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골렘
원제
Der Golem
베스트
독일소설 top100 5주
가격
17,000
10 15,300
YES포인트?
85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상세 이미지

책소개

목차

후고 슈타이너 프라크가 구스타프 마이링크에게 1931년 9월
『골렘』의 새로운 판 출간을 기념하여 쓴 편지 9

꿈결 17
낮 20
I자 32
프라하 42
펀치 60
밤 83
깨어나 102
눈 114
유령 129
빛 153
곤경 164
불안 201
충동 212
여자 227
간계 265
번민 286
5월 300
달빛 322
풀려나다 348
대단원 361

구스타프 마이링크와의 인터뷰 377
구스타프 마이링크 소개 395

저자 소개3

구스타프 마이링크

관심작가 알림신청
 

Gustav Meyrink

1868년 1월 19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났다. 항상 순회공연을 다니는 여배우 어머니 때문에 외할머니의 손에서 자랐고, 신비주의에 관심을 가진 은행원이었지만 불행한 결혼 생활 끝에 직업마저 잃게 되었다. 순탄치 않았던 삶이 그를 문학의 길로 이끌었고 실직 후 문학 잡지 《짐플리치시무스》에 단편을 기고했다. 이 단편들이 독자들에게 호응을 얻어 책으로 묶여 나온 것이 《열정적인 군인》(1903)《난초》(1904)《밀랍 인형관》(1908)《독일인 속물의 피리》(1913)이다. 1915년에는 첫 장편소설 《골렘》을 발표하면서 큰 성공을 거둔다. 프라하의 비밀스러운 분위기를 배
1868년 1월 19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났다. 항상 순회공연을 다니는 여배우 어머니 때문에 외할머니의 손에서 자랐고, 신비주의에 관심을 가진 은행원이었지만 불행한 결혼 생활 끝에 직업마저 잃게 되었다. 순탄치 않았던 삶이 그를 문학의 길로 이끌었고 실직 후 문학 잡지 《짐플리치시무스》에 단편을 기고했다. 이 단편들이 독자들에게 호응을 얻어 책으로 묶여 나온 것이 《열정적인 군인》(1903)《난초》(1904)《밀랍 인형관》(1908)《독일인 속물의 피리》(1913)이다.

1915년에는 첫 장편소설 《골렘》을 발표하면서 큰 성공을 거둔다. 프라하의 비밀스러운 분위기를 배경으로 오랜 신화의 변형물인 견습 마법사라는 소재를 다룬 이 작품은 몽환적이고 신비한 현대문학의 걸작으로 손꼽힌다.

환상적이고 공상적인 모티브들을 사실적으로 옮기고자 했던 그의 대표작으로는 《나펠루스 추기경》(1915)《녹색 얼굴》(1916)《발푸르기스의 밤》(1917)《흰옷 도미니크회 수사》(1921)《서쪽 창문의 천사》(1927)가 있다.

죽은 자들의 왕국이 산 자들의 왕국으로 들어오고, 눈에 보이는 우리의 세상은 끊임없이 보이지 않는 저 세상의 침입을 받고 있다고 생각한 구스타프 마이링크는 1932년 12월 4일 슈텐베르크에서 사망했다.

