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0년 10월 23일 |
---|---|
쪽수, 무게, 크기 | 395쪽 | 568g | 152*224*18mm |
ISBN13 | 9788972979692 |
ISBN10 | 8972979694 |
발행일 | 2020년 10월 23일 |
---|---|
쪽수, 무게, 크기 | 395쪽 | 568g | 152*224*18mm |
ISBN13 | 9788972979692 |
ISBN10 | 8972979694 |
들어가는 말 1. 협주곡의 ‘주인공’은 어떻게 등장할까?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E플랫장조 ‘황제’〉 vs 슈만 〈피아노 협주곡 A단조〉 2. 카덴차가 대체 뭐길래? 베르디 ‘La Donna e Mobile’ vs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0번 D단조〉 3. 클래식 음악에서 모스부호가 들리다 베토벤 〈교향곡 7번 A장조〉 2악장 vs 슈베르트 〈현악 4중주 14번 D단조 ‘죽음과 소녀’〉 2악장 4. 교향곡과 성악, 그 어려운 합일 베토벤 〈교향곡 9번 D단조 ‘합창’〉 4악장 vs 말러 〈교향곡 2번 C단조 ‘부활’〉 4악장 5. 스트레타, 막바지의 아찔한 질주감 베토벤 〈교향곡 5번 C단조〉 4악장 vs 슈만 〈교향곡 4번 D단조〉 4악장 6. 시작이 곧 명성이다 R. 슈트라우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vs 카를 오르프 〈카르미나 부라나〉 7. 피아노계의 두 ‘교황’ 쇼팽 대 리스트 쇼팽 〈녹턴 20번 C샵단조〉 vs 리스트 〈라 캄파넬라 G샵단조〉 8. 검은건반 대 흰건반 쇼팽 〈에튜드 Op. 10 No. 5 G플랫장조 ‘흑건’〉 vs 모차르트 〈‘아, 어머님께 말씀드리죠’ 주제에 의한 12개의 변주곡 C장조〉 9. 편곡물에 도둑맞은 원곡 라흐마니노프 〈보칼리제〉 vs 알베니스 〈아스투리아스〉 10. 호러(horror) 클래식 베를리오즈 〈환상 교향곡〉 5악장 ‘악마들의 밤의 꿈’ vs 생상스 〈죽음의 무도〉 11. 알면서도 속는 음악 트릭, 크레셴도 로시니 〈험담은 부드러운 미풍처럼〉 vs 라벨 〈볼레로〉 12. 클래식 음악에도 네이밍이 중요하다 슈만 〈어린이 정경〉 vs 사티 〈그노시엔느〉 13. 황금알을 낳는 8개의 코드 진행 헨델 〈파사칼리아〉 vs 파헬벨 〈카논〉 14. 포 핸즈, 투 피아노, 피아노 듀오 모차르트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피아노 소나타 D장조 K.448〉 vs 슈베르트 〈네 손을 위한 환상곡 F단조 D. 940〉 15. 음악으로 추모하는 부모님의 별세 모차르트 〈바이올린 소나타 E단조 K. 304〉 vs 피아졸라 〈아디오스 노니노〉 16. 음악비평가의 헛발질 쇼팽 〈피아노 소나타 2번 ‘장송행진곡’〉 vs 차이콥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17. 차이콥스키 콩쿠르 대 쇼팽 콩쿠르 차이콥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vs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 부록 〈다른 연주 참고 자료〉 |
안녕하세요.
책 추천하는 여자, 용용입니다.
이번에 읽은 책은 동녘출판사 서포터즈 '동동이 2기' 마지막 활동으로 제공받은 김문경 음악 해설가의 <클래식 vs 클래식>이라는 책입니다.
이 책의 저자 김문경은 약대 출신의 특허청 심사관이라는 특이한 이력이자 지금은 음악 해설가로 활동하며 피아노 연주 음반을 발표하기도 했다. 또한 작곡가 구스타프 말러 비평서 3부작을 출간했고, 국내에서 말러를 가장 잘 아는 사람으로 손꼽힌다. <클래식 vs 클래식> 이 책을 통해 클래식 음악에 호러적인 요소도 있단걸 처음 알게 되었는데, 베를리오즈 '환상 교향곡 5악장' vs 생상스 '죽음의 무도'에 대해 읽을 수 있었다. 그 외에도 열일곱가지 이야기들이 한 챕터를 구성하며 '곡 vs 곡', '작곡가 vs 작곡가'의 구도로 흥미롭게 엮었다.
또한 이 책은 저자의 설명에 그치지 않고 실제로 저자가 설명하는 곡의 특정 부분을 바로 들을 수 있게 동영상 QR코드를 수록해 스마트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곡을 보고 들으며 책을 읽을 수 있다는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다.
![]() |
② 본 것
|
③ 함께 읽으면 좋은 책
김수연 지음, <Fun한 클래식 이야기>, 가디언
이채훈 지음, <소설처럼 아름다운 클래식 이야기>, 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