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쓰일 곳
승강기 안에서 텃밭 풀밭 위에 누웠다 큰 우산 따뜻하다 숨바꼭질 대문 일 년에 한 번은 비슷비슷 이음돌 고백 첫눈 금붕어 어린이 도서관 |
김옥애의 다른 상품
유착희 의 다른 상품
김성범의 다른 상품
“우리 함께 노래해요!”
동시도 읽고, 노래도 부르고, 동요도 들을 수 있는 멀티 동요집! 2024년은 어린이들을 위한 창작동요가 첫선을 보인 지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1924년 윤극영 선생이 동요「반달」을 발표하면서 한국 창작동요가 첫발을 내딛게 된다. 당시는 어린이들이 부르는 노래에 전래동요나 창가가 전부인 때였다. 새 시대의 어린이들에게 새로운 시대 정신을 담은 새로운 노래가 절실하던 시대였다. 어린이들의 생활 감정과 정서를 담은 「설날」, 「까치까치 설날」, 「할미꽃」, 「고기잡이」, 「꾀꼬리」 등의 동요도 이때 만들어졌다. 윤극영 선생은 1924년 동요단체 ‘다알리아회’를 조직해서 어린이 문화운동과 동요 창작·작곡 운동도 활발하게 전개했다. 유지영의 「고드름」, 한정동의 「따오기」 등 다른 시인의 동요에도 곡을 붙여 동요의 보급에 힘썼다. 이렇게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우리말로 새로 지은 우리의 노래는 큰 걸음을 내딛고 끈질기게 살아남아 오늘 100주년에 이르게 되었다. 이에 김옥애 작가와 김성범 작곡가가 만나 〈창작동요 100주년 기념 동요집〉을 펴내고 이를 토대로 음원 제작 및 동요 공연을 펼치기로 의기투합했다. 먼저 김옥애의 대표동시 15편을 선별해 김성범 작가가 곡을 붙여 노래를 만들었다. 이 노래를 어린이들이 직접 부른 음원도 제작해 발표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을 〈창작동요 100주년 기념 동요집〉 『어린이 도서관』에 담았다. 이 책에는 원작이 된 김옥애 동시 15편과 이를 작곡한 김성범의 악보로 구성되었다. 여기에다 어린이들이 직접 부른 노래 음원을 큐알코드에 담아 수록했다. 스마트폰으로 큐알코드를 찍으면 언제 어디서든 노래를 들을 수 있는 것이다. 곧 동시를 읽으면서 노래도 부를 수 있는, 악보를 보면서 노래나 연주도 하고, 음원도 직접 들을 수 있는 책이 되었다. 한마디로 멀티 동요집이 탄생한 것이다. 표제작 「어린이 도서관」은 강진 어린이 도서관의 개관을 기념해 지은 동시인데 이를 개사해 전국의 어린이 도서관을 대표하는 노래로 만들었다. 어린이들을 위한 지혜의 산실인 어린이 도서관이 수많은 어린이들에게 사랑받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지은 노래이다. 이 노래처럼 어린이를 위해 만든 동요가 모든 어린이들의 입에서 즐겨 불러지기를 바라는 마음도 이 동요집에 담았다. 디지털 문화의 홍수 속에서, 성인 대중가요의 유행 속에서 잊혀지고 있는 동요가 이 작은 노력에 힘입어 다시 살아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지만, 그래도 이 작은 움직임에 힘입어 누군가는 다시 귀 기울이고 조금이라도 관심을 쏟을 수 있다면 얼마나 다행일까. 그 작은 힘들이 모이고 모인다면 동요가 다시 살아나 교실에서 가정에서 거리에서 다시 울려 퍼지게 될지도 모른다. 그런 소망이 이 동요집에 담겨 있다. 많은 어린이들에게 이런 소망이 전해져 우리 동요가 즐겨 불러지기를 바란다. |
아주 오래오래 전에 내 동시 「금붕어」를 동요로 만들어 줬지요. 그걸 불러 보면서 다른 동시들도 작곡을 해 준다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해 왔답니다. 그런데 이번에 그 바람이 이뤄졌네요. 동화쓰기로 인연을 맺은 우리가 동요로 더 깊은 인연이 되었습니다. (……) 어린이들에게 동요가 점점 관심 없어지는 이 시대에 [어린이 도서관]이란 노래가 즐겁게 불리어지면 좋겠지요? 도서관을 드나들 듯 흥겹고 행복하게요. - 김옥애 (지은이)
|
많은 어린이들이, 많은 어른들이 함께 부르는 노래가 되었으면 합니다. 어린이들이 동요보다 대중가요를 더 즐겨 부르는 모습을 보면 마음이 아프거든요. 올해는 우리나라에 창작동요 [반달]이 생겨난 지 100년이 되는 뜻깊은 해입니다. 동요가 다시 한 번 온 세상 사람들 마음에 자리를 잡았으면 좋겠습니다. 그 틈새에 [김옥애 & 김성범 동요집]도 한자리를 잡았으면 좋겠고요. - 김성범 (지은이)
|