구스타프 마이링크의 다른 상품

그림후고 슈타이너 프라크

관심작가 알림신청
 

Hugo Steiner-Prag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한 예술가이자 삽화가. 1897년 열일곱 살 때 프라하 미술 아카데미에 입학했고, 이후 독일 뮌헨의 왕립 미술 아카데미에서 학업을 이어 갔다. 그의 첫 삽화 작업은 E.T.A. 호프만의 『악마의 엘릭시르』이며 이를 토대로 저명한 예술가로 인정받았다. 1916년에는 구스타프 마이링크의 『골렘』 삽화를 작업하기 시작하여 스물다섯 점의 석판화로 유대계 화신 골렘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1933년에는 나치의 탄압으로 라이프치히 미술 아카데미 교수직에서 해고되었고, 이후 여러 나라를 전전하다 뉴욕대학교 그래픽 아트 부서의 교수직을 맡아 학생들을 가르쳤다. 그리고 194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한 예술가이자 삽화가. 1897년 열일곱 살 때 프라하 미술 아카데미에 입학했고, 이후 독일 뮌헨의 왕립 미술 아카데미에서 학업을 이어 갔다. 그의 첫 삽화 작업은 E.T.A. 호프만의 『악마의 엘릭시르』이며 이를 토대로 저명한 예술가로 인정받았다. 1916년에는 구스타프 마이링크의 『골렘』 삽화를 작업하기 시작하여 스물다섯 점의 석판화로 유대계 화신 골렘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1933년에는 나치의 탄압으로 라이프치히 미술 아카데미 교수직에서 해고되었고, 이후 여러 나라를 전전하다 뉴욕대학교 그래픽 아트 부서의 교수직을 맡아 학생들을 가르쳤다. 그리고 1945년 9월 10일, 뉴욕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하기까지 800권이 넘는 책의 삽화를 남겼다.
고려대학교 독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독문과 교수로 재직하며 시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독일 튀빙겐대학교 한국학과 방문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 『릴케의 시적 방랑과 유럽여행』, 『릴케전집』(1, 2권), 『서정시의 미학』, 『릴케와 한국의 시인들』 등이 있고, 시집 『딴생각』, 『아버지의 도장』, 『내 사는 아름다운 동굴에 달이 진다』 등을 지었다. 역서로 릴케의 『기도시집』, 『두이노의 비가』, 하이네의 『노래의 책』, 횔덜린의 『히페리온』, 그라스의 『넙치』, 노발리스의 『푸른 꽃』, 되블린의 『베를린 알렉산더 광장』, 슐링크
고려대학교 독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독문과 교수로 재직하며 시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독일 튀빙겐대학교 한국학과 방문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 『릴케의 시적 방랑과 유럽여행』, 『릴케전집』(1, 2권), 『서정시의 미학』, 『릴케와 한국의 시인들』 등이 있고, 시집 『딴생각』, 『아버지의 도장』, 『내 사는 아름다운 동굴에 달이 진다』 등을 지었다. 역서로 릴케의 『기도시집』, 『두이노의 비가』, 하이네의 『노래의 책』, 횔덜린의 『히페리온』, 그라스의 『넙치』, 노발리스의 『푸른 꽃』, 되블린의 『베를린 알렉산더 광장』,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 괴테의 『파우스트』, 뮐러의 『겨울 나그네』, 카프카의 『소송』, 헤세의 『싯다르타』, 니체의 『네 가슴속의 양을 찢어라』 등이 있다. 오규원의 시집 『사랑의 감옥』을 독일어로 옮겼고, 세계릴케학회 정회원으로서 『Rilkes Welt』(공저)를 출간했다.

김재혁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5년 02월 28일
쪽수, 무게, 크기
408쪽 | 452g | 130*225*20mm
ISBN13
9788937428593

책 속으로

여기 있는 ‘나’란 도대체 누구인가? 갑자기 묻고 싶어진다. 그 순간 나는 내게는 그런 질문을 할 수 있는 기관(器官)이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때 나는 그 멍청한 목소리가 다시 튀어나와 돌멩이와 비곗덩어리에 대한 끝없는 신문(訊問)을 또다시 시작하지 않을까 두려움을 느낀다.
--- p.19

그는 주머니에 손을 넣더니 책을 한 권 꺼냈다. 이어 한참 동안 그 자리에 서서 책장을 넘겼다. (……) 그는 원하던 페이지를 찾아 손가락으로 그곳을 가리켰다. 그것은 ‘이부르’라는 제목이 붙은 장이었다. 금색과 붉은색으로 장식된 큼직한 이니셜 ‘I’가 한 페이지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었고, 나는 그 페이지를 나도 모르게 훑어보았다. 그 글자는 가장자리가 손상되어 있었다. 그 글자를 복원해 달라고 가져온 것이었다.
--- pp.32-33

내 마음속에는 언젠가 이곳 게토 지역에서 카발라에 정통한 랍비가 흙으로 만들었다는 인조인간, 신비스러운 골렘의 전설이 떠오른다. 그 랍비는 골렘의 이빨 안쪽에 마법의 숫자를 끼워 넣어 골렘을 사고 능력이 없는 로봇 같은 존재로 만들었다고 한다.
--- pp.44-45

게토에도 방이 하나 있다. 어느 누구도 입구를 찾을 수 없는 방. 그리고 그 방에 유령 같은 존재가 있다. 그는 가끔 길거리로 나가 터벅터벅 걷는다. 그러면서 사람들의 마음속에 공포와 전율을 심어 놓는다!
--- p.80

“두 갈래 길이 나란히 나 있네. 하나는 생명의 길이고, 다른 하나는 죽음의 길이지. 자네는 ‘이부르’ 책을 읽었어. 자네의 영혼은 이제 생명의 정신을 잉태한 거야.”
--- p.106

