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오디오북 낯선 기술들과 함께 살아가기
미래 과학은 우리 삶을 어떻게 바꿀까? mp3
김동광이혜원 그림
풀빛 2022.11.08.
가격
10,400
10,400
YES포인트?
52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 상품의 태그

상세 이미지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1장. 4차 산업혁명 따라잡기

왜 우리나라는 ‘4차 산업혁명’에 주목할까?
산업혁명부터 알아보자
산업혁명은 진짜 ‘혁명’이었을까?
4차 산업혁명, 하나의 사회 현상이 되다
기술만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기술이 우리 일상에 스며들려면
낯선 기술들과 함께 살아간다는 것

2장. 인공지능과 함께 살아가기

인공‘지능’이란?
생물과 기계의 원리가 같다고? 사이버네틱스
알아서 배우는 딥 러닝, 알파고
인공지능의 눈으로 세상을 보면 어떤 모습일까?
자율 주행차는 언제쯤 탈 수 있을까?
인공지능의 알고리즘에 담아야 할 가치
알고리즘의 판단을 믿어도 될까?
인공지능에게도 윤리가 필요해!
인공지능 vs 인간?

3장. 생명공학의 불확실성 다스리기

새로운 생명공학의 등장
생명의 비밀을 풀 열쇠,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하다!
생명의 이해를 넘어서 창조로 가는 기술
신의 영역에 도전하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
유전자조작 식품, 확실히 안전할까?
유전자조작 식품을 둘러싼 각국의 이해관계
생명공학의 불확실성 줄여 나가기

4장. 신경 과학 제대로 이해하기

신경 과학, 뇌를 측정하다
인간의 뇌를 컴퓨터에 연결한다고?
머리에 칩을 심는다면?
뇌를 둘러싼 잘못된 속설들
증강이냐 치료냐, 신경 과학의 윤리적 쟁점
기술로 인간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게 될까?
모두에게 기술이 가닿는 사회를 위해

나오는 글/ 참고 문헌

오디오북

미리듣기

저자 소개2

70년대에 대학에서 문학을 공부하다가 세월이 허락하지 않아 오랫동안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에 몸을 담았다. 90년대에 출판 기획집단 과학세대에 참여해서 과학책을 번역하면서 과학이 세상을 보는 중요한 통로라는 것을 깨달았다. 마흔이 넘어 대학원에 진학해 과학사회학을 공부했고, 과학기술 민주화를 추구하는 시민단체에도 관여했다. 여러 학교에서 20년 넘게 과학과 사회에 대한 주제로 강의하고, 책을 썼다. 지금은 은퇴해서 뜻이 맞는 동학들과 함께 공부하고, 호시탐탐 다시 문학으로 돌아갈 기회를 엿보고 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생명의 사회사―분자적 생명관의 수립에서 생명의 정치경제학까지』
70년대에 대학에서 문학을 공부하다가 세월이 허락하지 않아 오랫동안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에 몸을 담았다. 90년대에 출판 기획집단 과학세대에 참여해서 과학책을 번역하면서 과학이 세상을 보는 중요한 통로라는 것을 깨달았다. 마흔이 넘어 대학원에 진학해 과학사회학을 공부했고, 과학기술 민주화를 추구하는 시민단체에도 관여했다. 여러 학교에서 20년 넘게 과학과 사회에 대한 주제로 강의하고, 책을 썼다. 지금은 은퇴해서 뜻이 맞는 동학들과 함께 공부하고, 호시탐탐 다시 문학으로 돌아갈 기회를 엿보고 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생명의 사회사―분자적 생명관의 수립에서 생명의 정치경제학까지』, 『불확실한 시대의 과학읽기(공저)』, 『과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 토마스 쿤』, 『사회생물학 대논쟁(공저)』, 『낯선 기술들과 함께 살아가기』, 옮긴 책으로는 『원더풀 라이프』, 『인간에 대한 오해』, 『언던 사이언스(공역)』 등이 있다.

김동광의 다른 상품

그림이혜원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여대 시각디자인과를 졸업하고 문구 디자인 회사에서 제품 디자인과 일러스트 작업을 맡아 활동했어요. 현재는 프리랜서로 다양한 그래픽 디자인 분야에서 일하고 있지요. 그린 책으로는 《식량이 부족한 세상이 온다면》, 《맞춤법에 진심인 편》, 《과학 쫌 아는 10대 시리즈》 등이 있어요.

이혜원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11월 08일
이용안내
  •  배송 없이 구매 후 바로 듣기
  •  이용기간 제한없음
재생정보
완독본 | 낭독 | 총 3시간
지원기기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
파일/용량
AUDIO | 231.23MB
ISBN13
9791161725529

출판사 리뷰

인공지능이 사람을 대체하는 세상?
유전자조작으로 신인류가 탄생할까?
이제는 ‘낯선 것’에서 ‘친숙한 일상’이 될 미래 과학기술들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워 보자!


