을 묻다』등 20여 권이 있다. 『책바다 무작정 헤엄치기』는 그의 오랜 경륜이 드러나는 독서 편력기로, 책과 독서와 서점과 도서관 그리고 유, 무명의 저자와 작품에 이르기까지 독자적인 체험과 견해는 물론 ‘읽기’를 통해 획득한 인간과 문화와 역사 전반에 관한 깊은 사유를 담고 있다.

이동식의 다른 상품

안양대학교 교수로 15년째 근무하고 있는 국내 1호 문화재 정책 전공자다. 문화재 보전·활용과 문화유산 교육, 문화관광 등에 관해 연구한다. 광주광역시·경상북도 문화재위원을 비롯해 광주광역시·충청남도 무형문화재위원,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등으로 활약하고 있다. 여러 지방자치단체와 도서관, 박물관, 문화원, 사찰 등에서 문화유산에 관한 인문학 강의를 펼치고 있다. 문화유산 교육과 연구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교육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경동대학교 대외협력실장. 서울시청 앞으로 30년 가까이 출퇴근하고도 종내 의정부 떠나지 못하였다. 퇴직 후 고향에서 제2의 삶을 시작하면서, 잊고 살았던 고향의 기억을 깨우는 데 힘을 쏟고 있다. 아스라한 것들을 모아 의정부문화원 발간 『의정부를 담다(유호명편)』에 담았다. 현장형 역사문화 강좌 ‘걸으면서 음미하는 마을 이야기’(걸음마, 의정부문화원)를 주도하면서, 시민들과 함께 고향 사랑을 키워간다.
동국대 영문학과를 졸업했고 동 대학원에서 디지털 컨버전시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86년 KBS 교양 PD로 입사해 「TV는 사랑을 싣고」「해피 선데이」「윤도현의 러브레터」 등의 예능 프로그램들을 만들었고 전략기획팀장, 콘텐츠사업 부장, 국장을 역임했고 최근에는 KBS 혁신추진단장으로 일했다. 2001년 캐나다로 연수를 떠나 밴쿠버 필름스쿨에서 디지털 기술을 공부하면서 디지털 기술 발달로 새로운 세계가 열리는 것을 느꼈다. 또한 2006년부터 3년 동안 PD 특파원으로 미국에 건너가 실리콘밸리의 벤처 기업과 미국 전역에 퍼져 있는 각종 연구소를 취재하면서 세계에 불어닥치던 변화들
동국대 영문학과를 졸업했고 동 대학원에서 디지털 컨버전시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86년 KBS 교양 PD로 입사해 「TV는 사랑을 싣고」「해피 선데이」「윤도현의 러브레터」 등의 예능 프로그램들을 만들었고 전략기획팀장, 콘텐츠사업 부장, 국장을 역임했고 최근에는 KBS 혁신추진단장으로 일했다. 2001년 캐나다로 연수를 떠나 밴쿠버 필름스쿨에서 디지털 기술을 공부하면서 디지털 기술 발달로 새로운 세계가 열리는 것을 느꼈다. 또한 2006년부터 3년 동안 PD 특파원으로 미국에 건너가 실리콘밸리의 벤처 기업과 미국 전역에 퍼져 있는 각종 연구소를 취재하면서 세계에 불어닥치던 변화들을 목격했다. 그 이후로 디지털 기술 변화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꾸는지 관찰하고 연구하는 일을 해오고 있다.

그는 2000년대부터 자녀 교육에 관심을 두고 디지털 시대에 적응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키우기 위한 노력을 하게 됐다. 그러면서 2000년대 초반에 캐나다 교육 시스템을 연구했고 2000년대 중반에 미국 교육 시스템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특히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미국의 명문 아이비리그를 비롯한 대학들이 혼란에 빠지는 것을 보면서 우리의 현재 교육 시스템에서는 그 어떤 것도 디지털 시대에 제 역할을 하지 못하리라 확신하게 됐다.