번개처럼 내 머릿속을 스치는 것이 있었다. 이제 나는 깨달았다. 내가 어디 있는지. 나는 지금 문이 없는 방에 있는 것이다. 창살 달린 창문만이 하나 있을 뿐…… 나는 지금 불가사의한 골렘이 매번 자취를 감추어 버린 그 건물에 있는 것이다!
--- p.146

유령은 꼼짝도 하지 않고 서서 나에게 손을 내밀었다. 손바닥에는 작은 씨앗들이 담겨 있었다. 그것은 붉은색으로 콩알만 했으며 가장자리엔 검은 반점들이 박혀 있었다. 이걸 가지고 나보고 어떻게 하라는 걸까?
--- p.207

사람들 말로는 그가 그 밀랍 인형을 몇 년 전 한 가설 무대 주인에게서 싼값에 샀대요. 그 인형이 한 기독교도 여인과 생김새가 비슷하다는 이유로 샀다는 거예요. 제 생각에 그 여인은 언젠가 그의 애인이었던 것 같아요.
--- p.241

나는 창문을 두드렸다. 그때 안에서 나이를 알 수 없을 정도로 늙은 노인이 손에 촛불을 들고 힘겨운 듯 흐느적거리는 걸음걸이로 문을 지나 방 한가운데 와서 멈추어 섰다. 그러더니 벽의 선반 위에 놓여 있는 먼지투성이 증류 시험관과 플라스크 쪽으로 천천히 고개를 돌렸다.
--- pp.251-252

정말 이상했다! 아틀리에! 안겔리나! 정말 이 모든 것이 나로부터 까마득히 멀어져 있었다! 나는 고개를 돌려 보았다. 바서트룸이 살던 집은 돌멩이 하나 남아 있지 않았다. 모든 것이 땅바닥이 되어 버렸다. 고물상, 차루세크의 지하실 할 것 없이 몽땅. “인간은 그림자처럼 사라지는 법이다.”

--- p.350

출판사 리뷰

판타지와 공포, 사랑이 한데 얽힌 작품
정신적 신비주의로 독자를 안내하는 골렘

기억상실증과 계속되는 환상에 괴로워하던 페르나트는 이상한 손님으로부터 책 한 권을 수선해 달라는 부탁을 받는다. ‘이부르’ 책의 ‘I’가 훼손되어 있었다. 이 일을 계기로 페르나트는 잃어버린 자신의 과거를 찾아 나서고, 그러던 중 그는 아버지에 대한 증오심으로 불타는 의대생 차루세크의 복수극에 휘말린다. 골렘과 유령의 환상 때문에 괴로워하던 페르나트는 랍비 힐렐의 딸 미리암을 사랑하게 되지만 음모에 휘말려 투옥되고, 그곳에서 자신을 괴롭히던 환상이 정신적 승화의 계기였음을 깨닫는다. 감옥에서 풀려난 페르나트는 미리암을 찾아 나서지만 실패하고, 화재를 피하다 골렘이 갇혔던 골방 안을 보게 되는데…….

『골렘』의 배경은 프라하의 게토 지역이다. 프란츠 카프카의 고향이기도 한 이곳, 프라하의 게토 지역은 유태인들이 중세 초부터 살았던 곳으로 그들의 뿌리 깊은 신비주의가 그대로 남아 있는 동시에 20세기 초 옛 담들과 거리의 풍경들이 해체되는 현대화의 현실에 직면해 있는 곳이다. 카프카는 게토 지역에 대해 이렇게 말한 바 있다. “우리 가슴속에는 아직도 어두운 모퉁이와 비밀스러운 복도들, 눈먼 창문들, 지저분한 뜰, 소란스러운 주점들 그리고 문닫은 여관들이 남아 있다. 옛날의 지저분한 게토 지역이 현대화된 새로운 도시의 모습보다 훨씬 더 현실적으로 가슴속에 남아 있다.” 모든 물질적인 것들로부터 벗어나 내면적인 신비주의에 몰두했던 마이링크는 골렘이 여전히 살아 있는 듯한 이곳이 정신 세계와 물질 세계의 대립을 표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장소라고 생각했다.

