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학문 후속 세대를 위한 나의 학문, 나의 삶 4
언어학, 언론정보학, 역사학, 약학, 법학, 지방자치학
가격
15,000
15,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이 상품의 시리즈 9

뷰타입 변경

책소개

목차

발간사
책머리에

이승재 | 새옹지마의 역습

I. 줄기, 하나
II. 가지, 스물
III. 꽃, 세 온 송이
1. 방언 2. 이두·구결 3. 각필·점토구결
IV. 열매, 네 즈믄 알
1. 고대 목간 2. 고대 한자음 3. 방점 4. 진위 판정
V. 낙엽, 다섯 골 잎 61

추광영 | 기자 꿈의 역사학도에서 사회과학(Communication)연구자가 된 길

I. 글을 시작하며
II. 나의 성장기(成長期)
1. 나의 집안, 부산(東萊) 토박이 2. 해방 후의 정치적 변혁과 집안의 쇠락
3. 해방, 5·10선거, 건국과 6·25(그리고 5·16)
III. 나의 20대 청년기(靑年期)
1. 대학, 4·19, 공군장교, KIST 시절 2. 새옹지마(塞翁之馬) 3. 나의 공군장교 시절(1963~1967) 4. 공군 부산 제40보급분창 근무중대장 5. 부산일보, KIST, 유학준비
6. 동양고속 창설 7. 결혼과 출산, 유학행
IV. 나의 유학기(留學記)
1. UNT의 Journalism 학과, 학부과정, 석사과정 및 TA
2. 텍사스대학과 Comm. 380 과목의 추억
3. 나의 박사논문: Dimensions of Press Control: A Factor Analytic Study of National Charactristics and Press Systems of the World
4. 귀국, ERTI, 체신부 전무사업공사화
V. 서울대 부임, 신문학과 대학원 학위과정 혁신/정립
VI. 나의 학문
1. 주전공: 국제커뮤니케이션(International Communication) 2. 국민생활시간조사 35년(1981~2015)
VII. 마치며

허승일 | 단 한 권의 책을 쓰기 위해 살다

I. 청년기
1. 천직으로서의 역사가 2. 대학생 때의 쌀값 파동과 그라쿠스 형제 3. 군대에서 석사논문 쓰다
II. 교수 시절
1. 2년여의 조교 생활 2. 강사 생활 3. 건국대 교수 시절
4. 대망의 서울대 교수가 되다 5. 세미나 교육을 시작하다 6. 초임 교수 겁 없이 굴다
7. 독일고고학연구소와 독일학술교류처의 초청을 받다 8. 박사논문을 쓰다 9. 독일에서의 1년간의 연구 생활 10. 여러 학회 회장을 역임하다 11. 그라쿠스 형제의 개혁 초고를 쓰다
12. 서너 번 대학입시 출제 위원이 되다 13. 학생 데모와 얽힌 이야기 14. 역사교육과 박사과정을 개설하다 15. 학술원 회원 파동 16. 지중해 문화유산 연구 여행 17. 인문학-문사철연설학에 빠져들다
III. 정년 후의 연구 생활
1. 정년 기념 논총 2. 『다시, 역사란 무엇인가?』를 출간하다 3. 국정 역사 교과서 파동
4. 번역서 『플루타르코스의 모랄리아: 교육·윤리편』을 내다 5. You tuber가 되다 6. 학술 서적 서평 쓰기
7. 나의 마지막 여행: 이탈리아 중남부 8. 서울대 명예교수 회보 편집위원이 되다
9. 『로마사: 공화국의 시민과 민생정치』를 출간하다 10. 강남 시니어 플라자에서 인문학을 강의하다
11. 서울대 중견학자의 온라인 강좌 개발 응모에 나의 「그라쿠스 형제의 경제개혁」이 선정되다
IV. 맺는 말: 앞으로의 계획

