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1장 왜 교육과정 문해력인가
교사가 전문직인 증거 미래 직업, 교사 60%가 사라진다 교사는 배움 디자이너이다 교육 패러다임 격동의 시대에 선 교사 프로 교사와 아마추어 교사 2장 교육과정 문해력이란 무엇인가 ‘교육과정’을 읽고 쓸 수 있는 교사 교육과정 문해력, 文解와 活用의 콜라보레이션 교사, Delivery에서 Designer가 되다 학습목표라는 유리천장 깨기 치명적인 평가 문해력 교사별 교육과정 교과서 개발팀 vs. 학습(수업)공동체 교육과정 문해력, 디테일을 더하다 교육과정 문해력에 따른 4가지 운영 사례 교육과정 문해력 Self Test 3장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어디까지 가 봤니? 교과서로 하나였던 교육과정-수업-평가, 균열이 생기기 시작하다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과학으로 증명하다 교-수-평-기에 ‘주제’를 입히다 학교별&교사별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4장 과정중심평가, 논란에 마침표 찍기 교육과정을 알면 과정중심평가가 보인다 과정중심평가, 평가 백화점? 과정중심평가, 포인트는 이거다 과정중심평가 피드백, 하나만 바꾸면 된다 과정중심평가로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하기 과정중심평가, 수업은 어떻게 할까? 과정중심평가, 이상과 현실 5장 교육과정 문해력 Core 20 교육과정 문해력 Core 20 Core 1 Must와 Recommend Core 2 교육과정 총론 읽는 법 Core 3 교육과정 각론 읽는 법 Core 4 미래교육의 등대 ‘역량’ A to Z Core 5 교육과정 5가지 설계 원리 Core 6 교과서 골라 쓰는 법 Core 7 성취기준 사용설명서 Core 8 애매모호한 배움중심수업, 연막 걷어내기 Core 9 학습목표, 핵심 질문으로 바꿔 보자 Core 10 수업을 보는 새로운 눈 Core 11 교-수-평-기 일체화, 과정중심평가, 역량을 담은 배움 계단 수업 모형 Core 12 교-수-평-기 일체화와 과정중심평가 수업 지도안 짜는 법 Core 13 평가 문서 바르게 읽고 쓰는 법 Core 14 평가 문해력을 결정하는 2가지 포인트 Core 15 평가 도구, 하나만 바꿔 보자 Core 16 명의가 되는 루브릭 만드는 법 Core 17 성장을 위한 피드백의 조건과 전략 Core 18 진정한 소통을 위한 기록과 가정통지 Core 19 과정중심평가 Core 20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 6장 교육과정으로 그리는 미래교육 빅픽처 미래교육의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교육과정 문해력 이전에 교육과정 전달력이다 |
유영식의 다른 상품
교사가 전문직인 이유, 바로 교육과정 문해력입니다!
이 책을 읽으면 교육과정 문해력이 높아지고, 배움중심수업,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과정중심평가를 실천할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문해력과 최근 교육계 이슈이면서 모호한 개념으로 현장의 선생님들이 어려워하는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과정중심평가, 배움중심수업에 대한 개념을 그림과 도식을 활용한 비주얼 싱킹 기법으로 누구나 쉽고 명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실제 교육과정 운영 전체 과정을 20개의 챕터로 구성하고 구체적 실천 지침과 저자가 직접 실천한 실천 사례들로 제시하여 앎과 실천이 모두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미래 사회의 인재를 키우는 학생 중심 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교사가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교육과정 문해력!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을 키워 줄 수 있는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더 이상 교과서 순서대로의 교육과정 운영과 교과 내용 전달자로서의 역할로는 불가능하다. 학생들의 특성과 실태를 정확히 볼 수 있는 눈과 이에 맞는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이를 수업에서 구현해 낼 수 있는 실천력이 필요하다. ‘교육과정 문서의 의미를 바르게 이해하고, 이를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수업을 디자인하며, 평가할 수 있는 능력’, 즉 ‘교육과정 문해력’이다. 이 책은 교육과정 문해력,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담론과 논의는 물론이고, 필자가 다양한 학교 현장에서 실천하였던 교육과정 문해력과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20가지 실천 가이드까지 실려 있어 미래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과 수업, 평가를 볼 수 있는 눈과 실천 역량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교육과정 문서를 바르게 해석하고 수업,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실천력까지! 