이 책은 그가 자녀 교육을 하면서 했던 고민, 대학생들과의 대화에서 느낀 현실 문제, 학부모들에게 컨설팅하면서 겪었던 우리 교육의 문제, 교육자들이 변화 속에서 방향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 등 교육 현장의 현실을 토대로 미래에는 우리 자녀에게 어떤 역량이 필요하고 그러한 역량을 어떻게 키울 것인지 그리고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교육 시스템을 어떻게 바꾸어야 하는지에 관한 방향 제시를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리딩 앤 피트니스: 미래가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들』『디지털 혁명 사용 설명서: 네트워크, 플랫폼, 이용자, 그리고 공생의 생태계』가 있다.

오강선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11월 27일
쪽수, 무게, 크기
352쪽 | 624g | 152*225*20mm
ISBN13
9791167821768

출판사 리뷰

경기 북부 행정과 교통의 맏형이자
경기 북부 역사의 중심 의정부


경기도 북쪽에 자리한 도시 의정부(議政府)가 2023년으로 도시가 된 지 60년이 됐다. 환갑이다. 그전까지는 양주군에 있는 한 읍이었는데, 경기도에서 수원에 이어 두 번째로 시가 됐다. 600년이 넘은 대한민국 수도 서울에 비하면 10분의 1도 안 되는 세월이지만, 역사가 일천한 신생 공화국 대한민국으로 치면 대단한 일이다.
어찌 보면 의정부 60년에는 대한민국 역사가 농축돼 있다. 식민지배와 전쟁이 이 도시를 휩쓸고 지나갔고, 그 흔적은 군사도시 의정부, 일제강점기가 잉태했던 교통도시 의정부로 남아 있다. 그 도시에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텅 빈 벌판에 길이 생기고 길가에 삶터가 생겨나고 그곳에서 사람들은 아주 치열하게 살았다. 어느덧 의정부 사람들은 다른 도시에서는 보기 드문 희
귀한 역사와 문화를 이곳에 만들어놓았다.

60년 동안 의정부에서 벌어진 일들을
한 권의 책으로 묶다


그냥 축하 행사 몇 번 하고 이 생일잔치를 넘기기에는 그 세월이 너무 귀하고 그 세월을 살아낸 의정부 사람들의 땀이 너무 진하다. 그래서 환갑을 맞은 의정부시와 의정부 문화재단 그리고 이래저래 의정부와 인연을 맺게 된 작가 몇몇이 그 60년 동안 의정부에서 벌어진 일들을 책으로 만들게 됐다. 굳이 장르를 따지자면 이 책은 의정부에 관한 조금은 인문학적인 여행 안내서다.

‘의정부 60년 시사(市史)’ 같은 기록물을 만들 수도 있었다. 시사 편찬은 역사를 기록으로 남겨 후대에 전하는 의미 있는 작업이다. 그런데 대개 시사는 어마어마한 작업이 필요한 몇 권짜리 대작(大作)인데다 의정부 역사에 관심 있는 사람만 보면 어떡하나 싶은 알량한 우려도 있었다. 그래서 우리는 대한민국 사람 모두에게 줄 책을 만들기로 했다. 이 책은 의정부 60년 생일잔치에 독자 여러분을 부를 초대장이다.

의정부라고 하면 사람들은 대개 함흥차사(咸興差使)와 군사도시를 떠올린다. 산을 좋아하는 사람은 도봉산과 수락산 주말산행의 목적지 정도? 게다가 미군도 다 떠난 마당에 이제 의정부에는 산밖에 남은 게 없네? 산에서 내려와 봤자 미군이 남긴 부대찌개 먹고 나면 딱히 의정부에 갈 이유가…. 이런 정도로만 알려진 의정부가 알고 보니 이런 도시였다.

의정부의 역사와 인물을 찾아서
다섯 명의 전문가가 의정부 구석구석을 누비다


이 생일잔치 초대장을 만들기 위해서 의정부 토박이 유호명은 도시 뒷골목 도봉산의 기상을 품은 의정부을 들쑤시고 다니면서 의정부의 미시 세계를 취재했다. 30년이 넘도록 서울 서소문으로 출퇴근하며 직장생활을 하고도 유호명에게 의정부는 고향이고 삶터다.