심창구 | 한 칸씩 오른 사다리길

I. 들어가는 말
II. 초·중·고등학교 시절(1954~1966)
1. 마음껏 뛰어노는 시골 초등학교에 다니다 2. 일류 중학교 입시에 떨어지다 3. 일류 고등학교에 붙다
4. 대학입시 낙방과 재수(再修) 5. 서울대 약대 수석 입학
III. 약학대학 학창 및 유학 준비 시절(1967~1979)
1. 약학대학 학부(學部) 시절 2. 입대 그리고 회사 생활
3. 결혼과 퇴사 4. 조교 생활과 일본 문부성 장학생 선발
IV. 도쿄대학 유학 시절(1979~1982)
1. 박사과정 입학 2. 굴욕과 만회 3. 첫 번째 연구 과제: 이온대 화합물의 소장 흡수
4. 두 번째 연구 과제: 신장 배설 기능의 예측 5. 서울대 약대 조교수로 임용되다
V.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시절(1983. 3.~2013. 8.)
1. 강의 및 각종 편·역저서의 출간 2. 연구 분야와 논문 발표
3. 퍼듀대학 방문 및 교회 출석(1988~1989) 4. 직장암 투병과 가족의 고난사
5. 식약청장으로의 부름, 학교로의 컴백 6. 미국 약학회(AAPS) 등의 펠로우가 되다
7. 한일약제학심포지엄, 아시아태평양약물동태학회, DMPK 국제심포지엄
8. 국제학술대회 강연 9. 약제학(藥劑學) 발전사
VI. 정년퇴임 후: 약학사 연구 외(2013~2021)
VII. 나가는 말

최종고 | 한국 법사상사학과 나의 삶

I. 들어가며
II. 어린 시절
III. 서울법대와 법학
IV. 독일유학생활
V. 법학자의 길
1. 법사상사학 2. 국제적 학술활동 3. 동아시아 법철학 4. 이스라엘과 인도
5. 3·1문화상 6. 법과 윤리 7. 괴테의 재발견 8. 한국인물전기학회
VI. 정년퇴임
VII. 정년 후의 삶
1. 법대역사관 2. 제2의 인생 3. 한국펄벅연구회 4. 성찰과 다짐

김안제 | 학문의 길 삶의 보람

I. 기적의 성장과 진학
1. 출생과 성장 2. 취학과 면학(勉學) 3. 대학 진학과 물리학 전공
II. 대학원의 전공·편력
1. 진로의 번민과 방황 2. 전공의 일대전환 3. 대학원 조교로의 취임 4. 미국 유학에서 닦은 학문
III. 교수 생활과 학문 탐구
1. 교수취임과 활동무대 2. 학문연구와 대외발표 3. 제자육성과 교수요목
4. 교수로서의 보람과 회한(悔恨) 5. 학자로서의 긍지와 자괴(自愧)
IV. 기록으로 남긴 나의 삶
1. 기록의 시작과 확대 2. 기록의 정리와 발표 3. 생애기록의 체제와 구성
V. 제자가 본 초범의 학문세계와 초범의 구십평생
1. 제자가 본 초범의 학문세계 2. 초범의 구십평생 평가

저자 소개6

이승재

 

李丞宰

(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교수 가톨릭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훈민정음학회 회장 구결학회 회장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심의회 한글분과 위원 한국어문회 난정학술상, 3·1문화재단 3·1문화상, 국어학회 심악국어학저술상, 진단학회 두계학술상 등 수상

이승재의 다른 상품

추광영

 
(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교수 한국방송학회장 한국소통학회장 LG상남언론재단이사 KBS이사 MBC시청자위원장 대통령상(교육부) 등 수상

허승일

 

許勝一

(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교수 건국대학교 교수 한국서양고전학회 회장 한국서양사학회 회장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회장 한국서양사연구회 회장 녹조근정훈장(교육부) 등 수상

허승일의 다른 상품

심창구

 
1948년 경기도 김포에서 출생했다. 서울대 약대 제약학과 졸업(1971년) 후 일본 동경대 대학원에서 약학박사 학위(1982년)를 받아 1983년부터 2013년까지 서울대 약대 교수로 재직하였다. 그동안 미국약학회(AAPS), 일본약 물동태학회(JSSX) 및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의 펠로우로 선정되 었고 한국약제학회장, 식품의약품안전청장, 한국의약품법규학 회장, 대한약학회 약학사분과학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2023년에는 자랑스러운 서울대약대인상을 받았다. 약물체내속도론, 생물약제학, 약물송달학 등을 저술하였고 ‘새로운 약은 어떻게 창 조되나’ 등의 역서를 펴냈다. '서울대학교 약학대
1948년 경기도 김포에서 출생했다. 서울대 약대 제약학과 졸업(1971년) 후 일본 동경대 대학원에서 약학박사 학위(1982년)를 받아 1983년부터 2013년까지 서울대 약대 교수로 재직하였다. 그동안 미국약학회(AAPS), 일본약 물동태학회(JSSX) 및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의 펠로우로 선정되 었고 한국약제학회장, 식품의약품안전청장, 한국의약품법규학 회장, 대한약학회 약학사분과학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2023년에는 자랑스러운 서울대약대인상을 받았다. 약물체내속도론, 생물약제학, 약물송달학 등을 저술하였고 ‘새로운 약은 어떻게 창 조되나’ 등의 역서를 펴냈다.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100년사'와 '한국약업사'등의 편찬을 주도하였고 2014년부터 '서울대 학교 약학역사관'의 명예관장으로서 역사관의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심창구의 다른 상품

