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서문
서장 1부 수탈 대 수출 1장 수탈 대 자율거래 2장 수출 대 수탈 3장 식민지 한반도는 자본주의 경제체제가 아니었다 2부 선전·선동, 공포에 의한 지배, 감시·감독의 일상화, 구전 통신 1장 선전·선동 2장 공포에 의한 지배와 감시·감독의 일상화 그리고 구전口傳 통신 3부 전시동원 1장 노동력 동원의 강제성과 모집, 관알선 등의 강제성 2장 징용은 노예노동 3장 징용에서의 민족 간 임금차별 4장 징용이 초래한 각종 부작용 5장 학도지원병제 6장 육군특별지원병제와 징병제 4부 토지·임야조사사업과 소작제 1장 군국일본의 토지 수탈: 국망國亡했는데 국유는 무엇인가요? 2장 소작제: 농지 임대차 시장에서의 생산구조 5부 식민지 근대화론 그리고 경제성장을 위한 제도 또는 정책 1장 근대화의 한반도 내 기원 2장 1920년대 군국일본의 식민지 경제성장을 위한 제도 또는 정책 3장 21세기 한국 역사가들의 식민지 근대화론 4장 한반도 한인 빈곤의 근본 원인 5장 문명 교체론 관점에서 본 식민지 근대화론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
전용덕의 다른 상품
경제사 연구로 밝히는
'식민지 근대화' 신화의 허상 이 책은 2019년 출간된 『반일 종족주의』(이영훈 외)에 대한 종합적인 반박서로서, 경제사적 분석을 통해 식민지배의 실상을 상세히 밝혀 낸다. 특히 자유시장경제의 핵심 가치를 강조해 온 경제학자가 식민지 근대화론을 정면으로 반박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논의의 장을 여는 책이다. 저자는 “이 책이 군국일본이 어떤 목적과 동기를 가지고 어떤 방법으로 한반도를 지배했는지에 관한 정확한 이해와 식민지 근대화론 논쟁의 오류를 바로잡는 데 이바지하길 바란다”고 밝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