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미완의 극 1
이병주
바이북스 2021.09.30.
가격
14,000
10 12,600
YES포인트?
7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이 상품의 시리즈 2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뷰타입 변경

상세 이미지

책소개

목차

이설(異?) 다이아몬드
로맨스와 뉴스
미스테리가 있는 간주곡(間奏曲)
무지개 속의 여자
풍운아(風雲兒)
흉색(凶色)의 네온
곤충들의 대수(代數)

저자 소개1

李炳注, 호: 나림

현대사의 이면을 파헤쳐온 '한국의 발자크' 소설가 이병주는 1921년 경남 하동에서 출생하였다. 일본 메이지대학 문예과와 와세다대학 불문과에서 수학했으며, 진주농과대학과 해인대학 교수를 역임하고 부산 『국제신보』 주필 겸 편집국장을 지냈다. 1944년 학병으로 소집되어 중국 쑤저우蘇州의 일본군 수송대에 배치되었다가 일제 패망 뒤인 1946년 에 한국으로 돌아왔다. 1948년에 진주 농과대학과 해인대학(현 경남대학)에서 영어, 불어, 철학을 강의했다. 마흔네 살 늦깎이로 작가의 길에 들어선 그는 1992년 타계하기까지 27년 동안 한 달 평균 1만여 매를 써내는 초인적인 집필활동으
현대사의 이면을 파헤쳐온 '한국의 발자크' 소설가 이병주는 1921년 경남 하동에서 출생하였다. 일본 메이지대학 문예과와 와세다대학 불문과에서 수학했으며, 진주농과대학과 해인대학 교수를 역임하고 부산 『국제신보』 주필 겸 편집국장을 지냈다. 1944년 학병으로 소집되어 중국 쑤저우蘇州의 일본군 수송대에 배치되었다가 일제 패망 뒤인 1946년 에 한국으로 돌아왔다. 1948년에 진주 농과대학과 해인대학(현 경남대학)에서 영어, 불어, 철학을 강의했다. 마흔네 살 늦깎이로 작가의 길에 들어선 그는 1992년 타계하기까지 27년 동안 한 달 평균 1만여 매를 써내는 초인적인 집필활동으로 80여 권의 방대한 작품을 남겼다.

진실을 추구하는 기개와 용기를 지닌 사관史官이자 언관言官이고자 했던 언론인으로서의 오랜 경험은 그의 문학정신의 튼튼한 자양분을 이루며 한 시대의 '기록자로서의 소설가', '증언자로서의 소설가'라는 탁월한 평가를 받게 했다. 또한 일제 강점기로부터 해방공간, 남북의 이데올로기 대립, 6·25동란, 정부수립 등 파란만장한 한국 현대사를 온몸으로 겪은 작가의 개인적 체험은, 한 지식인으로서 누구보다 우리 역사와 민족의 비극에 고뇌하게 했고 이를 문학작품으로 승화시킨 동력이 되었다.

1965년 「소설·알렉산드리아」를 『세대』에 발표하며 등단한 이후 이어진 「관부연락선」「지리산」「산하」「소설 남로당」「그해 오월」 등의 대하장편들은 그러한 작가의 문학적 지향성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탄탄한 이야기 전개와 구성으로 소설문학 본연의 서사성을 이상적으로 구현하고, 역사에 대한 희망, 인간에 대한 따뜻한 애정과 시선으로 깊은 감동을 자아내는 그의 문학은 역사의식 부재와 문학의 위기를 말하는 오늘날 더욱 빛을 발한다.

그는 문단을 문학 저널리즘이라고 봤을 때 저널리즘을 타기 전 습작 시대가 없었다고 말한다. 습작일 수밖에 없는 작품마저도 모조리 발표해 버린 것이다. 이는 그가 처음 소설을 쓰게 된 경위부터 살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가 1955년 우연히 부산에 놀러갔다가 부산일보의 편집국장과 논설위원들이 모인 자리에서 누군가에 의해 "이 교수가 한번 써보라"는 권유에 취중의 호기로 대답한 것이 [부산일보]에 연재한 첫 소설 『내일 없는 그 날』을 쓰게 된 동기였던 것이다.

그는 애초에 소설을 쓰려는 마음이 없었다고 하지만 그가 작가가 되기 전까지의 시기를 더듬어 볼 때 그가 소설가가 된 것은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 제국주의가 나라를 통치하던 시절로부터 해방공간을 거쳐, 남과 북의 이데올로기 및 체제 대립과 6.25동란 그리고 남한에서의 단독정부 수립 등, 온갖 파란만장한 역사의 굴곡을 지나오면서 한 사람의 지식인이 이렇다 할 상처 없이 살아남기란 애초부터 불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라는 해석이 이를 잘 설명하고 있다.

그는 또한 다산한 작가로도 대표할 만하다. 1965년 중편 『알렉산드리아』를 「세대」에 발표함으로써 등단한 후 1966년 『매화나무의 인과』를 「신동아」에 발표했다. 1968년에는 『미술사』를 「현대문학」에 발표하였으며, 『관부연락선』을 「월간중앙」에 연재하였다. 1969년에는 『쥘 부채』를 「세대」에, 『배신의』 「부산일보」에 발표하였다. 1970년에 『망향』을 [새농민]에 연재하였으며, 1971년에는 『패자의 관』을 발표하고, 『화원의 사상』과 『언제나 그 은하를』을 연재하였다.

