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01. 우리 친구 초파리 _ 안주현 02. 생명 다양성의 경이로움 ‘거미와 거미줄’ _ 정두엽 03. 수의사의 고양이 ‘하루’ _ 김덕근 04. 아프리카에서 직접 만나는 동물행동학의 세계 _ 이지유 05. 가장 강한 녀석들, 극한미생물 _ 이한승 06. 세포 속 염색체 이야기: 그것이 알고 싶다 _ 이동숙 07. 인간의 똥으로 약을 만들어요 _ 장재우 08. 공룡 똥은 무슨 냄새가 날까요? _ 백두성 09. 한반도에 살았던 ‘공룡의 흔적’과 함께 떠나는 중생대 탐험 _ 임종덕 |
李旨由
이지유의 다른 상품
임종덕의 다른 상품
이한승의 다른 상품
백두성의 다른 상품
김덕근의 다른 상품
안주현 의 다른 상품
정두엽 의 다른 상품
이동숙 의 다른 상품
장재우 의 다른 상품
과학의 즐거움을 나누기 위해 시작된
재능기부 과학강연회 <10월의 하늘> 2020년 11년째를 맞이하는 <10월의 하늘>은 2010년 정재승 교수의 제안으로 시작된 재능기부 과학강연회이다. 매년 10월 마지막 주 토요일마다 현직 과학자, 과학저술가, 공학자 등은 물론 문화예술 각 분야 전문가들이 과학을 접할 기회가 많지 않은 작은 도시의 청소년들에게 직접 찾아가 과학의 신비와 자연의 경이로움을 나누고 있다. <10월의 하늘>이라는 행사 명칭도 탄광촌 소년 호머 히컴이 로켓 과학자의 꿈을 이뤄가는 과정을 그린 영화 과학은 골치 아픈 것, 어려운 것, 시험을 포기해버리고 싶은 것으로 여기는 청소년들에게, 그리고 과학자를 머리가 굉장히 좋아야만 될 수 있는 먼 나라 사람으로 생각하는 아이들에게 <10월의 하늘>은, 과학은 흥미로운 것, 친근한 것, 우리와 가까이 있는 것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리고 과학자를 직접 만날 수 있게 해준다. 올해 행사는 코로나로 인해 10월 31일 토요일 오후 2시에 온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과학은 어렵거나 우리와 동떨어져 있는 게 아닙니다. 과학은 흥미롭고 때론 감동적입니다. 누구라도 과학자를 꿈꿀 수 있습니다. ‘10월의 하늘’ 강연을 듣고, 또 이 책을 읽은 청소년들이 과학에 매료되어 미래의 과학자나 공학자가 되어 세상을 더 멋진 곳으로 만들어주기를 진심으로 기대합니다.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 머리말 중에서 오늘의 과학자가 내일의 과학자를 만나다 이 책은 총 9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분야 전문가들의 시선으로 생명과학은 무엇인지 알려준다. 01. 우리 친구 초파리 _ 안주현 중동고등학교 교사, 서울대학교 겸임교수 대표적인 모델 생물인 초파리가 어떻게 생물학의 역사와 함께하게 되었고, 유전발생학자뿐만 아니라 우리에게도 얼마나 중요한 친구가 되었는지 알아본다. 02. 생명 다양성의 경이로움 ‘거미와 거미줄’ _ 정두엽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부연구위원 과학자들이 거미와 거미줄을 연구하여 새로운 발견을 하고, 이어서 이 발견을 공학적으로 이용하여 스파이더맨이 아닌 스파이더 대장균을 만드는 시도까지 하고 있다. 거미와 거미줄을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서 생명의 다양성과 진화의 아름다움을 느껴본다. 03. 수의사의 고양이 ‘하루’ _ 김덕근 수의사, 하임동물병원 원장 다양한 모습을 가진 고양이 친구와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지금부터 고양이의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04. 아프리카에서 직접 만나는 동물행동학의 세계 _ 이지유 과학논픽션 작가, 과학전문책방 갈다 이사 아프리카에 가서 야생동물을 직접 관찰한 이야기를 통해 동물행동학에 대해서 알아본다. 05. 가장 강한 녀석들, 극한미생물 _ 이한승 신라대학교 바이오식품공학과 교수, 해양극한미생물연구소장 대다수 생물학자에게 생소한 ‘극한미생물’에 대한 이야기를 알려준다. 06. 세포 속 염색체 이야기: 그것이 알고 싶다 _ 이동숙 함춘불임유전연구센터 연구실장, 중원대학교 겸임교수 염색체의 구조와 염색체를 통해 어떻게 유전자 검사를 하는지 알려준다. 07. 인간의 똥으로 약을 만들어요 _ 장재우 CJ제일제당 미래기술센터 수석연구원 우리 장 속에 있는 40조 마리의 미생물이 무엇이고, 어떤 병을 일으키고, 어떻게 고칠 수 있는지 알아본다. 08. 공룡 똥은 무슨 냄새가 날까요? _ 백두성 노원우주학교 관장 지구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화석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또한 공룡이 어느 시대에 살았고 어떤 동물이며, 대한민국 공룡 발견의 역사를 살펴본다. 09. 한반도에 살았던 ‘공룡의 흔적’과 함께 떠나는 중생대 탐험 _ 임종덕 척추고생물학 박사,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장 직접 발굴과 연구를 진행하는 고생물학자의 생생한 경험담. 최근 우리나라에서 세계 최초로 발견되어 큰 관심을 받았던 중요 화석들의 연구 과정과 그 성과를 알아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