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책을 내며] 교양이란 무엇인가? / 고전을 읽기가 어려운 이유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1] 철학콩트 장르를 만든 철학자 볼테르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2] 자연주의 문학 대표 작가 에밀 졸라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3] 이상향을 노래한 유토피아 문학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4] 우화문학의 기원과 진화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5] 셰익스피어의 가장 짧은 비극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6] 한국의 국민소설 ‘춘향전’의 패러디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7] 경제사상가 세속의 철학자들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8] 컬처 코드와 글로벌 코드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9] 플루타크 영웅전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10] 장 자크 루소의 창의적인 혁명 사상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11] 인포그래픽 세계사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12]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티즘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13] 책 제목에 ‘부인’이 들어간 소설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14] 존 스튜어트 밀과 페미니즘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15] 작가들의 여행기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16] 여러 분야에 정통한 박식가 폴리매스 [에필로그] 우리는 보다 품격 있는 교양인이 되어야 한다 [부록] 김민주 저자가 읽고 추천하는 도서 / 김민주 저자가 추천하는 프랑스 역사영화 |
김민주의 다른 상품
에밀 졸라는 19세기 후반에 자본주의 산업사회를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듯 여실히 목격하고 고발하는 자연주의 소설로 명성을 떨쳤다. 이 소설은 세탁공장에서 일하는 주인공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세탁 일을 하는 여성 노동자들의 고단한 삶을 여실히 보여준다.
---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2」 중에서 토머스 모어는 1515년에 통상외교 사절로 플랑드르에 파견되었다가 자신의 조국인 영국보다 훨씬 잘 사는 플랑드르를 보고 자극을 받아 상상력을 동원해 《유토피아》를 집필한다. ---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3」 중에서 이솝 본인은 많은 이야기를 말로 남겼는데, 서기 1세기 그리스 철학자인 티아나의 아폴로니우스가 그 이야기들을 문자로 기록했다. 그 후 여러 필사본들이 나오다가 비잔틴제국 콘스탄티노플의 박식한 수도승인 막시무스 플라누데스가 이솝우화 선집을 14세기에 라틴어로 펴냈는데, 이것이 1479년에 인쇄되어 근대 유럽에 널리 퍼졌다. ---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4」 중에서 컬처 코드라 하면 무엇을 의미할까? 문화인류학자인 클로테르 라파이유는 사람들이 입으로 말하는 것을 그대로 믿지 않았다. 그 대신 사람들의 무의식을 연구하여 각 나라 사람들의 뇌에는 무엇이 각인되어 있는지를 찾아냈다. ---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8」 중에서 1793년 프랑스 왕 루이 16세가 콩코드 광장에서 군중에 둘러싸인 채 단두대로 처형당했다. 단두대 위에 그의 입에서 어떤 말이 나왔을까? 그의 마지막 말은 이랬다는 후문이 있다. ‘아, 나는 루소 때문에 죽는구나.’ 이 짤막한 이야기는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루소가 프랑스 혁명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10」 중에서 여권 신장을 위해 열심히 노력한 영국인이 있었다. 바로 정치경제학자 존 스튜어트 밀이다. 동인도회사를 오래 다니면서 《논리학 체계》 《정지경제학 원론》책을 썼던 그는 점차 시민의 자유, 특히 여성의 자유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가져 《자유론》 《여성의 종속》책을 쓰게 되었다. --- 「도서관에서 읽어야 할 교양 14」 중에서 서점에서 책을 사거나 집 부근의 도서관에 가서 교양 책들을 틈틈이 대출하여 읽으실 것이다. (…) 과거와 달리 이제는 원하기만 하면 콘텐츠를 얼마든지 구해볼 수 있다. 단지 어떤 콘텐츠를 보면 좋을지가 관건이다. --- 「에필로그」 중에서 |
진정한 도서관 생활자의
독서 기록 『나는 도서관에서 교양을 읽는다』는 도서관을 사랑하고 도서관에서 책을 읽는 시간을 즐기는 진정한 도서관 생활자인 김민주 저자의 독서 기록이 담겨 있다. 저자는 도서관에 가면 어떤 책을 읽어야 할지 고민하는 도서관 이용자들을 위해 ‘세계사, 경제사상, 컬처 코드, 영웅, 문학 장르, 종교, 부인, 페미니즘, 여행, 폴리매스’ 등 테마별로 책뿐만 아니라 영화도 함께 소개한다. 특히 『나는 도서관에서 교양을 읽는다』에서 출간된 지 20~300년 된 시간에서 살아남은 책들을 이야기한다. 고전을 도저히 읽기가 힘들거나 재미없어서 중단한 독자들을 위해 우리의 교양을 높이는 고전들을 좀 더 알기 쉽게 풀어 담았다. 사람에 따라 관심 있는 교양 분야가 어느 정도 다르더라도 도서관을 비롯한 여러 지식 공간을 활용해 교양을 쌓으면 세련과 품격 또한 높아질 것이다. 『나는 도서관에서 교양을 읽는다』는 교양을 더 풍부하게 쌓으려는 분들의 길라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카모마일북스의 기획시리즈 ‘책문화교양’은 『책문화생태계의 현재와 미래』(제 1권), 『독서경영의 힘』(제 2권), 『지역사회의 책문화 살리기』(제 3권)를 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