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책머리에
1장 서론: 식민지 교양소설이란 무엇인가 1. 식민지와 교양소설 2. 한국 근대소설의 공간지평 3. 교양소설과 세 층위의 공간: 행위지대, 투사공간, 이동경로 4. 성장하는 인물과 모델소설 2장 식민지 지식인의 공간지향과 세계인식 1. 과거와의 결별과 문명화된 중심으로의 지향: 『무정』 2. 삼일운동의 파국과 성장하지 않는 인물들: 『재생』 3. ‘문명/야만’과 ‘제국/식민지’의 중층 대립: 『흙』 4. 서사공간의 확장과 제국의 네트워크: 『유정』 5. 동결된 시간과 공간적 지향: 『사랑』 3장 제국-식민지의 역학과 성장의 조건 1. 세계와의 불화와 정치적 각성: 『사상의 월야』 2. 은폐된 제휴관계와 원죄의식: 『제2의 운명』 3. 제국의 외부에서 사유하기: 『불멸의 함성』 4장 제국을 경유하는 세계와 피식민지인의 욕망 1. ‘비행기’ 시대와 제국-식민지의 낙차: 『청춘항로』 2. 제국을 경유하는 세계와 피식민지인의 꿈: 『불연속선』 3. 제국의 아카데미와 식민지 지식인의 초상: 『화상보』 5장 정치적 신념의 변화와 새로운 방향 모색 1. 제국에의 투항과 방향전환: 『청춘기』 2. 전쟁의 소용돌이와 대체 역사의 상상력: 「T일보사」 3. 지체된 근대와 성장하지 않는 청춘: 「마권」 4. 사회주의 신념에 대한 환멸: 「구구」 5. 제국-식민지의 알레고리와 암호화된 텍스트: 「부호」 6장 결론: 식민지 교양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참고 문헌 찾아보기 |
권은의 다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