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과 심리 상태는 욕망을 부추긴다. 지각과 경험은 생각을 바탕으로 축적된다. 행동은 추가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결과를 낳는다. 이것이 우리가 사람들의 행동을 이해하는 방식이고 사회를 이해하는 견고한 프레임워크의 기초이다. 우리는 사회 활동을 하면서 반복적으로, 흔히 무의식적으로 이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이 과정을 이해하기 때문에 《로미오와 줄리엣》, 가십, 의도, 행동, 감정, 생각, 욕망을 이해할 수 있다.
--- p.60
마음이론은 아이들이 소외당하지 않고 친구를 사귀는 능력뿐 아니라, 비밀을 지키고, 다른 아이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속이기도 하고), 설득하고 논쟁하는 능력과 개인의 사회적인 행복에 필요한 모든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잘못된 믿음 연구는 마음이론이 아이들의 삶과 그 아이들이 성장해서 살아갈 성인으로서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 주는 창 역할을 한다.
--- p.68
마음이론은 사람들의 정신적인 삶을 이해하는 복잡한 생각 체계이고 복잡한 아이디어 체계이다. 마음이론은 의도, 생각, 감정, 상상, 정신적인 개체, 생각의 프라이버시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만들어 낸다. 이러한 요소는 자신을 가장하고, 남을 속이고, 이해하고, 설득하고 가르치는 인간 속성의 근원이다. 따라서 마음이론은 엄청난 정신적인 발달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다른 복잡한 과제가 그렇듯이 마음이론 또한 오랜 시간에 걸쳐 단계적으로 발달한다.
--- p.128
정신이 뇌와 분리된다는 것을 이해하는 아이들은 내세를 추정할 수 있다. 뇌와 몸은 죽지만 정신은 다르기 때문에 뇌의 기능 중 일부는 죽음 이후에도 계속될 수 있다. 그들은 몸은 없지만 거대한 정신을 가지고 있는 신을 이해할 수 있다. 그들은 심지어 영혼도 이해할 수 있다.
--- p.193
경쟁적인 상황에서 침팬지들은 다른 침팬지(또는 인간)가 무엇을 보고 있는지, 무엇을 아는지 이해할 수 있다. 그들은 또한 실험자가 그들에게 포도)를 주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 이해한다. 그러나 침팬지들은 경쟁적인 상황에서도 다른 침팬지의 믿음이나 잘못된 믿음은 이해하지 못한다. 또한 침팬지들은 가르치는 행동을 하지 않고 가르치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는다. 가르치는 것은 마음이론 이해가 필요한 행동이다.
--- p.229
우리의 원시 영장류 조상들은 우리가 우리 자신을 가축화한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진화했을까? 이것이 원시 유인원들의 경쟁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유용한 의사소통의 마음이론으로 바뀐 과정을 설명할 수 있을까? 개와 여우는 공격적이고 사람을 두려워하는 성향을 억제하는 선택을 함으로써 인간과 협력적인 공생을 할 수 있었고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마음이론 능력을 발달시켰다.
--- p.239
흥미롭게도 하품에 관한 연구도 매우 비슷한 이해를 뒷받침해준다. 어떤 사람이 하품하는 모습을 보면 잠시 후 당신도 하품을 하게 된다. 이처럼 “하품은 전염성이 있다”고 한다. 실제로 그렇다. 거울 시스템을 활성화시키는, 전염성 있는 하품은 인간과 유인원(마카크, 개코 원숭이, 침팬지)에게서는 발달했지만 다른 동물들에게서는 거의 발달하지 않았다. 전염되는 하품은(자발적인 하품과 대조되는) 생후 2년까지의 유아에게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전염되는 하품은 경험을 통해 발생한다.
--- p.257
6세부터 10세 아동을 변화시키는 것은 무엇일까? 가장 합리적인 설명은 아이들이 그 시기에 생각, 뇌, 몸의 개념을 이해하고 구분하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8장에서 설명한 것처럼 이 시기에 아이들은 생각을 더 “정신적”인 것으로 보기 시작하고, 생물학적인 뇌를 생각을 담고 있는 몸의 일부분으로 보기 시작한다. 로봇 같은 기계는 생물이 아니기 때문에 인간의 생각을 담을 수 없다.
--- p.275
디킨스나 인지 과학자들은 우리의 자신에 대한 기억을 “자전적 기억”이라고 부른다. 미취학 시기의 서술, 이야기, 자아를 연결해 주는 이러한 기억들은 부분적으로 부모님과 친척들이 들려주는 자신의 행동과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기반으로 한다. 사춘기에는 삶의 이야기가 더 확장되고 더 일관성을 갖게 되고 점점 더 자기 자신의 많은 부분을 정의한다. 청년들은 흔히 사춘기 때 자신의 서술적인 맥락을 발견하려고 노력한다. 그들의 이야기는 이전에 배운 교훈이나 일탈적인 행동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들의 이야기는 잠재력이나 우연의 이야기일 수도 있고, 개인의 일관성이나 변화의 이야기일 수도 있고, 자기 자신을 주인공이나 희생자로 설정할 수도 있다.
--- p.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