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인물파이돈『파이돈』 해제역자 후기참고 문헌
|
Platon
플라톤 의 다른 상품
Socrates
소크라테스의 다른 상품
오유석의 다른 상품
소크라테스가 죽기 직전 젊은이들과 나눈 철학적 대화육체의 쾌락과 영혼, 현명함, 배움과 상기, 대립자 순환, 이데아 등의 이야기이 대화편에서 젊은 철학자들은 죽음 앞에서도 너무도 평온한 소크라테스에게 강한 의문을 제시한다. ‘만약 우리의 생명이 신의 선물이라면 어떻게 소크라테스는 살아 있는 동안 철학이라는 이름으로 죽음을 연습하는가?’ ‘생명이 소중한 선물이라는 믿음과 육체에서 해방되려는(다시 말해 생명을 버리려는) 바람 사이에는 모순이 존재하지 않는가?’당시 지혜를 사랑하는 자, 즉 철학자들은 ‘영혼의 정화’를 갈망했다. 소크라테스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에게 육체는 영혼을 가두는 일종의 감옥이므로, 참된 철학자는 육체에서 해방되어야 참된 존재(이데아)와 함께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는 지혜를 사랑함(철학)을 통해 이를 깨달았고, 그에게 죽음이란 곧 ‘영혼의 조화’이자 저세상에서 ‘신들과 함께하는 축복’이었다. 그가 죽음 앞에서도 평온할 수 있었던 이유이다. ‘영혼 불멸’은 소크라테스 철학의 핵심을 이루는 부분이었고, 이 대화편은 소크라테스가 젊은 철학자들에게 이 ‘영혼의 불사함’을 증명해 보이는 대화로 이어진다. 이 과정에서 육체의 쾌락과 영혼, 현명함, 배움과 상기, 대립자 순환, 이데아 같은 철학의 명제들이 나온다. 그리고 더 이상 소크라테스의 논리를 반박하지 못하는 젊은 철학자들도 소크라테스의 선택을 결국 받아들인다.쾌락이라는 것은 참으로 기이해 보입니다. 쾌락과 반대된다고 생각되는 것, 즉 고통과 놀라우리만큼 연관되어 있으니까요. 쾌락과 고통은 한 사람에게 동시에 생겨나길 원치 않는 듯합니다. 하지만 누군가 둘 중 하나를 좇아 그것을 취하면, 거의 모든 경우에 다른 하나도 얻게 됩니다. 마치 둘이 하나의 머리에 결합된 것처럼 말이지요. _17쪽반대되는 것들은 다음과 같은 무언가가 있지 않나요? 이를테면 모든 반대되는 두 항 사이에는 두 종류의 생성, 즉 이쪽으로부터 저쪽으로의 생성과 반대로 저쪽으로부터 이쪽으로의 생성이 존재합니다. 가령 더 큰 것과 더 작은 것 사이에는 증가와 감소가 존재하는데, 우리는 하나를 커짐이라고 부르고 다른 하나를 작아짐이라고 하지요? _46~47쪽우리가 태어나기 전에 지식을 획득했다가 태어날 때 그것을 완전히 잊어버리지만 나중에 감각을 활용해서 이전에 가졌던 지식을 다시 회복한다면, 우리가 ‘배움’이라고 부르는 것 은 본래의 지식을 회복하는 일이 아닐까요? 그러니 배움을 ‘상기’라고 부르는 게 옳지 않 을까요? _62쪽영혼이 홀로 탐구할 때는 순수하고 항상 존재하며 불사하고 한결같은 대상을 향합니다. 영혼은 이런 대상과 동류이기 때문에, 홀로 있을 때 방해받지 않으면 이런 대상과 늘 함께합니다. 이런 대상을 붙들고 있을 때 영혼은 방황을 멈추며 항상 동일하고 불변합니다. 자신과 유사한 대상과 연합하니까요. 영혼의 이런 상태를 ‘현명함’이라고 하지요?” _73쪽소크라테스의 시대를 뛰어넘는 질문,‘어떻게 살아야 하고, 어떻게 생을 마감해야 하는가?’국립아테네대학교 철학박사 오유석 교수의 쉬운 원전 번역과 작품 해제소크라테스는 마지막에 선한 영혼과 악한 영혼이 내세에서 어떻게 사는지도 들려준다. 우리는 최선의 세상과 최악의 세상 사이의 중간 세계에 살고 있으며, 현재 우리가 어떻게 사느냐에 따라 사후에 어떤 세상에서 살게 될지가 정해진다는 것이다. 소크라테스 ‘영혼 불멸’의 진실이 지금 우리에게 가장 말하고 싶은 바가 아닐까. 소크라테스는 우리에게 “영혼을 돌보라”고 말한다. 삶과 맞닿아 있는 영혼을 잘 돌보려면 결국 주어진 삶의 시간을 잘 보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지금도 여전히 우리가 고전을 찾는 이유, 소크라테스가 시대를 뛰어넘어 지금 우리에게도 던지는 질문이다.소크라테스는 영혼이 불사한다면 우리가 삶이라고 부르는 시간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모든 시간을 위해서라도 영혼을 돌보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것은 오직 지혜를 사랑함(철학)으로써만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영혼을 육체에서 분리시키고, 육체와 그 욕망에서 벗어날 때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영혼을 돌보라는 소크라테스의 권면이 오늘날 독자들에게 지나치게 고리타분한 이야기로 들릴 수도 있다. 하지만 죽는 순간까지 어떤 삶이 좋은 삶이고 어떻게 생을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몸소 보여준 소크라테스의 열정은 지금 우리에게 웰빙은 물론이고 웰다잉에 관해서도 다시 생각해보게 한다. _역자 후기에서이 책의 번역은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국립아테네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은 오유석 교수가 맡았다. 고대 서양 철학을 다룬 여러 권의 저서와 번역서를 출간한 정통파 고대 서양 철학 연구자로, 『소크라테스의 변론·크리톤』을 비롯하여 이 책 『파이돈』 역시 고대 그리스어 원전을 토대로 번역했다. 옮긴이는 원전에 충실하면서도 지금 독자들이 읽기 쉽게 가능한 한 쉬운 말로 번역하고자 했다. 고대 그리스어 원전을 우리말로 옮기면서 무엇보다 신경 쓴 것은 상세한 각주와 깊이 있는 작품 해제다. 각주에서는 인명이나 지명, 역사적 사건 등을 꼼꼼하게 수록함으로써 내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작품 해제에서는 단순한 내용 설명이 아닌 작품의 주요 배경, 플라톤의 ‘영혼’ 개념, 주요 내용 등을 수록함으로써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