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들어가는 글징비록 서 / 권1 / 권2 / 권3 / 권4 / 녹후잡기 / 부록이미지 출처참고도서찾아보기징비록 깊이 읽기 차례 1. 일본의 호전적인 속성을 꿰뚫어 본 신숙주의 《해동제국기》2. 임진왜란의 전초 기지 나고야 성3. 류큐 국과 동아시아4. 진관 제도와 제승방략의 차이 : 지역 방어와 대인 방어5. 조선의 포로 송환 정책과 범릉적 사건6. 선조의 의주 몽진과 정권의 교체7. 명나라 군대의 다국적군 성격8. 이순신과 원균의 만남과 갈등9. 신화의 탄생 학익진 전법 : 옥포 해전부터 한산도 대첩까지10. 영천성 수복과 의병 연합군의 활약11. 이여송의 평양성 탈환과 명나라 원군의 이중적인 면모12.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강화 조건과 협상 결렬의 전말13. 칠천량 해전의 참패와 정유재란의 발발14. 최후의 전투 노량 해전과 이순신의 죽음15. 괴상한 징조인가, 정책적 무지인가?16. 선릉과 정릉 도굴 사건과 중종의 시신 처리 문제17. 선조의 재조지은 강조와 의병장들에 대한 차가운 시선
|
柳成龍,유성룡
류성룡의 다른 상품
吳世眞
오세진의 다른 상품
조선시대 최고의 기록문학 『징비록』다채로운 시각으로 풀어쓰고 편집하여 읽는 맛을 더하다! 이 책은 단순히 『징비록』의 원문을 한글로 옮기는 작업에 그치지 않았다. 철학, 역사학, 한문학, 일본학을 전공한 30~40대 소장학자들이 참여하여 젊은 언어로 풀어쓰고 편집하였다. 그리고 참고문헌과 사진자료, 지도, 도표 등을 망라함으로써 당시 상황을 더욱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게 한다. 여기에 더해, 사건의 맥락을 알게 하고 풍부한 독서를 도와주는 ‘징비록 깊이 읽기’, 류성룡의 일생과 임진왜란·정유재란의 전개와 흐름을 한눈에 짚어볼 수 있게 하는 연표, 인물의 등장과 스러짐, 인물 간의 관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인물관계도, 마무리를 다시 한 번 훑어보게 하는 전투 일지 등 추가 항목들은 독자들에게 역사를 읽는 참맛을 선물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