과정중심평가와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를 위한 실천 가이드 이 책은 교육과정 문해력과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과정중심평가 및 실천 가이드의 4가지 큰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 교육 현장의 이슈인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과정중심평가, 배움중심수업 등의 핵심을 비주얼씽킹 기법으로 설명하여 쉽고 명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학생 실태 분석-교육과정 재구성-배움중심수업-과정중심평가-기록 및 가정통지까지 교육과정의 모든 것을 이론부터 실천까지 총망라하여 ‘학생 중심 교육’을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는 교사들에게 훌륭한 지침서가 될 것이다. 1장과 2장에서는 교사로서 교육과정 문해력을 갖추어야 하는 이유와 의미를 설명하였다. 3장에서는 교육과정 문해력의 결과는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임을 제시하고,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를 과학적인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4장에서는 교육과정 문해력을 바탕으로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고 미래교육에서 강조하는 역량을 키우고 평가할 수 있는 과정중심평가에 대하여 논하였다. 과정중심평가를 평가 이론에 국한된 설명이 아닌 교육과정과 수업 연계 관점에서 설명하고, 실천을 위한 현실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 설명하였다. 5장에서는 교육과정 문해력,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과정중심평가를 교실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 방법과 사례를 제시하였다. 교육과정 문해력을 키우고, 과정중심평가를 실천하여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을 일체화할 수 있는 20가지 실천 방법인 Core 20을 제시하여 단순 앎으로 끝나는 책이 아닌 구체적 실천으로 연결될 수 있는 책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6장에서는 이 책의 전체 내용을 정리하면서 미래교육을 위한 교사의 교육과정 역량을 그림 한 장으로 정리하는 ‘미래교육 빅픽처’를 제시하였다. |
이 책은 현장의 교사들에게 교육과정 문서를 읽는 눈인 교육과정 문해력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설계, 배움중심수업 실천을 위한 명확한 개념 정립과 구체적인 실천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 또한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저자의 정확한 현장 진단과 이에 대한 실천적 대안 제시로 현장의 선생님들에게 꼭 필요한 책으로 추천하고 싶다. - 이경진 (서울특별시교육청 장학사)
|
교육과정에 대한 탄탄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업과 평가를 깊이 연구하고 적용해 왔음을 느낄 수 있는 저자의 강의는 매우 인상적이었다. 이 책은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을 하나의 실로 꿰듯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어, 저자의 강의가 지면에 옮겨져 있는 것 같다. 특히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를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안내하고 있어, 많은 선생님들에게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에 대한 이해와 실천 용기를 북돋워 줄 것이라 기대한다.
- 이유진 (경상북도교육청 연구사) |
모든 교사는 수업을 잘하는 교사가 되고 싶어 한다. 수업을 잘하는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문해력이 꼭 필요하다. 이 책은 수업을 잘하는 교사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것들을 정선하여 설명해 놓았다. 또한 교사가 반드시 실천해야 할 것들은 저자가 직접 실천한 실제 사례 중심으로 제시해 놓아 더 발전하는 교사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최재운 (경기도교육청 장학사)
|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가 무엇인지 본질을 놓치지 않고 풀어낸 이 책은 교육과정 문해력 신장을 통해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 제주도의 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나아가 이 책을 읽는 많은 교사들의 교육과정-수업-평가 세 분야의 역량 강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강은주 (제주도교육청 장학사)
|
교육과정 재구성, 배움중심수업, 과정중심평가 세 분야의 출발은 교육과정 문해력이다. 교육과정 문해력을 키우기 위한 구체적인 20가지 실천 사항을 제시한 이 책은 현장 교사들의 교육과정-수업-평가 역량 강화를 위해서 꼭 필요한 책이라 생각된다. - 전영미 (충청북도교육청 장학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