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프롤로그 | 업무 도구의 변화 · 008
[1장 | 진단: 조직의 업무 방식 파악] · 017 1.1 업무 방식을 어떤 절차로 개선할까? 018 __업무 개선 과정 4단계 019 1.2 우리 조직의 현재 상태를 파악한다 023 __현재 업무 방식 진단 체크리스트 025 1.3 다른 조직은 어떻게 일하고 있을까? 028 __여러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제각각 쓰는 유학원 028 __담당자가 없으면 업무 상황 파악이 어려운 웨딩 스튜디오 032 __일정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 행정처 035 __협업 도구를 써도 제대로 협업이 되지 않는 이커머스 업체 038 __디지털 업무 전환을 고민하는 컨설팅 회사 043 1.4 왜 기존 업무 방식을 벗어나지 못할까? 046 [2장 | 처방: 주요 협업 도구] · 055 2.1 클라우드와 SaaS 시스템의 이해 056 __클라우드란 무엇인가? 056 __우리가 주목해야 할 SaaS 059 __SaaS 협업 도구를 도입할 때 우선 고려해야 할 2가지 062 2.2 협업 도구를 선정하는 기준 065 __커뮤니케이션 065 __문서 관리 068 __파일 관리 069 __프로젝트 관리 072 __일정 관리 073 __스타트업이 사용하는 협업 도구의 조건 074 __협업 도구를 선택하는 방법 077 2.3 파일 관리 도구로 협업하기 084 __구글 드라이브 084 __원드라이브 090 __네이버 드라이브 095 2.4 문서 작성 도구로 협업하기 102 __구글 문서 작성 도구 102 __마이크로소프트 365 108 __그 밖의 문서 작성 도구 112 2.5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협업하기 116 __가장 대중적인 업무용 메신저, 슬랙 116 __국내에서 개발하여 친숙한 잔디 125 __마이크로소프트 팀즈 135 __커뮤니케이션 도구를 잘 사용하려면? 142 2.6 프로젝트 관리 도구로 협업하기 146 __거의 모든 업무를 하나로, 노션 146 __단순함으로 승부하는 트렐로 154 2.7 일정 관리 도구 및 기타 협업 도구 살펴보기 159 __대표적인 일정 관리 도구, 구글 캘린더 159 __빠르고 편리한 커뮤니케이션, 화상 회의 165 __여러 기능이 통합된 국내 서비스로 협업하기 168 __프로젝트 관리와 메신저가 합쳐진 도구 171 __디자인 도구로 협업하기 174 [3장 | 치료: 케이스 스터디] · 181 3.1 소규모 조직에게 추천하는 도구 조합 182 __오래 이용할 수 있는 업무 시스템의 필요성 182 __커뮤니케이션 업무 시스템 갖추기 185 __문서 작성 업무 시스템 갖추기 189 __파일 관리 업무 시스템 갖추기 191 __프로젝트 관리 업무 시스템 갖추기 193 __일정 관리 업무 시스템 갖추기 196 3.2 회의 진행 중 업무 도구로 효율성 높이기 200 __회의 진행을 위한 기본적인 도구 활용 방법 200 __회의 종류에 따라 시간 절약하기 204 3.3 프로젝트 관리 도구로 업무 효율 높이기 207 __필요에 따라 변형할 수 있는 노션 대시보드 208 __거의 모든 자료를 한곳으로 통합하기 215 __빠른 진행 상황 확인을 위한 알림 자동화 219 __프로젝트 관리 도구 선정 시 고려할 10가지 224 3.4 세일즈를 위한 고객 문의부터 계약까지 231 __상담 문의 접수 232 __접수 알림 받기 235 __등록된 접수 정리하기 238 __정상 접수 완료 알림 보내기 239 __미팅 일정 선택하기 245 __미팅 진행부터 미팅 완료까지 250 __전자 계약 및 고객 지원 253 3.5 마케터의 콘텐츠 제작과 협업을 위한 도구 257 __글쓰기에 도움이 되는 도구 258 __목차 생성에 도움이 되는 도구 262 __누구나 할 수 있는 이미지 제작 264 __마케터의 일정 관리 268 __다방면에 도움이 되는 챗GPT 271 에필로그·재활 | 새로운 협업 도구 정착시키기 · 283 |
저전시진
관심작가 알림신청전시진의 다른 상품
1. 우리 조직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저자는 협업 도구 전문 컨설턴트로 다양한 업종에서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런 저자의 노하우가 반영된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현재 업무 방식을 진단할 수 있고, 나아가 다른 조직의 업무 방식 사례와 컨설팅 내용을 보면서 우리 조직의 현재 상태와 개선할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2. 클라우드와 SaaS를 알면 효율성이 보인다 개별 PC에서 NAS를 거쳐 지금은 클라우드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가 기본인 업무 환경이 구축되었고, 사용하는 도구 역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인 SaaS가 주를 이룬다. 흔히 사용하는 노션, 아사나, 잔디, 트렐로 등의 프로젝트 관리 도구가 모두 SaaS에 해당한다. 이 책에서는 주력 분야, 업무 체계 등 다양한 업무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업무 종류별 대표적인 협업 도구를 선정한 후 각 도구의 주요 특징과 사용 방법 등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우리 조직에 어떤 도구가 어울릴지 예상할 수 있다. 3. 조직의 형태별 저자의 맞춤 컨설팅을 살펴본다 소규모 조직에 추천하는 도구 조합, 회의 진행의 효율성을 높이는 업무 도구 활용 방법,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높이는 업무 도구 활용 방법 등 조직의 형태 및 주요 업무에 따라 저자가 추천하는 도구 조합과 효율적인 업무를 위한 활용 방향을 제시해 준다. 도구의 사용 방법이 아닌 똑똑하게 일 처리하는 데 도구가 어떻게 쓰이는지를 소개하므로 일잘러가 되고 싶은 직장인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의 대상 독자 - 조직의 업무 방식 개선의 필요성을 느낀 팀장급 - 다양한 생산성 향상 도구를 알고 싶은 일잘러 - 똑똑하게 일하는 방법을 알고 싶은 신입 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