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2년 10월 17일 |
---|---|
판형 |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 218쪽 | 866g | 190*257*20mm |
ISBN13 | 9791155815380 |
ISBN10 | 1155815386 |
발행일 | 2022년 10월 17일 |
---|---|
판형 |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 218쪽 | 866g | 190*257*20mm |
ISBN13 | 9791155815380 |
ISBN10 | 1155815386 |
MD 한마디
지도는 공간을 표현한다. 아무리 정확한 지도라도 공간에 얽힌 시간에 관해서는 전달할 수 없다. 『눈에 보이지 않는 지도책』은 60여 개 컬러 지도로 세계의 과거와 현재, 미래까지 표현한다. 일례로, 세계의 전력 사용량의 변화를 한 장의 지도만으로 명쾌하게 구현했다. - 손민규 사회정치 PD
머리말 서문 | 보아라, 보이지 않는 것을 우리 문 앞의 데이터 │ 보이지 않는 강물 │ 데이터가 만든 코스 │ 발각된 비밀 │ 1년간의 수면 기록 1장 우리는 어디서 왔나 부랑자의 삶 │ 목격자의 지도 │ 부분적인 유전 │ 순전한 미신 │ 조상의 땅 │ 데이터의 바다 │ 붉은 얼룩을 마주하다 │ 비인간적인 흐름 │ 작명 문화 │ 하늘이 내려준 재능 2장 우리는 누구인가 인구 선 │ 언제 어디서든 인구조사 │ 아메리칸 엑소더스 │ 출퇴근 합중국 │ 장거리 운전 │ 회복으로 가는 길 │ 빛의 정도 │ 도시의 유혹 │ 급격한 변화 │ 이동 방식의 혁명 │ 접근 편의성 │ 접속의 강 │ 옥토퍼스 가든 3장 우리는 어떻게 행동하는가 레드라이닝 리치먼드 │ 정전 사태 │ 마음의 상태 │ 여권 검사 │ 머리 위의 탄소 │ 배기가스 자세히 보기 │ 전류 │ 공기 감시 │ 납을 찾아라 │ 거주 불능 환경 │ 남부의 냉담함 │ 불공평한 노동량 │ 겁쟁이들이 일으키는 소란 │ 인도 여성들이 어느 때보다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 눈에 드러난 위기 │ 폭탄 보고서 │ 나이아가라 작전 │ 종말 4장 우리가 마주하는 것 열 변화도 │ 너무 더워서 메카 순례를 갈 수 없다고? │ 불에 그을린 상처 │ 폭풍이 몰아치는 바다 │ 움직이는 얼음 │ 물속에서 헤엄치기 │ 범죄의 바다 │ 위험에 처한 곳들 │ 안전띠를 착용하세요 │ 모든 걸 꿰뚫어 보는 눈 │ 빨리 움직여 지도를 정복하라 │ 그늘진 곳에 소금을 │ 해가 나오면 │ 새로운 시대 에필로그 | 데이터의 힘 행동 패턴 │ 트위터에 숨겨진 데이터 │ 오사카 전염병 │ 빙하 추적 부록 | 지구를 평평하게 만들기 함께 읽으면 좋은 책 출처 주석 감사의 말 |
환경, 지리, 정치, 질환... 에너지 정보 등등
다방면의 이야기를 그래픽화 해서 시각적 자료를 통해 볼 수 있습니다.
책과 친하지 않은 저마저도 하루하루 관심 가는 분야에 대해 살펴보기 좋은 구성이에요.
1. 좋은 글귀, 마음에 드는 가사 인상 깊은 영화 대사 등을 메모해 주세요. |
2. 출처를 넣어주세요. ex) 234page, 4번 트랙<사랑해>, <브리짓존스의 다이어리>에서 브리짓의 대사 |
눈에 보이지 않는 지도책
이책을 선택한 이유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지도로 시각화해서 우리에게 새로운 무언가를 깨닫게 해줄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이 책은 사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서문에서 잠깐 보겠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장소가 아닌 패턴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를테면 휴대전화 신호로 오늘날의 2주 흐름을 DNA 흔적으로 과거 이주 흐름을 가셔야 했다. 또 세계 행복과 불안 수치를 확인하고 기후 온난화가 허리케인부터 맥카이 순례까지 세상 모든 것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드러내 보였다. 조감도처럼 멀리서 때로는 줌 렌즈처럼 아주 가까이해서 패턴을 살필 것이다. 이 책은 삶의 구성원리나 우주의 비밀을 과학적이고 획기적으로 밝혀내지는 않는다 그래도 이 책으로 세상을 새롭게 바라보는 기쁨을 모두와 나눌 수는 있다니 책을 처음 보았을 때는요 뭐가 이렇게 화려한 그래픽과 지도가 있나 했는데 그걸 자세히 보면 책에 쓰여 있지 않는 내용도 많이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IT기술이 발달되면서 현란한 시각정보기술의 많이 선보여지기 시작했다. 인간은 눈으로 받아들이는 정보가 전체의 90% 가까이 된다고 과거 어느 책에서 읽었던 기억이 난다.
또한 지도는 예로부터 최고급 기밀 정보의 하나로 취급되기도 하였으니, 눈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시각정보의 최고봉은 과거에는 지도였다.
시각정보중 하나인 비쥬얼(외모)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여전히 경쟁력중의 하나이고,(심지어 동물들도 비쥬얼을 중요시 한다...) 인간이 만류의 영장이 된 이유가 손을 사용해서라는 말도 많이 하지만, 사실 나는 시각을 통한 정보습득력이 뛰어나서 그런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본다.
각설하고 이 책은 지역별, 국가별로 누적된 데이터의 시각화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전달해주고 있다. 그런데 웬지..서늘한 느낌이 드는 것은 나만의 오해일까... 여러가지 위기 지표가 보여지고 있어서 책 읽는 동안 웬지 모를 경각심이 느껴졌다.
학살, 전쟁, 기후위기 등등...허나 이것이 진실인 것을 어쩌랴...인류의 위기가 잘보여지는 책이기도 했다. 이상하게도 지구에 인구가 늘어날수록 위기는 더 커지는 것 같으니. 지구 입장에서 보면 인류는 정말 바이러스 비슷한 존재가 아닌지 모르겠다.
내가 흥미롭게 읽었던 부분은 오는 2100년이 되면 전세계 노인이 아동보다 많아 진다는 내용이었다. 앞으로의 국가정책에 많은 고민이 필요한 부분이 아닐까 싶다. 또한 글로벌 IT기업들의 결국은 또다른 지도(?) 작업을 한다는 것에 경계심이 느껴지기도 했다.
책 도안과 그림, 설명 모두 마음에 들고 수시로 읽어보면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소장도서로 손책이 없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