1972년에는 단편 『변명』과 중편 『예낭 풍물지』, 『목격자』 발표하였으며, 장편 『지리산』을 「세대」에 연재하기 시작했다. 1973년 수필집 『백지의 유혹』이 간행되었으며, 1974년에 중편 『겨울밤』 『낙엽』을 발표하였다. 1976년 중편 『여사록』, 『망명의 늪』, 단편 『철학적 살인』을 발표하였다. 1978년 『계절은 끝났다』 『추풍사』를 발표함과 더불어 『바람과 구름과 비』를 「조선일보」에 연재하기 시작했다. 1979년『황백의 문』, 1980년 『세우지 않은 비명』, 『8월의 사상』을 발표하였다.

1981년에는 『피려다 만 꽃』, 『허망의 정열』 『서울 버마재비』, 『당신의 성좌』를 발표하였다. 1983년 『그 테러리스트를 위한 만사』, 『소설 이용구』, 『우아한 집념』, 『박사상회』를 발표하였다. 1984년 장편 『비창』을 간행하였고, 1986년 『그들의 향연』, 『무덤』, 『어느 낙일』을 발표하였다. 1987년 『소설 일본제국』, 『운명의 덫』, 『니르바나의 꽃』, 『남과여―에로스 문화사』를 간행하였다. 1989년 『소설 허균』, 『포은 정몽주』, 『유성의 부』, 『내일 없는 그날』을 간행하였고, 1990년 장편 『그를 버린 여인』을 간행하였다.

이렇듯 끊이지 않는 작품 활동을 해 오는 동안 1977년 중편 『낙엽』, 『망명의 늪』으로 한국문학작가상과 한국창작문학상을 수상하였으며, 1984년엔 장편 『비창』으로 한국펜문학상을 수상하였다. 1992년 『소설 제5공화국』 집필 중 지병으로 타계했다. 2008년에는 그의 출생지인 경남 하동군에 '이병주 문학관'이 개관하였다.

이병주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1년 09월 30일
쪽수, 무게, 크기
401쪽 | 498g | 140*210*21mm
ISBN13
9791158772604

책 속으로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만남이다.
사람과 사람의 만남.
인생의 지류(支流)를 합쳐 대하(大河)를 이룬 역사도 결국 사람과 사람의 만남으로써 비롯된 드라마의 전개가 아닌가 .
소크라테스와의 만남을 전제로 하지 않고 플라톤을 상상할 순 없다.
소하(蕭河)를 만나지 않았다면 패현(沛縣)의 건달인 유방(劉邦)이 한 고조로서 역사에 그 이름을 새겼을 까닭이 없다.
시저가 클레오파트라를 만나지 않았다면, 로마 제국의 운명은 달라졌을 것이다.
존 포스터 덜레스를 만나지 못했더라면 아이젠하워가 대통령이 될 수 없었던 것은 결코 그보다 키가 작지도 않았고, 얼굴이 못생기지도 않았고, 훈공이 덜하지도 않았고, 야심이 부족하지도 않았던 맥아더 원수가 일개 상사 회사의 회장으로서 그 인생의 경력을 끝내지 않을 수 없었던 사례로써 충분한 증명이 된다.
그런데 만남의 중요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이처럼 동서고금을 설쳐 댈 필요가 없을 것 같다. 바로 당신이 그 결정적인 증거다. 당신의 아버지와 어머니의 만남이 없이 당신이란 존재가 가능했겠는가.
당신에게 있어서 당신 이상으로 소중한 것은 아마 없을 것이니 인생에 가장 소중한 것은 만남이라고 할 수 있다는 얘긴데, 이렇게 쓰고 보니 약간 쑥스럽지 않은 바가 아니다. 유한일(柳漢一)과 나와의 만남을 얘기하기 위한 서두로선 지나치게 거창하다는 느낌이 없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런 서두를 달아야 하게끔 하는 그 무엇이 그와 나와의 만남엔 있는 것이다.
--- p.12~13

유한일은 나와 함께 점심을 먹고도 두세 시간을 더 내 서재에서 놀다가 오후 세 시쯤 돌아갔다.
돌아갈 즈음
“R호텔 703호에 있으니 필요하실 때 전화하세요.”
하고 호텔의 전화번호를 내 메모지 위에 적어 놓았다.
늦잠은 나의 버릇이었다. 새벽 두 시, 혹은 세 시까지 깨어 있는 사람으로선 당연한 일이긴 했다. 그러나 그날 아침은 비교적 일찍 잠을 깼다. 정각 아홉 시였다.
안 하던 버릇으로 하루가 시작되면, 다음다음으로 평소엔 안 하던 짓을 하게 마련이다. 저 편 벽 쪽에 먼지를 쓰고 있는 라디오의 스위치를 틀었다.
돌연 튀어나오는 소리가 있었다.
“……범인은 아직 체포되지 않았으나 시간문제로 보고 있습니다.”
그러고는 다음 문제로 옮아갔는데
‘범인’
하는 기분으로 다른 방송으로 다이얼을 돌렸다. 거기서도 뉴스가 계속되고 있었다. 귀를 기울였다.
“어젯밤 R호텔에서 살인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하는 아나운서가 있었다.
‘R호텔이면 유한일이 투숙하고 있는…….’
하는 상념이 뇌리를 스쳤다. 이어 ??
“사건이 난 곳은 703호실이었습니다.”
나는 얼른 그저께 유한일이 써 두고 간 메모지를 집어들었다.
유한일이 투숙하고 있는 방이 703호실이었다.