마이링크는 골렘을 두 가지 측면에서 해석한다. 첫째는 어둡고 미로 같은 게토 지역에 감도는 집단적 심리로서, 성스러움과 악함이 기묘하게 얽혀 있는 분위기가 게토의 건물들과 사람들 사이에 흐르고 있다는 것이다. 골렘은 삼십삼 년마다 한 번씩 나타나 게토 사람들을 공포로 몰아넣는 하나의 집단적 심리의 상징이며, 정체 모를 존재에 대한 그곳의 억눌린 분위기를 드러낸다. 둘째는 이보다 더 중요한 의미로서, 골렘은 우리 안에 존재하는 또 다른 자아를 상징한다. 주인공 페르나트는 게토의 지하 통로를 헤매다 올라간 방에서 또 다른 자아를 체험한다. 그가 본 것은 실제 유령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의식의 반영, 즉 특정한 상황에서 등장하는 도플갱어다. 따라서 골렘은 물질과 모든 구속, 제약으로부터의 자유를 상징한다. 전설 속 골렘이 갇혔던 바로 그 ‘출구 없는 방’에서 페르나트는 골렘과 대면함으로써 자신의 과거에 대한 수수께끼를 풀어나간다. 자신을 괴롭히던 골렘과 환상의 정체를 깨달은 후 페르나트는 자신을 구속하고 있는 모든 현실적인 제약으로부터 해방된다. 마이링크는 이러한 ‘해방’이 영생의 경지와 동일한 것이라고 본다. 작품 속에서 이러한 생각은 죽음에 대한 공포와 두려움은 죽음을 통해서만 극복된다는 역설로 드러난다.

삶 속에서 죽음을 통해 죽음을 극복하는 페르나트
후고 슈타이너의 삽화를 통해 꿈과 현실의 교차를 생생히 체험할 기회

구스타프 마이링크는 ‘삶 속에서 죽음을 통해 죽음을 극복하는’ 주인공의 자아 탐구의 여정을 담아낸다. 그것은 마지막 장면에서 페르나트와 미리암의 영생을 통해서 나타난다. 이 작품의 주제라 할 ‘영혼의 수태’, 즉 정신적 자기 실현은 ‘이부르’라는 말로 암시된다. 이부르는 ‘영혼의 수태’를 의미한다. 보석 세공사인 페르나트가 ‘이부르’ 책의 손상된 첫 글자를 복원해야 하는 것, 자웅 동체의 이미지 역시 이 길로 인도한다. 자기 자신과 도플갱어가 마침내 하나가 되는 순간, 골렘이 ‘이부르’ 책을 페르나트에게 가져온 순간, 손상될 글자를 고치며 페르나트의 또 다른 내면 자아 찾기의 모험은 시작된다. 이때 골렘은 인간의 두려움과 욕망을 반영하는 거울로 기능한다. 인간이 골렘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투영하고, 그 결과 발생하는 갈등은 꿈의 세계에서 나타나는 내면의 갈등과 유사하다. 즉 골렘은 인간의 꿈이 현실에서 어떻게 왜곡되고 실현되는지를 보여 주는 상징적 존재다. 『골렘』에서 꿈과 현실의 경계는 모호하다. 현실이 꿈이 되고 꿈이 현실이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이 작품은 매력과 정감, 전율이 함께하는 신비주의적인 러브 스토리라고 할 수 있다.

“마이링크의 ‘골렘’은 우리가 삶에서 직면하는 내적 갈등과 우리와 외부 세계와의 긴장된 관계를 상징한다. 이 책의 한국어판을 첫 출간한 뒤 이십여 년의 세월이 지나는 사이, 우리 곁에는 어디로 튈지 모르는 또 하나의 골렘인 AI가 와 있다. 우리는 인간의 미래를 몰래 짓고 있는 골렘을 상상하며 두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이러한 공포의 공간을 우리는 직접 체험하며, 이를 친숙하게 우리의 것으로 내면화해야 한다. 작가 마이링크는 주인공 페르나트를 통해 이 길로 가는 방법과 그 이유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전한다. 그것은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길이 다. 마이링크는 이 방향에서 ‘골렘’ 전설을 재해석하고 있다.”(「옮긴이의 말」 중에서)

구스타프 마이링크는 『골렘』을 통해 독자에게 말한다. 현실의 한계를 넘어 예속과 노예 상태, 잠과 죽음의 상태에서 ‘깨어나라!’ 그리하여 스스로를 ‘구원하라!’ 이제, 페르나트의 여정을 따라, 골렘의 전설이 살아 숨쉬는 게토 거리를 향해 걸어가 보자.

리뷰/한줄평1

리뷰

8.0 리뷰 총점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5,300
1 15,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