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1년 02월 08일 |
---|---|
쪽수, 무게, 크기 | 272쪽 | 364g | 152*225*15mm |
ISBN13 | 9791190105149 |
ISBN10 | 1190105144 |
발행일 | 2021년 02월 08일 |
---|---|
쪽수, 무게, 크기 | 272쪽 | 364g | 152*225*15mm |
ISBN13 | 9791190105149 |
ISBN10 | 1190105144 |
추천사 서문 Ⅰ. 들어가는 글 Ⅱ. 포스트모던 시대, 가르치는 일의 어려움 1. ‘새로운 아이들’의 등장 : 자아관의 변천 2. 세계관의 변천 3. 자아와 세계, 무너뜨려야 할 정초인가? Ⅲ. 한나 아렌트의 자아와 세계개념 1. 탄생성: 자아에 관한 이야기 2. 세계성: 세계에 대한 이야기 Ⅳ. 자아와 세계의 세 가지 관련 방식 1. 노동 : 무세계성 2. 제작 : 사물(결과물) 만들기 3. 행위 : 세계 속에 출현하기 Ⅴ. 한나 아렌트와 「교육의 위기」 1. 「교육의 위기」의 시대적 배경 2. 인간존재의 두 가지 차원과 어른 세대의 두 책임 3. 매개영역으로서의 학교 VI. 행위로서의 가르침 1. 탄생성과 세계성의 매개활동 2. 사적영역과 공적영역의 매개활동 Ⅶ. 가르치기 힘든 시대, 가르침의 회복을 열망하며 1. 가르침 : 교육적 관계의 회복 2. 학습의 ‘내재성’, 가르침의 ‘초월성’ 3. ‘고립된 자아’에서 ‘연결된 존재’를 향하여 주석 참고문헌 내용색인 인명색인 |
20세기 초, 미국은 “실용주의”(pragmatism) 철학 지배였다. 실용주의 철학의 대표는 존 듀이였고, 교육은 철저히 학습자 개인 경험의 발달에 초점을 두었다. 교육은 학생의 흥미와 욕구를 반영해야 한다고 하였다. 엄청 매력적으로 들린다.
지금의 성인들은 경험주의적 교육에서 거리가 먼 교육을 받았기 때문이다.
반면에 학부모의 지위를 가지게 되면, 자녀가 고학년이 되어갈수록 경험주의적 교육을 받는 것에 회의를 가지게 된다. 왜냐하면 수능이 있기 때문이다. 수능 준비에 경험주의적 교육은 비효율적이다. 또한 자신이 받아왔던 교육 너머를 보지 못하기 때문에 눈 앞의 수능과 만나서 시너지를 일으킨다. Beyond가 안되는 것이다.
소련이 우주선을 발사했을 때, 미국은 '어떻게 감히 소련이 우리 미국보다 과학 발전이 저렇게나 앞설 수 있지?'라며 충격을 받았다. 이듬해인 1958년에 곧바로 대통령 직속 기구로서 현재의 미 항공 우주국, 나사(NASA)를 출범시켰고 학문중심 교육과정, 보수주의 교육으로 회기하게 되었다.
이런 시기에 아렌트는 “교육 본질은 탄생성이다”이라고 말하며, 교육의 위기에서 어떠한 교육을 추구해야 할 것인지 이야기한다. 아이들이 탄생을 통해 자신만의 새로운 시작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교육이라고 천명한 아렌트의 선언은 고정된 목표와 계량적 결과치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오늘날의 교육 풍토에서 더욱 큰 울림을 갖는다.
물론 나도 경험주의, 실용주의에 굉장히 압도된 적이 있었다. 사회 문제에 있어서 정답은 없다. 그래서 다양성을 존중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결론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