또 영화 마니아면서 세상을 두루 다녔던 전직 방송기자 이동식은 신문기자보다 멋진 필체와 깊은 역사의식으로 의정부 옛 거인들 삶을 취재했다. 어린 날 극장비와 버스 값이 없어서 그 좋다는 의정부 영화관에 가보지 못한 한을 이번에 풀었다. 경기도 화성 출신이자 방송국 PD 출신의 디지털 혁신 전문가 오강선은 ‘지금’ ‘여기’ 의정부 도시 공간을 채운 삶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취재했다.

문화재에 관한 한 자타 공인 일류 전문가 류호철은 의정부 산하(山河)에 들어앉은 옛 흔적을 이 잡듯 뒤져 답사하기 좋아하는 대한민국 사람에게 딱 맞는 안내서를 만들었다. 태생은 의정부와 무관하지만 류호철은 주말이면 의정부 고등학생에게 문화유산을 가르쳤던 반(半)의정부 사람이다.

경기도 고양시에 사는 신문기자 박종인은 굉장히 오랫동안 경기도 사람들이 “의정부에 올라간다”라고 표현했다는 사실을 알고는 깜짝 놀랐다. 왜 의정부가 그런 맏형 대접을 받았는지 이번 취재를 통해 자세하게 알았고, 그래서 사람들이 의정부에 가야 할 이유에 대해 취재했다.

각기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이 의정부를 구석구석 다니고, 역사를 고증하고 인물들의 흔적을 찾아다니며 의정부에 대한 스토리를 구슬 꿰듯 하나하나 엮어낸 이 책은 의정부를 곡 가봐야 할 이유를 보여준다.

추천평

21세기 의정부가 바깥세상에게 보여주는 ‘의정부에 대한 인문학적이고 여행학적인 소개서’다. 이제 의정부가 숨겨놓은 옛 사람들, 그 문화와 역사, 그리고 의정부를 만들어내고 의정부가 만들어놓은 이 도시 삼라만상을 자세히 들여다보자. - 박종인 (조선일보 기자)
이렇게 책으로 엮어진 후에 다시 보니 의정부는 피렌체에 버금가는 역사가 발 밑에 붇혀 있음을 확인했다. 우리들의 작은 노력이 의정부를 다시 태어나게 하고 있다. 이런 얼굴을 다시 보면 의정부에 다니러 오는 것만이 아니라 와서 살고 싶은 마음도 생길 것이라고 믿게 되었다. 의정부에서 외로운 실향민, 타향인들이 마음으로 의지하고 싶은 고향으로서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 수 있다. - 이동식 (전 KBS 기자)
의정부는 수락산과 도봉산 사이에 남북 방향으로 자리 잡은 도시로, 서울과 경기 북부인 양주, 동두천, 포천 등을 잇는 교통로의 중심지 역할도 해왔다. 교통의 거점은 바꿔 말하면 문화의 거점이기도 했다. 서울과 경기도 북부 사이에서 오랜 시간 삶의 역사가 자라서 문화의 거점으로 기능해온 도시다. - 류호철 (안양대학교 교수)
지명 ‘의정부’와 ‘함흥차사’는 하나의 세트이다. 그리고 이 두 낱말을 관통하는 가치는 아비의 용서와 자식의 효심이다. 의정부 지역에서의 태조와 태종 만남은 빈번히 기록되었다. 아들에게 외면당한 흥선이 의정부 직곡산장에 잠시 머문 데는, 태종의 효성을 고종에게 짐짓 비치려는 마음이 작용하였을지도 모른다. - 유호명 (경동대학교 대외협력실장)
산이 두르고 내가 적신 의정부 골골 모퉁이와 졸졸 물길 따라 꾸준히 누볐다. 자연도 사람도 사뭇 아름답다. 도회지 의정부는 아주 늦게 일제강점기에 들어 비로소 형성되었다. 그러나 면면히 경기북부의 행정과 교통 중심지였다. 찾아 이해할 만한 매력이 넘치는 곳이다. - 오강선 (인덕대학교 교수)

리뷰/한줄평1

리뷰

10.0 리뷰 총점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6,200
1 16,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