‘미래 과학기술’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인공지능이 떠오른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멀고 낯설게만 느껴졌던 인공지능 산업은 4차 산업혁명 붐과 더불어 핫한 이슈로 떠올랐다. 과학기술 발전에 앞장서고 있는 우리나라 역시 인공지능 기술 패권 경쟁에 뛰어들었다. IT시장분석기관 한국 IDC는 2021년 전 세계 인공지능 시장이 전년 대비 15.2퍼센트 증가했다고도 밝혔다. 이렇듯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인공지능과 각종 미래 과학기술은 이제 낯선 것에서 친숙한 일상이 되어 가고 있다. 비록 우리가 아직 잘 느끼지 못하더라도 말이다.

이 책은 4차 산업혁명부터 인공지능, 생명공학, 신경 과학까지 우리 시대를 관통하는 미래 과학기술을 인간과의 공존과 연관하여 제대로 이해하고 성찰해 보는 ‘미래 과학 공생 가이드’다.

더 빨리, 더 많이 발전하는 것이 목표였던 과거에서, 우리 삶의 일부분으로서 과학기술의 발전 방향을 고민해야 할 시기다.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등 첨단 과학기술과 친숙한 MZ세대, 특히 청소년들이 이 책을 통해 기술을 제대로 이해하고, 나아가 그를 둘러싼 논의들을 파악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빠르다, 빨라! 과학기술의 파도에 휩쓸리지 않으려면?
과학기술이 품은 인문적 이슈를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먼저다
이슈 1: 4차 산업혁명, 도대체 왜 알아야 할까?
이슈 2: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어떤 가치를 넣어야 할까?
이슈 3: 유전자조작 식품은 가난한 나라의 굶주림을 해결할까?
이슈 4: 신경 과학기술로 인간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을까?

뉴스와 인터넷 미디어에서는 하루가 멀다 하고 과학기술 이슈들이 쏟아진다. ‘4차 산업혁명’ 시대니까 코딩을 배워야 한다(어디에 쓰는 건데?), 알파고 같은 인공지능이 소설까지 쓴다(사람이 필요 없어지는 건가?), 뇌에 칩을 꽂아서 컴퓨터를 조작한다(뇌를 더 연구하면 초능력도 쓸 수 있을까?) 등등. 우린 이미 뒤처진 걸까? 저 많은 걸 언제 따라잡지?

사실 과학기술을 전공하는 사람이라도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모든 분야를 따라잡기란 불가능하다. 이제는 그 흐름을 제대로 읽고 우리에게 필요한 과학기술의 활용 방향을 아는 것이 더 중요해졌다.

이 책은 과학기술의 정보를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기보다, 과학기술과 함께 살아갈 청소년들이 기술을 주체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법을 알려주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 유행 이면의 사회, 경제적 의미와 이해관계를 파악해 보고, 자율 주행차의 상용화를 둘러싼 윤리적, 사회적 논점으로 시작하여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담아야 할 윤리적 가치에 대해서 생각해 보며, 불확실성이 높은 생명공학 기술(그중에서도 유전자조작 기술)의 주요 쟁점과 소비자로서 우리가 가져야 할 태도에 대해서 짚어 본다. 가장 뜨거운 이슈인 신경 과학의 현재 발전 상황과 더불어 뇌를 둘러싼 잘못된 기존 속설들을 꼬집으며 신경 과학을 맹신하는 사회 풍토까지 돌아본다. 과학기술에 대한 과도한 공포도, 무조건적인 찬양도 가질 필요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며, 진정 함께 살아가는 법을 생각해 본다.

누군가의 트로피에서 모두를 위한 것으로,
우리가 함께 만들어가는 과학기술의 미래
인문적 시점으로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며 성찰하는 과학 교양서


과학은 언제나 발전의 아이콘이었다. 더 발전할수록 사람에게 좋고 편리한 것이라고 여겼기 때문에, 새로운 과학적 업적을 이룬 과학자 중심으로 과학을 접해 왔다. 하지만 과학기술이 우리 삶에 침투하는 속도와 정도가 깊어질수록 공존에 대한 이슈가 불거지기 시작했다. 이는 새로운 누군가와 한 집에서 함께 살아가는 것에 많은 노력과 적응이 필요한 것과 마찬가지다. 낯선 이(과학기술)를 제대로 알아가며 서로 친숙해지고 편하게, 함께 살아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해 보자.

저자는 지금이야말로 과학기술의 낯설음, 곧 불확실성으로 빚어지는 문제점들을 직면하고 이 불확실성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우리가 최초의 산업혁명 속에서도 배우고 이겨내며 함께 살아가는 법을 익혀 왔듯이, 지금 불어오는 낯선 기술들의 파도 속에서 방향을 찾고 단단한 돛을 세워 나아가는 지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끊임없는 변화에 적응하며 살아가야 하는 청소년들에게 미래 삶에 알맞은 진로와 꿈을 찾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 냄새 물씬 나는 과학 교양서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