최종고

 

崔鍾庫

경북 상주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독일 프라이부르크(Freiburg)대학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받은 후 모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33년간 교수로 법사상사를 가르쳤다. 많은 학술서를 저술하여 2012년 삼일문화상을 수상하였다. 2013년 정년 후에 문학은 인생의 대도(大道)라는 생각으로 시인으로, 수필가로 등단하고 『괴테의 이름으로』, 『최종고 시선집』, 『한국을 사랑한 세계작가들』(전3권), 『세계문학 속의 한국전쟁』 등 시집과 문학서를 내었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고, ‘한국인물전기학회’와 ‘한국펄벅연구회’를 운영하고 있다. ‘국제PEN한국본부’, ‘공
경북 상주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독일 프라이부르크(Freiburg)대학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받은 후 모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33년간 교수로 법사상사를 가르쳤다. 많은 학술서를 저술하여 2012년 삼일문화상을 수상하였다. 2013년 정년 후에 문학은 인생의 대도(大道)라는 생각으로 시인으로, 수필가로 등단하고 『괴테의 이름으로』, 『최종고 시선집』, 『한국을 사랑한 세계작가들』(전3권), 『세계문학 속의 한국전쟁』 등 시집과 문학서를 내었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고, ‘한국인물전기학회’와 ‘한국펄벅연구회’를 운영하고 있다. ‘국제PEN한국본부’, ‘공간시낭독회’, ‘과천문인협회’ 회원이다.

최종고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명예교수협의회 사회봉사위원회

 

품목정보

발행일
2021년 12월 30일
쪽수, 무게, 크기
416쪽 | 153*225*30mm
ISBN13
9788996121343

출판사 리뷰

『나의 학문, 나의 삶 1』, 『나의 학문, 나의 삶 2』에 이어서 『나의 학문, 나의 삶 3』과 함께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의 학문과 삶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학문을 위하여 생의 전부를 투자해서 교육과 연구에 헌신한 이들의 삶은 서울대학교가 걸어온 길이자 대한민국 학문의 발자취였다고 자부할 수 있다. 언어학(이승재 교수님), 언론정보학(추광영 교수님), 역사학(허승일 교수님), 약학(심창구 교수님), 법학(최종고 교수님)과 지방자치학(김안제 교수님) 분야를 포함한 명예교수 여섯 명의 이야기는 이 분야를 걸어가는 후학들에게 이정표 역할을 할 것이다.

이 책의 내용은 개인 석학들이 전공 분야에서 경험한 이야기를 담은 생생한 증언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이분들의 학문과 삶은 “국가의 동량을 양성한다.”라는 목표로 설립되어, 일제의 탄압과 6·25전쟁으로 거의 폐허가 된 우리나라를 세계적 수준의 문화 선진국으로, 과학기술 선진국으로 일으켜 세운 서울대학교의 자랑스러운 역사의 부분들이다.

꼬리의 움직임을 통해 물고기가 헤엄쳐 나갈 방향이 정해지고 추진력이 생기듯, 연에 붙어 있는 꼬리가 연이 하늘 위로 올라가도록 방향을 잡아 주듯 이 책에 실린 명예교수님들의 학문과 삶에 관한 고백이 학문 후속 세대의 삶과 학문의 방향 정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가 과거를 반추(反芻)하는 까닭은 과거가 현재를 거쳐 미래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저자들은 이 책을 통하여 학문 후속 세대가 그들의 생애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 되는 정보를 얻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선택한 상품
15,000
1 1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