--- p.228~229

출판사 리뷰

최은희 납치사건이 모티브인 반(anti)추리소설
“소설 『미완의 극』은 한 편의 추리소설이라기보다 우리의 경애하는 여배우 최은희를 기념하고자 하는 내 나름대로 부른 추억의 엘레지이다.”
1982년에 소설문학사에서 2권짜리로 펴낸 『미완의 극』은 연애소설도 아니고 (근·현대사를 다룬) 역사소설도 아니다. 이 소설을 쓰게 한 직접적인 계기는 영화배우 최은희 납치사건인데 실제적인 최은희 납치사건을 르포르타주 식으로 그린 것은 아니다. 시대소설이라고 해야 할지 사회소설이라고 해야 할지 이름 붙이기도 애매한 이 소설은 이병주를 거론할 때 전혀 언급되지 않은, 평가의 대상에서 누락되고 만 소설이다.
이병주가 이 작품을 가리켜 추리소설이라고 하지 않고 추억의 엘레지라고 한 말이 인상적이다. 이 소설은 이병주의 여러 소설 중에서 아주 특이한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평가는커녕 거론조차 된 일이 없었다는 것이 안타깝다. 추리소설이면서 문학인 소설, 그것이 이병주의 목표였다. 어찌 보면 반(anti)추리소설론이다.

냉전 시대, 민감한 주제에 정면 도전
“『미완의 극』은 결국 완전히 수수께끼를 풀지 못한 채 끝날 수밖에 없는 숙명을 지니고 있다. 우리가 경애하던 여배우 최은희 씨의 운명이 그러했듯이. 그러나 나는 최은희 씨가 어떠한 상황 속에서 살고 있다는 것을 믿어 의심하지 않는다. 그녀는 어떤 타의(他意)에 의해 영락없이 침묵해 있어야 할 환경에 빠져들어 있는 것이다.”
이병주는 최은희와 신상옥 두 사람이 북한에서 살아가고 있을 때 이 소설을 썼다. 그 당시에는 두 사람의 북한에서의 활동 사항이 남쪽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베일에 가려진 북한 생활을 추측해서 쓸 수는 없었고, 납치되기까지의 과정을 상상력을 발휘하여 쓴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완전히 수수께끼를 풀지 못한 채 끝날 수밖에 없는 숙명이었다.
그럼에 불구하고 이 작품은 냉전 시대, 민감한 주제에 정면 도전한 작품이다. 그런데 사건의 전말의 알고 있는 지금, 이 소설을 쓸 무렵인 1980년대 초에 최은희가 북한에 건재해 있다는 것을 이병주는 과연 알고 있었을지 몰랐을지 추측해보면 읽는다면 또 다른 재미가 있을 것이다.

왜 지금 여기서 다시 이병주인가
“백년에 한 사람 날까 말까 한 작가가 있다. 이를 일러 불세출의 작가라 한다. 나림 이병주 선생은 감히 그와 같은 수식어를 붙여 불러도 좋을 만한 면모를 갖추었다.”
2021년은 나림 이병주가 탄생한 지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이 뜻 깊은 해를 맞아 이병주기념사업회에서는 〈편찬위원회〉를 구성해 선집을 발간하기로 했다. 이 선집은 모두 12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중·단편 선집 『삐에로와 국화』 한 권에 「내 마음은 돌이 아니다」(단편), 「삐에로와 국화」(단편), 「8월의 사상」(단편), 「서울은 천국」(중편), 「백로선생」(중편), 「화산의 월, 역성의 풍」(중편) 등 6편의 작품이 실려 있다. 그리고 장편소설이 『허상과 장미』(1·2, 2권), 『여로의 끝』, 『낙엽』, 『꽃의 이름을 물었더니』, 『무지개 사냥』(1·2, 2권), 『미완의 극』(1·2, 2권) 등 6편 9권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에세이집으로 『자아와 세계의 만남』, 『산을 생각한다』 등 2권이 있다.
『미완의 극』은 다양한 이병주의 작품 중에서도 독특한 소재를 다룬 작품이다. 그러난 그 독특함을 넘어 작가 이병주가 세계의 평화, 호혜주의, 사해동포사상에 대한 신념을 바탕으로 사람과 사람의 만남으로써 비롯된 드라마를 쓴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리뷰/한줄평2

리뷰

6.0 리뷰 총점

한줄평

6.0 한줄평 총점

클린봇이 부적절한 글을 감지 중입니다.

설정
선택한 상품
12,600
1 12,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